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교실 밖 화학체험학습 프로그램이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 Application Effects of Out-of-class Chemical Experience Learning Programs on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 for Middle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324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of this work was to study the applied effects of out-of-class Chemical Experience Learning (CEL) Programs on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out-of-class CEL Programs which were developed ...

      purpose of this work was to study the applied effects of out-of-class Chemical Experience Learning (CEL) Programs on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out-of-class CEL Programs which were developed to make the funny out-of-class chemistry and the exciting science class', included the nature-friendly chemical experiments suitable for natural environment and composed of real life-centered experiences. The out-of-class CEL programs were applied to natural environment through all-day improvement activity. The science club students in D middle school in Busan were selected as the objects of the study consisting of one experiment group and one control group. The out-of-class CEL program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 group and traditional class method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The change of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between two group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students reaction on the out-of-class CEL programs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out-of-class nature-friendly chemical experiments were improved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lso, more than 70%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gave positive feedbacks to the out-of-class CEL programs and increased attention, interest, and degree of self-participation in sci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는 교실 밖 화학체험학습 프로그램의 적용이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교실 밖 화학체험학습 프로그램은 ‘재미있는 교실 밖 화...

      연구는 교실 밖 화학체험학습 프로그램의 적용이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교실 밖 화학체험학습 프로그램은 ‘재미있는 교실 밖 화학, ‘신나는 과학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자연환경에 부합되는 화학체험 제재를 선정하여 자연에서 실험 소재를 구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경험할 수 있는 자연친화적 화학실험으로 구성되었다. 교실 밖 화학체험학습 프로그램은 전일제 계발활동을 통하여 교실과 실험실을 벗어난 자연환경에서 적용하였다. D중학교 3학년 과학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 집단은 교실 밖 화학체험학습 프로그램에 참가시키고 비교 집단은 전통적 수업방식을 따랐다. 두 집단 사이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관련 태도의 변화를 비교·분석하고 교실 밖 화학체험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교실 밖 자연친화적 화학실험은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관련 태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학생들의 70% 이상이 교실 밖 화학체험학습 프로그램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 자발적 참여도가 높아졌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학교 주5일 수업제 안내" 선명인쇄 2001

      2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해설" 대한교과서 1999

      3 부산광역시교육청., "중등학교 특별활동 프로그램 개발." 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 2003.

      4 "놀이공원의 과학탐방을 통한 중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와 물리 개념 성취도 변화에 대한 연구." 2003

      5 "남녀 학생의 물리 관련 경험 희망직업 및 성취도에 관한 연구." 1992

      6 "과학행사가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2000

      7 "과학체험교육 어떻게 실시되고 있나" 드림웍스 21 2006.

      8 "과학체험교육" 드림웍스 21 -21, 2005.

      9 "과학-기술-사회와 과학교육" 교육과학사 1994.

      10 Yager, R. E., "Science/Technology/Society as reform in science educ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7.

      1 "학교 주5일 수업제 안내" 선명인쇄 2001

      2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해설" 대한교과서 1999

      3 부산광역시교육청., "중등학교 특별활동 프로그램 개발." 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 2003.

      4 "놀이공원의 과학탐방을 통한 중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와 물리 개념 성취도 변화에 대한 연구." 2003

      5 "남녀 학생의 물리 관련 경험 희망직업 및 성취도에 관한 연구." 1992

      6 "과학행사가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2000

      7 "과학체험교육 어떻게 실시되고 있나" 드림웍스 21 2006.

      8 "과학체험교육" 드림웍스 21 -21, 2005.

      9 "과학-기술-사회와 과학교육" 교육과학사 1994.

      10 Yager, R. E., "Science/Technology/Society as reform in science educ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7.

      11 "STS교육의 이해와 적용" 교학사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8 0.14 0.364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