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과의 성격과 목표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새로운 시대와 변화된 사회에서 제기되는 국가·사회적 요구 및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53593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5-153(3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과의 성격과 목표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새로운 시대와 변화된 사회에서 제기되는 국가·사회적 요구 및 ...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과의 성격과 목표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새로운 시대와 변화된 사회에서 제기되는 국가·사회적 요구 및 학문적 요구를 반영함으로써 새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응용윤리 영역의 내용 선정 기준과 조직 방안을 정립하는 것이다. 새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응용윤리 영역의 내용은 도덕과의 교육적 인간상의 실현과 도덕과 교과역량의 함양에 기여할 수 있고, 윤리학을 구심점으로 한 학제적 접근을 요구하는 응용윤리의 주제들, 과학기술의 발달과 사회 구조의 변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윤리적 문제나 쟁점들, 도덕과의 내용 구성 원리로서 가치 관계 확장법 등을 고려하여 선정·조직되어야 한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중학교 ‘도덕’ 과목에서 ‘자연·초월과의 관계’ 영역을 ‘인간 이외의 존재·생태공동체와의 관계’ 영역으로 수정하고, 그 영역에서 과학기술 시대의 새로운 윤리적 문제나 쟁점을 논의해야 한다는 의견을 중심으로 내용 체계 재구조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과목에서 도덕적 탐구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응용윤리학의 접근 방법을 내용 요소로 반영하고, ‘생명과 윤리’ 영역에서 내용 중복 문제를 완화하고 생명윤리의 토대가 되는 논의에서 최근의 학문적 논쟁에까지 이를 수 있도록 인간 대상 연구와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을 내용 요소로 포함하며, ‘과학과 윤리’ 영역에 지능정보윤리, 로봇윤리 등과 같은 새로운 윤리적 문제나 쟁점을 반영한 내용 체계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riteria of contents selection and to organize the contents of applied ethics education in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e contents of applied ethics education in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riteria of contents selection and to organize the contents of applied ethics education in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e contents of applied ethics education in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selected and organized to contribute to fostering moral man with competency of moral education, and considering the methodology of moral education, the principle of contents organization of moral education, and new ethical issues in the new era. Based on this criteria,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phere of ‘the relationship with nature·transcendence’ i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modified to the sphere of ‘relationship with non-human being·ecological community’ in which new ethical issues in the ag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uld be discussed.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thodology of applied ethics, ethical issues of human subjects research and human enhancement, and new ethical issues of AI ethics, Robot ethics etc.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of ‘Life & Ethics’ subjec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남준, "하버마스의 자율성 논변 분석 - ‘유전자 결정론’ 비판을 넘어서 -" 철학연구소 62 : 65-102, 2020
2 노영란, "응용윤리에 대한 덕윤리적 접근의 비판적 고찰" 한국철학회 (113) : 349-380, 2012
3 Sandel, M., "완벽에대한 반론" 와이즈베리 2016
4 오유진,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서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검토 및 제언 - 미래교육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강조점을 중심으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64) : 1-28, 2019
5 김남준, "신경과학 시대의 규범윤리학: 도덕적 설명은 도덕적 정당화를 대체할 수 있는가?" 한국윤리학회 1 (1): 1-47, 2018
6 김상득, "서양철학의 눈으로 본 응용윤리학" 범한철학회 (29) : 5-34, 2003
7 추정완, "생명의료윤리의 원칙들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4
8 정창우,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 교육과학사 2020
9 정창우, "도덕교육 연구 및 실천의 방향과 과제 : 도덕과 교육과정 논의를 중심으로" 교육과학사 2020
10 김국현, "도덕과 교육에서 도덕적 성찰의 의미와 교수·학습 방안" 한국윤리교육학회 (27) : 1-30, 2012
1 김남준, "하버마스의 자율성 논변 분석 - ‘유전자 결정론’ 비판을 넘어서 -" 철학연구소 62 : 65-102, 2020
2 노영란, "응용윤리에 대한 덕윤리적 접근의 비판적 고찰" 한국철학회 (113) : 349-380, 2012
3 Sandel, M., "완벽에대한 반론" 와이즈베리 2016
4 오유진,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서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체계 검토 및 제언 - 미래교육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강조점을 중심으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64) : 1-28, 2019
5 김남준, "신경과학 시대의 규범윤리학: 도덕적 설명은 도덕적 정당화를 대체할 수 있는가?" 한국윤리학회 1 (1): 1-47, 2018
6 김상득, "서양철학의 눈으로 본 응용윤리학" 범한철학회 (29) : 5-34, 2003
7 추정완, "생명의료윤리의 원칙들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4
8 정창우,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 교육과학사 2020
9 정창우, "도덕교육 연구 및 실천의 방향과 과제 : 도덕과 교육과정 논의를 중심으로" 교육과학사 2020
10 김국현, "도덕과 교육에서 도덕적 성찰의 의미와 교수·학습 방안" 한국윤리교육학회 (27) : 1-30, 2012
11 김국현, "도덕과 교육과정상의 윤리적 역량 재구조화" 한국윤리학회 1 (1): 89-116, 2017
12 교육과학기술부, "도덕과 교육과정"
13 교육인적자원부, "도덕과 교육과정"
14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
15 김용섭, "과학기술시대에 있어 응용윤리의 교육적 활용전망" 대한철학회 113 : 25-50, 2010
16 하버마스, "[단행본]인간이라는 자연의 미래 : 자유주의적 우생학 비판" 나남출판사 2003
17 박상욱, "2015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 및 쟁점 분석 - 중학교 도덕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68) : 1-26, 2020
도덕철학 및 도덕심리학 기반 대화형 통일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 윌슨(J. Wilson)과 나바에츠(D. Narvaez)를 중심으로
새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통일교육 내용 체계의 설정 원리 및 반영 방안
롤스의 차등의 원칙에 대한 고찰 : 도덕 교육에서 논쟁점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12-2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3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도덕윤리과교육외국어명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7 | 0.961 | 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