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컬링 경기 승자와 패자의 특징 분석: 샷 유형, 샷 정확도, 블랭크엔드 및 평균 득점을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winners and losers in curling: Focused on shot type, shot accuracy, blank end and average sco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303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컬링 경기 승리 전략을 컬링 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컬링 경기의 승자와 패자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웹 크롤러를 개발하여 201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컬링 경기 승리 전략을 컬링 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컬링 경기의 승자와 패자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웹 크롤러를 개발하여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컬링웹 사이트(http://sochi2014.curlingevents.com)에 있는 컬링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팀별 선수별 포지션별 샷 유형 및 정확도, 스톤의 회전 방향, 팀별 엔드별 득·실점, 팀별 엔드별 선·후공등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차이 검증을 이용하여 승자와 패자 간 통계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통계 검증은 SPSS통계패키지 23.0을 이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05로 설정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리드 샷 유형과 포지션별 드로우, 프론트, 클리어링의 경기당 평균 샷 정확도는 컬링 경기의 승자와 패자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컬링 경기에서 엔드별 블랭크 엔드 수는 경기 의 승자와 패자 간에 일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컬링 경기 승자와 패자 모두 9엔드의 평균 득점이 다른 엔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컬링 경기의 승자는 5~8엔드 후공 시다득점 획득 시도가 성공으로 이어지며, 선공 시 상대팀의 실수를 유도 혹은 정확한 샷을 구사하여 스틸에 성공하는 특징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결론적으로, 컬링 경기에서 승리하기 위한 전략은 리드와 스킵의 샷 수행능력 향상, 성공적인 블랭크 엔드 전략 수행을 위한 작전 시퀀스 체계화 구축, 그리고 DB구축 및 정보활용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nners and the losers of curling games to provide the winner strategies for the curling stakeholder. [Methods]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2014 Sochi Winter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nners and the losers of curling games to provide the winner strategies for the curling stakeholder. [Methods]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2014 Sochi Winter Olympics web-site(http://sochi2014.curlingevents.com), which covers 199 games in total. Using the collected data, we extracted additional data such as the shot types and accuracy per players, team average score per end, whether or not with hammer per end and so on. and then a Chi-square test in statistic package SPSS 23.0 was us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onsidered with p< 0.05. [Res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inners and losers of curling game on the shot type and accuracy(Draw, Front and Clearing).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winners and losers about the number of blank end per end. It was found that 9th end average score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 other end in both the winners and the losers.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nners tends to be successful in more point from 5th end to 8th end with hammer and steal without hammer.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strategies to win the curling game is to improve the shot performance of Lead and Skip, to organize the operation sequence for the successful blank end, and to develop the database and software in curl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기정, "컬링 경기의 팀 수준간 작전 비교" 한국스포츠리서치 14 (14): 993-1002, 2003

      2 박성건, "컬링 경기력 지표를 이용한 컬링 경기의 순위 예측" 한국체육과학회 25 (25): 1097-1107, 2016

      3 김태완, "여자컬링 경기력분석 및 디지털 미디어 DB 구축과 인공신경망분석"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27 (27): 402-420, 2016

      4 김현경, "아시아 주니어 컬링 여자선수의 경기기술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18 (18): 1109-1117, 2009

      5 김채희, "경기력향상을 위한 세계컬링대회 경기내용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17 (17): 47-57, 2008

      6 Park S. G., "The Curling Analysis Based on the Possession of the Last Stone per End" 60 : 391-396, 2013

      7 Robert P. S., "Sports Data Mining" Springer 2010

      8 Willoughby, K. A., "Preferred Scenarios in the Sport of Curling" 34 (34): 117-122, 2004

      9 Kostuk K. J., "Modelling curling as a Markov process" 133 : 557-565, 2001

      10 Kostuk K. J., "Modelling curling as a Markov process" 133 : 557-565, 2001

      1 조기정, "컬링 경기의 팀 수준간 작전 비교" 한국스포츠리서치 14 (14): 993-1002, 2003

      2 박성건, "컬링 경기력 지표를 이용한 컬링 경기의 순위 예측" 한국체육과학회 25 (25): 1097-1107, 2016

      3 김태완, "여자컬링 경기력분석 및 디지털 미디어 DB 구축과 인공신경망분석"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27 (27): 402-420, 2016

      4 김현경, "아시아 주니어 컬링 여자선수의 경기기술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18 (18): 1109-1117, 2009

      5 김채희, "경기력향상을 위한 세계컬링대회 경기내용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17 (17): 47-57, 2008

      6 Park S. G., "The Curling Analysis Based on the Possession of the Last Stone per End" 60 : 391-396, 2013

      7 Robert P. S., "Sports Data Mining" Springer 2010

      8 Willoughby, K. A., "Preferred Scenarios in the Sport of Curling" 34 (34): 117-122, 2004

      9 Kostuk K. J., "Modelling curling as a Markov process" 133 : 557-565, 2001

      10 Kostuk K. J., "Modelling curling as a Markov process" 133 : 557-565, 2001

      11 Heo, J, U., "Man Shot in the distribution of Position Stars curling game. first-class game, field leaders apply research report" Sports Science Institute 2008

      12 배기욱, "MDP에 의한 컬링 전략 선정" 대한산업공학회 42 (42): 65-72, 2016

      13 Throp. C., "Curling (Winter Sports)" Raintree 2013

      14 Baek, J, C., "Comparative analysis of culling operations team leveled the match" Suw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03

      15 Park G. I., "An analysis on the game content of curling athlet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Physical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Community Sports Science 2000

      16 Willoughby, K. A., "An Analysis of a Strategic Decision in the Sport of Curling" 2 (2): 58-63, 2005

      17 양재봉, "2018평창 동계올림픽대비 국제컬링대회 경기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적용 -" 한국체육과학회 22 (22): 393-404, 2013

      18 박성건,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여자 컬링 경기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5 (25): 1161-1171, 2016

      19 박수경, "2012 휠체어컬링 세계선수권대회에 참가한 휠체어컬링 국가대표 4개 팀의 경기내용 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 21 (21): 15-26, 2013

      20 Lee J. H., "2000 and 2005 Comparative Analysis on Curling Competitive Strategy" Suw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6-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4-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3-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7-0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체육과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4 0.781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