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대학 코칭 교양교육 개발을 위한 방향 탐색 및 요구 분석 : 여대생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Directions and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Coaching Courses in University Education - Focusing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25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 코칭 교육의 개발과 운영을 위하여 대학 코칭 교육의 방향과 요구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 대상의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 고, 서울 및 경기권 소재 4...

      본 연구는 대학생 코칭 교육의 개발과 운영을 위하여 대학 코칭 교육의 방향과 요구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 대상의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 고, 서울 및 경기권 소재 4년제 대학 여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연구의 윤리적 측면 확보를 위하여 소속 대학 기관연구 윤리위원회 심의 승인을 받았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였다. 대학생 코칭 교육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대학 교양과목으로서 코칭교육의 가능성과 중요성에 대한 전문가 의견 및 여대생의 요구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전문가들은 대학의 코칭 교육에서 코칭 철학의 실천과, 이를 바탕으로하는 코칭 교육의 방향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코칭문화의 확산을 위하여 다양한 비교과 프로 그램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둘째, 대학 코칭 교육에 대한 여대생들의 교육 요구는 세부 요인 중 코칭리더십 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 으며, 다음으로 코칭 스킬, 코칭 기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가 인터뷰 및 세 부 요인별로 도출된 교육요구 내용을 바탕으로 대학 코칭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세부적인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demand of coachi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oaching curriculum for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and a survey of 500 female 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demand of coachi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oaching curriculum for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and a survey of 500 female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In order to secure the ethical aspect of research, approval was obtained from the institutional research ethics committee of the affiliated university. SPSS 23.0 and AMOS 23.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demands of university student coaching education, the results of expert opinion and demand survey on the possibility and importance of coaching education as a liberal arts course in university are as follows. First, coaching education at universities emphasized by experts emphasizes the practice of coaching philosophy and the direction of coaching education based on it. In addition, various extracurricular program development were proposed to spread the coaching culture. Second, as f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educational needs for university coaching education, among the detailed factors, the education demand for coaching leadership competency was found to be the highest, followed by coaching skills and coaching basis. Third, the proposed applying the detailed pla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ollege coaching education based on the educational needs information obtained by expert interviews and detailed facto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순희, "학습코칭이 보건관련 전공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25 (25): 315-319, 2017

      2 한국코치협회, "프로그램 인증ㆍ대학프로그램"

      3 이소희, "코칭학개론" 신정 2014

      4 임정섭, "코칭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역기능적 진로사고와 진로성숙도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32 (32): 429-451, 2013

      5 조성진, "코칭이 자기효능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9 (19): 51-60, 2017

      6 조성진, "코칭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현장실험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161-176, 2018

      7 조성진, "코칭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 준비행동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영향" 대전대학교 2013

      8 조성진, "코칭이 대학생의 인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경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8 (18): 1-24, 2015

      9 한국코치협회, "코칭가이드"

      10 조성진, "코칭 효과 연구를 위한 코칭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3 (13): 27-74, 2010

      1 박순희, "학습코칭이 보건관련 전공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25 (25): 315-319, 2017

      2 한국코치협회, "프로그램 인증ㆍ대학프로그램"

      3 이소희, "코칭학개론" 신정 2014

      4 임정섭, "코칭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역기능적 진로사고와 진로성숙도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32 (32): 429-451, 2013

      5 조성진, "코칭이 자기효능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9 (19): 51-60, 2017

      6 조성진, "코칭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현장실험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161-176, 2018

      7 조성진, "코칭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 준비행동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영향" 대전대학교 2013

      8 조성진, "코칭이 대학생의 인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경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8 (18): 1-24, 2015

      9 한국코치협회, "코칭가이드"

      10 조성진, "코칭 효과 연구를 위한 코칭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3 (13): 27-74, 2010

      11 박창규, "코칭 핵심 역량" 학지사 2019

      12 조성진, "코칭 교과목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107-137, 2016

      13 한국상담코치진흥원, "코칭 A TO Z"

      14 정빛나, "일반인과 코칭전문가의 코칭에 대한 인식과 코칭서비스 요구수준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9

      15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내 상담코칭학 전공"

      16 숙명여자대학교, "숙명포탈시스템"

      17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문화스포츠대학원 아동코칭학과"

      18 지성미, "생애진로설계 코칭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적응성과 진로스트레스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9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코칭학과"

      20 백석대학교, "대학원"

      21 도미향, "대학에서의 코칭학 교육과정 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 5 (5): 5-22, 2012

      22 남상은,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대학생 또래코칭모델 개발: CAMPUS 코칭모델" 한국교육방법학회 33 (33): 101-127, 2021

      23 임이랑, "대학생의 자기주도성 향상 학업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297-309, 2020

      24 최창호, "대학생 효율적 진로관리를 위한 코칭 기법과 전략" 101-116, 2015

      25 황부순, "대학생 학습코칭 프로그램 내용 분석" 17 (17): 57-73, 2014

      26 남상은, "대학생 학사경고자를 위한 코칭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Action Research)"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281-311, 2017

      27 양미경, "대학생 인성교육을 위한 코칭역량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한국코칭학회 13 (13): 93-103, 2020

      28 경일수, "대학생 성장지향성 증진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성장지향성, 삶의 만족도, 지각된 스트레스, 긍정심리자본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사회인지동기모형을 기반으로"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6 (16): 231-263, 2019

      29 한국교양기초교육원,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표준 모델"

      30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대학"

      31 조지연, "긍정심리기반 강점 코칭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진로의사결정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3 (23): 279-304, 2016

      32 도미향, "국내·외 대학의 코칭 교육과정 분석" 한국코칭학회 13 (13): 31-51, 2020

      33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34 숙명여자대학교, "교선핵심영역 교과목 신규개발 결과보고서" 2020

      35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협상학과 협상코칭전공"

      36 아주대학교, "경영대학원 코칭전공"

      37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

      38 유정은, "강점활용 그룹코칭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4

      39 Wiggins, G., "Understanding by design" Association for Supervision & Curriculum Development 2005

      40 Jinkook Tak, "The Effects of Coaching Program on Enhancing Proactive Personality for College Freshmen"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24 (24): 55-81, 2017

      41 Hee-Eun Kim, "The Effect of Emotion Coaching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ubjective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tions of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14 (14): 625-632, 2016

      42 국제코칭연맹 한국지부, "ICF 2019 회원 현황"

      43 Miyoung Shim, "Effects of Coaching Program on Enhancing Student Leadership Practices"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26 (26): 183-208, 2019

      44 Young-sook Seo, "Effect of Career Coaching Program for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Self-leadership, and Employment-stress of Nursing students'"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 (17): 138-145, 2016

      45 Whitmore, J., "Coaching for performance. Boston" Nicholas Brealey Publishing 2009

      46 Collins, G., "Christian Coaching : Helping Others Turn Potential into Reality" NavPress Publishing Group 2001

      47 Sang Seub Lee, "A Case Study of Coaching Programs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 D University" Korea Lifelong Education and HRD Institute 13 (13): 65-84, 2017

      48 박정영, "3CsⅠ 베이직 워크북"

      49 榎本英剛, "(부하의 능력을 열두 배 키워주는) 마법의 코칭" 새로운제안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