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동학대 행위 중단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Parents` Desistance from Child Abusive Behavi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505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학대 한 경험을 갖고 있는 부모 또는 양육자들이 어떻게 학대 행위를 중단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며 상호 작용하는지 탐색함으로써 아동학대 행위 중단 과정을 설명하고, 궁극적으로는 아동보호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 지식과 방안을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한 중심 질문은 "아동학대 경험을 갖고 있는 부모 또는 양육자가 학대 행위를 중단해 가는 경우, 그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였다. 본 연구 참여자는 아동학대 행동을 중단한 부모 9명이었다. 연구 자료는 연구 참여자 심층개별면접을 통해 수집하였다. 근거이론방법에 의한 분석결과 개방코딩에서는 93개의 개념, 32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아동학대 행위 중단과정은 부모 자신의 `통찰`로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통찰은 부모의 개인적 경험이나 인식의 전환만이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자극과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을 객관화시키게 되면서 더욱 촉진되었으며 학대 행위 중단의 전 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현상이었다. 아동학대 행위에 대한 통찰이 일어나면서 참여자들은 적응적 양육방법을 찾아가게 되는데 이때 중재적 조건인 `사회적 지지 체계의 구축`과 `변화 매개체로서 사회복지 서비스 활용`이 아동학대 행위 중단에 중요한 조건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적 양육방법으로의 변화 노력의 결과를 통해 자녀, 참여자 자신, 가족관계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성공적 경험이 축적되고 이러한 경험은 참여자의 변화 노력을 지속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아동학대 한 경험을 갖고 있는 부모 또는 양육자들이 어떻게 학대 행위를 중단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며 상호 작용하는지 탐색함으로써 아동학대 행위 ...

      본 연구는 아동학대 한 경험을 갖고 있는 부모 또는 양육자들이 어떻게 학대 행위를 중단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며 상호 작용하는지 탐색함으로써 아동학대 행위 중단 과정을 설명하고, 궁극적으로는 아동보호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 지식과 방안을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한 중심 질문은 "아동학대 경험을 갖고 있는 부모 또는 양육자가 학대 행위를 중단해 가는 경우, 그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였다. 본 연구 참여자는 아동학대 행동을 중단한 부모 9명이었다. 연구 자료는 연구 참여자 심층개별면접을 통해 수집하였다. 근거이론방법에 의한 분석결과 개방코딩에서는 93개의 개념, 32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아동학대 행위 중단과정은 부모 자신의 `통찰`로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통찰은 부모의 개인적 경험이나 인식의 전환만이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자극과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을 객관화시키게 되면서 더욱 촉진되었으며 학대 행위 중단의 전 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현상이었다. 아동학대 행위에 대한 통찰이 일어나면서 참여자들은 적응적 양육방법을 찾아가게 되는데 이때 중재적 조건인 `사회적 지지 체계의 구축`과 `변화 매개체로서 사회복지 서비스 활용`이 아동학대 행위 중단에 중요한 조건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적 양육방법으로의 변화 노력의 결과를 통해 자녀, 참여자 자신, 가족관계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성공적 경험이 축적되고 이러한 경험은 참여자의 변화 노력을 지속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to explain the process of desistance from child abuse, by exploring how the parents who had abused their children in the past could desist from child abuse and what factors affected the process. The ultimat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knowledge and meanings applicable to child welfare practice. The main question of this study was "What experiences did parents have in the process of desisting from child abuse?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9 parents who desisted from child abusive behavi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t the result of the data analysis using the grounded theory, 93 concepts, 32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were induced in open coding. The process of desistance from child abusive behaviors began with the parent`s `insight.` This insight was facilitated not only by the parent`s personal experience or change of consciousness but also by the outer stimuli and interaction. The insight was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desistance from abuse behavior. With the insight, participants looked for an adaptive ways of child rearing. The intervening conditions such as `the using of social welfare service as a change agency` and `the establishment of social support system` were discovered as important conditions to desistance from child abusive behaviors. As the result of endeavors for change to an adaptive child rearing, the successful experiences of changing of the child, participant, and family relationship were accumulated, which became the factor enabling the participant to keep the endeavor. A theory unifying the process and types of desistance from child abusive behaviors were suggested from the study result.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to explain the process of desistance from child abuse, by exploring how the parents who had abused their children in the past could desist from child abuse and what factors affected the process. The ultimate aim o...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to explain the process of desistance from child abuse, by exploring how the parents who had abused their children in the past could desist from child abuse and what factors affected the process. The ultimat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knowledge and meanings applicable to child welfare practice. The main question of this study was "What experiences did parents have in the process of desisting from child abuse?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9 parents who desisted from child abusive behavi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t the result of the data analysis using the grounded theory, 93 concepts, 32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were induced in open coding. The process of desistance from child abusive behaviors began with the parent`s `insight.` This insight was facilitated not only by the parent`s personal experience or change of consciousness but also by the outer stimuli and interaction. The insight was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desistance from abuse behavior. With the insight, participants looked for an adaptive ways of child rearing. The intervening conditions such as `the using of social welfare service as a change agency` and `the establishment of social support system` were discovered as important conditions to desistance from child abusive behaviors. As the result of endeavors for change to an adaptive child rearing, the successful experiences of changing of the child, participant, and family relationship were accumulated, which became the factor enabling the participant to keep the endeavor. A theory unifying the process and types of desistance from child abusive behaviors were suggested from the study resul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현, "통찰과 사고 양식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2004

      2 이희연, "청소년 탈비행화 과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4

      3 신경림,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4 배화옥, "아동학대 재발생의 유형과 요인에 대한 다변량생존분석" 한국아동복지학회 (18) : 63-83, 2004

      5 김세원, "아동학대 재발생의 영향 요인" 서울대학교 2008

      6 이현기, "아동학대 유형별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3) : 77-108, 2005

      7 지주예, "아동학대 가해 부모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2

      8 이봉주, "아동방임의 쟁점과 대책"

      9 박미경, "아동방임 유형별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5

      10 김현옥, "아동 신체적 학대를 예측하기 위한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2 : 163-185, 2005

      1 김지현, "통찰과 사고 양식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2004

      2 이희연, "청소년 탈비행화 과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4

      3 신경림,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4 배화옥, "아동학대 재발생의 유형과 요인에 대한 다변량생존분석" 한국아동복지학회 (18) : 63-83, 2004

      5 김세원, "아동학대 재발생의 영향 요인" 서울대학교 2008

      6 이현기, "아동학대 유형별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3) : 77-108, 2005

      7 지주예, "아동학대 가해 부모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2

      8 이봉주, "아동방임의 쟁점과 대책"

      9 박미경, "아동방임 유형별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5

      10 김현옥, "아동 신체적 학대를 예측하기 위한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2 : 163-185, 2005

      11 노충래, "아동 및 가해자의 특성에 따른 아동학대의 심각성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13) : 123-154, 2002

      12 Green,R, "사회복지와 탄력성" 나눔의 집 2004

      13 최명민, "사회복지사 셀프-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정신보건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02

      14 Strauss,A., "근거이론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1996

      15 강은영, "경력범죄자의 성인초기 범죄지속과 중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6

      16 Kemp,A, "가족학대ㆍ가족폭력" 나남출판 2001

      17 Fryer,G., "survival aanalysis of the revictimization of children: The case of Colorado" 18 : 1063-1071, 1994

      18 Brown,J., "longitudinal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child maltreatment: findings of a 17-year prospective study of officially recorded and self-reported child abuse and neglect" 22 : 1065-1078, 1998

      19 Murphy,M., "What happens after the care and protection petition? Reabuse in court sample" 16 : 485-493, 1992

      20 Baird,C., "Using risk assessment to structure decisions about services, protecting children: The Michigan model" The National Council on Crime and Delinquency 1-7, 1992

      21 Laub,J., "Understanding desistance from crime. in Crime and Justice 28"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

      22 Bottoms,A., "Towards desistance: Theoretical underpinnings for an empirical study" 43 (43): 368-389, 2004

      23 Lezin, N, "Theories and approaches: Stages of change model" ETR’s Resource Center for Adolescent Pregnancy Prevention

      24 Baumrind,D, "The social context of child maltreatment" 43 (43): 360-368, 1994

      25 Whipple,E, "The role of parental stress in physically abusive families" 15 : 279-291, 1991

      26 Terling,T, "The efficacy of family reunification practices: Reentry rates and correlates of reentry for abused and neglected children reunited with their families" 23 : 1359-1370, 1999

      27 DePanfilis,D., "The effect of services on the recurrence of child maltreatment" 26 : 187-205, 2002

      28 Johnson,H, "The cessation of assaults on wives" 34 (34): 75-91, 2003

      29 Marshall,D, "Survival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recidivism in child abuse and neglect" 4 : 287-296, 1999

      30 Farrall,S., "Structuration, human development and desistance from crime" 39 (39): 253-269, 1999

      31 Kotch,J., "Stress, social support, and substantiated maltreatment in the second and third years of life" 21 : 1025-1037, 1997

      32 Straus,M, "Stress and physical abuse" 4 : 75-88, 1980

      33 Aldarondo,E., "Social predictors of wife assault" 1995

      34 Romans,S., "Sexual abuse in childhood and deliberate self harm" 152 : 1336-1342, 1995

      35 Aldarondo,E., "Risk marker analysis of the cessation and persistence of wife assault" 64 (64): 1010-1019, 1996

      36 Herrenkohl,E., "Risk factors for behavioral dysfunction: The relative impact of maltreatment, ses, physical health problem, cognitive ability, and qulity of parent-child interaction" 19 (19): 191-203, 1995

      37 Moe,B., "Retrospective accounts of recurrent parental physical abuse as a predictor of adult laboratory-induced aggression" 30 : 217-228, 2004

      38 Fluke,J., "Recurrence of maltreatment: An application of the national child abuse and neglect data system (NCANDS)" 23 : 633-650, 1999

      39 Levy,H., "Reabuse rates in a sample of children followed for 5 years after discharge from a child abuse inpatient assessment program" 19 (19): 1363-1377, 1995

      40 Levy,H., "Reabse rates in a sample of children followed for 5 years after discharge from a child abuse inpatient assessment program" 19 : 1363-1377, 1995

      41 Chaffin,M., "Onset of physical abuse and neglect: psychiatric, substance abuse and social risk factors from prospective community data" 20 : 191-203, 1996

      42 Maruna,S, "Making good: How ex-Convicts reform and rebuild their live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1

      43 Sanders,T., "Factors affecting clinical referral of young children with a subdural haemorrhage to child protection agencies" 12 (12): 353-373, 2003

      44 Littell,J, "Effects of the duration, intensity, and breadth of family preservation service: A new analysis of data from the Illinois Family First experiment" 19 : 17-39, 1997

      45 Chaffin.M., "Dynamic prediction characteristics of child abuse potential inventory" 27 : 463-481, 2003

      46 Farrington,D.P, "Developmental and life-course criminology: ley theoretical and empirical issues" 41 (41): 221-236, 2003

      47 Jonson-Reid,M., "Cross-type recidivism among child maltreatment victims and perpetrators" 27 : 899-917, 2003

      48 Uggen,C., "Crime in the breaking: Gender differences in desistance" 32 : 339-366, 1998

      49 Straus,M., "Corporal punishment of adolescents by parents: A rrisk factor in the epidemiology of depression, suicide, alcohol abuse, child abuse, and wife beating" 29 : 543-561, 1994

      50 Buchholz,E., "Children of adolescent mothers: are they at risk for abuse?" 28 : 361-382, 1993

      51 Sidebotham,P., "Child maltreatment in the 'children of the nineties': A longitudinal study of parental risk factors" 25 : 1177-1200, 2001

      52 Littell,J., "Caregivers’ readiness for change: predictive validity in a child welfare sample" 29 : 59-80, 2005

      53 Littell,J., "Caregivers’ readiness for change: predictive validity in a child welfare sample" 29 : 59-80, 2005

      54 Langeland,W., "Breaking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child abuse: beyond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4 : 4-13, 1995

      55 Stier,D., "Are children born to young mothers at increased risk of maltreatment?" 91 : 642-648, 1993

      56 Brayden,R., "Antecedents of child neglect in the first two years of life" 120 : 426-429, 1992

      57 Lipien,L., "An event history analysis of recurrent child maltreatment reports in Florida" 28 : 947-966, 2004

      58 Bushway,S., "An empirical framework for studying desistance as a process" 39 (39): 491-515, 2001

      59 Shover,N., "Age, differential expectations, and crime desistance" 30 : 89-104, 1992

      60 Moffitt,T, "Adolescent-limited and life-course persistent antisocial behavior: A developmental taxonomy" 100 : 674-701, 1993

      61 Simons,R., "A test of latent trait versus life-course perspectives on the stability of adolescent antisocial behavior" 36 : 217-342, 1998

      62 Conger,R., "A family process model of economic hardship and adjustment of early adolescent boys" 63 : 526-541, 1992

      63 보건복지부, "2008년도 아동ㆍ청소년백서" 보건복지부 2009

      64 보건복지부, "2008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보건복지부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4 1.64 1.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5 2.11 2.512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