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혼과정에 있는 부모와 청소년기 자녀의 심리적 어려움 완화를 위한 문학치료 제안 - 부모따돌림증후군과 충성갈등 중심으로 - = Proposal of Literary Therapy To Alleviat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Parents and Adolescent Children in the Divorce Process - Focusing on Parental Ostracism Syndrome and Loyalty Confli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434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이혼과정에 있는 부모와 청소년기 자녀의 심리적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한 문학치료 접근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는 이혼 과정에서 복잡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부모와 자녀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수행되었으며, 부모따돌림증후군과 충성갈등 개념을 참고하여 심리적 어려움을 들여다보았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이혼과정에서 부모와 청소년기 자녀가 겪는 심리적 어려움 중 부모따돌림증후군과 충성갈등을 중심으로 살펴본 후,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주제 2가지를 도출하였다. 첫째, 부모 이혼에 관해 청소년기 자녀와 이야기할 때, 둘째, 청소년기 자녀가 비양육부모와의 면접교섭을 거부할 때이다. 또 이때 문학치료적 접근으로 활용할 수 있는 텍스트와 작업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 이혼에 관해 청소년기 자녀와 이야기할 때 선정한 텍스트는 영화 ‘흩어진 밤’이고, 둘째 청소년기 자녀가 비양육부모와 면접교섭을 거부할 때는 영화 ‘붕대클럽’ 제안했다. 한편, 본 연구에서 제시한 문학치료 작업에 대한 반응은 문학치료 프로그램에서 진행된 내용이 아니라, 참여 가족의 동의하에 1~2회기로 진행된 것으로 문학치료 접근의 효과로 제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향후 이혼과정에 있는 부모와 청소년기 자녀의 심리적 어려움 완화를 위한 문학치료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아울러 후속연구에서 이혼과정에 있는 부모와 청소년기 자녀를 대상으로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이혼과정에 있는 부모와 청소년기 자녀의 심리적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한 문학치료 접근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는 이혼 과정에서 복잡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부모와 자...

      본 연구의 목적은 이혼과정에 있는 부모와 청소년기 자녀의 심리적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한 문학치료 접근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는 이혼 과정에서 복잡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부모와 자녀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수행되었으며, 부모따돌림증후군과 충성갈등 개념을 참고하여 심리적 어려움을 들여다보았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이혼과정에서 부모와 청소년기 자녀가 겪는 심리적 어려움 중 부모따돌림증후군과 충성갈등을 중심으로 살펴본 후,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주제 2가지를 도출하였다. 첫째, 부모 이혼에 관해 청소년기 자녀와 이야기할 때, 둘째, 청소년기 자녀가 비양육부모와의 면접교섭을 거부할 때이다. 또 이때 문학치료적 접근으로 활용할 수 있는 텍스트와 작업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 이혼에 관해 청소년기 자녀와 이야기할 때 선정한 텍스트는 영화 ‘흩어진 밤’이고, 둘째 청소년기 자녀가 비양육부모와 면접교섭을 거부할 때는 영화 ‘붕대클럽’ 제안했다. 한편, 본 연구에서 제시한 문학치료 작업에 대한 반응은 문학치료 프로그램에서 진행된 내용이 아니라, 참여 가족의 동의하에 1~2회기로 진행된 것으로 문학치료 접근의 효과로 제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향후 이혼과정에 있는 부모와 청소년기 자녀의 심리적 어려움 완화를 위한 문학치료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아울러 후속연구에서 이혼과정에 있는 부모와 청소년기 자녀를 대상으로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literary therapy approach to alleviate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parents and adolescent children in the process of divorce. This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lack of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parents and children who experience complex stress during the divorce process and looked into psychological difficulties by referring to the concepts of parental ostracism syndrome and loyalty conflic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e examined parental bullying syndrome and loyalty conflict among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arents and adolescent children during the divorce process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derived two themes of psychological difficulties. First, when talking to adolescent children about their parents' divorce, and second, when adolescent children refuse to interview and negotiate with non-custodial parents. In addition, texts and works that can be used as a literary therapy approach were also suggested. Research results: First, the text selected when talking to adolescent children about their parent’s divorce was the movie “Scattered Night,” and second, when adolescent children refused to negotiate interviews with non-custodial parents, the movie 'Bandage Club' was suggested. According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a literary therapy program to alleviate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parents in the process of divorce and their adolescent children, as well as primary data for constructing the program. We want to verify its effectiveness in follow-up studies targeting parents and adolescent children in the process of divor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literary therapy approach to alleviate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parents and adolescent children in the process of divorce. This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lack of interest and un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literary therapy approach to alleviate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parents and adolescent children in the process of divorce. This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lack of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parents and children who experience complex stress during the divorce process and looked into psychological difficulties by referring to the concepts of parental ostracism syndrome and loyalty conflic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e examined parental bullying syndrome and loyalty conflict among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arents and adolescent children during the divorce process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derived two themes of psychological difficulties. First, when talking to adolescent children about their parents' divorce, and second, when adolescent children refuse to interview and negotiate with non-custodial parents. In addition, texts and works that can be used as a literary therapy approach were also suggested. Research results: First, the text selected when talking to adolescent children about their parent’s divorce was the movie “Scattered Night,” and second, when adolescent children refused to negotiate interviews with non-custodial parents, the movie 'Bandage Club' was suggested. According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a literary therapy program to alleviate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parents in the process of divorce and their adolescent children, as well as primary data for constructing the program. We want to verify its effectiveness in follow-up studies targeting parents and adolescent children in the process of divorc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