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울장애 아형간에 Isoproterenol 자극후 임파구 Cyclic AMP Levels의 차이 = Difference in Isoproterenol-Stimulated Cyclic AMP Levels of Lymphocytes between the Subgroups of Depressive Disord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408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주요 우울장애 환자와 기분부전장애 환자에서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임파구에 isoproterenol 자극 후 cyclic AMP 생성반응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 두 질환군에서 net cyclic AMP levels와 우울...

      주요 우울장애 환자와 기분부전장애 환자에서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임파구에 isoproterenol 자극 후 cyclic AMP 생성반응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 두 질환군에서 net cyclic AMP levels와 우울정도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주요 우울장애군 8명, 기분부전장애군 9명, 정상대조군 10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Cyclic AMP 농도는 방사면역 측정법 (radioimmunoassay)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요약하연 다음과 같다. 1) HDRS 정수상 주요 우울장애군이 기분부전장애군보다 유의하게 우울정도가 높았다. 2) Isoproterenol 자극전 basal cyclic AMP levels는 정상대조군, 주요 우울장애군, 기분부전장애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3) Isoproterenol $10^{-5}mol/L$ 자극후 net cyclic AMP levels는 정상대조군 주요 우울장애군, 기분부전장애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주요 우울장애군에서 isoproterenol $10^{-5}mol/L$ 자극후 net cyclic AMP levels와 HDRS 점수간에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으나, 기분부전장애군에서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저자들은 기분부전장애가 임상적으로는 주요 우울장애의 우울정도가 경미한 한 형태로 보이지만 생물학적으로는 이들 두 질환이 다른 질환일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basal cyclic AMP levels and the $10^{-5}mol/L$ isoproterenol-stimulated cyclic AMP levels of lymphocytes, by which ${\beta}$-adrenoceptor function was shown, between to normal controls and 17 drug free patients(8...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basal cyclic AMP levels and the $10^{-5}mol/L$ isoproterenol-stimulated cyclic AMP levels of lymphocytes, by which ${\beta}$-adrenoceptor function was shown, between to normal controls and 17 drug free patients(8 major depresive patients and 9 dysthymic patients), who were diagnosed by DSM-III-R. The severity of depression was assessed by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DRS). Cyclic AMP levels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double antibo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HDRS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jor depressive patients($41.8{\pm}4.6$) than in dysthymic patients($24.0{\pm}4.2$)(p<005).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asal cyclic AMP levels among normal controls($3.9{\pm}1.7pmol/10^6cells/10min$), major depressive patients($2.1{\pm}0.5pmol/10^6cells/10min$), and dysthymic patients($3.9{\pm}1.8pmol/10^6cells/10min$). 3)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net cyclic AMP levels($10^{-5}mol/L$ isoproterenol-stimulated cyclic AMP levels minus basal cyclic AMP levels) among normal controls($16.5{\pm}6.0pmol/10^6cells/10min$), major depressive patients($3.0{\pm}1.4pmol/10^6cells/10min$), dysthymic patients($10.9{\pm}4.4pmol/10^6cells/10min$)(p <005). 4) The net cyclic AMP level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DRS scores in major depressive patients(${\gamma}=-0.8^6$, p<0.05), but not in dysthymic patients(${\gamma}=0.43$, p=0.25). In conclusion, we suggested that the dysthymic disorder might differ from the molar depressive disorder not only in the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s but also in ${\beta}$-adrenergic responsiveness of lymphocytes, which was regarded as a biological marker of depressive disorder.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