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메타버스(Metaverse)로 구현하는 중국신화 — 게더타운(gather.town)을 통한 《산해경(山海經)》의 재현과 활용 = Chinese Myth World Reproducted with Metaverse: Representation and Application of Shanhaijing through gather.tow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78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presented a worldview of myth through a metaverse platform, focusing on the commonalities of metaverse and myth as a virtual world, and examined its academic, educational values and possibilities of development into the content industry. For these, first, the features of metaverse and myth as a virtual worldview were compared, and through that, it was varified that the possibility of representation a mythical worldview using metaverse. Based on this possibility, the worldview of the Shanhaijing, which represents Chinese myths, was reproduced with “gather.town” as a metaverse platform for non-face-to-face meetings. In addition, this study introduced the case of using metaverse Shanhaijing in the undergraduate class and discussed future supplementary points and ways to use them.
      번역하기

      This study represented a worldview of myth through a metaverse platform, focusing on the commonalities of metaverse and myth as a virtual world, and examined its academic, educational values and possibilities of development into the content industry. ...

      This study represented a worldview of myth through a metaverse platform, focusing on the commonalities of metaverse and myth as a virtual world, and examined its academic, educational values and possibilities of development into the content industry. For these, first, the features of metaverse and myth as a virtual worldview were compared, and through that, it was varified that the possibility of representation a mythical worldview using metaverse. Based on this possibility, the worldview of the Shanhaijing, which represents Chinese myths, was reproduced with “gather.town” as a metaverse platform for non-face-to-face meetings. In addition, this study introduced the case of using metaverse Shanhaijing in the undergraduate class and discussed future supplementary points and ways to use th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가상세계로서 메타버스와 신화가 갖는 공통점에 착안하여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신화의 세계관을 재현하고 그것의 학술적, 교육적 가치와 콘텐츠 산업으로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고찰했다. 이를 위해 우선 가상적 세계관으로서 메타버스와 신화의 특성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메타버스를 활용한 신화적 세계관 재현의 가능성을 확인해보았다. 그리고 이 가능성에 기반하여 중국문헌신화를 대표하는 《산해경(山海經)》의 세계인식을 고찰하고 이를 비대면 회의용 메타버스 플랫폼 ‘게더타운(gather.town)’으로 구현했다. 아울러 학부 강의에서 ‘게더타운(gather.town)’으로 구현한 《산해경》의 활용 사례를 소개하고 이 과정에서 확인했던 향후 보완점과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가상세계로서 메타버스와 신화가 갖는 공통점에 착안하여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신화의 세계관을 재현하고 그것의 학술적, 교육적 가치와 콘텐츠 산업으로의 발전 가능성에 대...

      본 연구는 가상세계로서 메타버스와 신화가 갖는 공통점에 착안하여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신화의 세계관을 재현하고 그것의 학술적, 교육적 가치와 콘텐츠 산업으로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고찰했다. 이를 위해 우선 가상적 세계관으로서 메타버스와 신화의 특성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메타버스를 활용한 신화적 세계관 재현의 가능성을 확인해보았다. 그리고 이 가능성에 기반하여 중국문헌신화를 대표하는 《산해경(山海經)》의 세계인식을 고찰하고 이를 비대면 회의용 메타버스 플랫폼 ‘게더타운(gather.town)’으로 구현했다. 아울러 학부 강의에서 ‘게더타운(gather.town)’으로 구현한 《산해경》의 활용 사례를 소개하고 이 과정에서 확인했던 향후 보완점과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안, "회남자" 소명출판 2010

      2 오상학, "조선후기 원형 천하도의 특성과 세계관" 35 (35): 231-244, 2001

      3 신홍주 ; 김효용, "장소특정적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통한 장소성의 재구성 연구 위치기반 AR 게임 <퍼퓸 오브 더 시티: 목포>를 중심으로"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7 (17): 296-316, 2021

      4 노수경, "영감의 공간으로서의 서원" 한국서원학회 (13) : 109-132, 2021

      5 오세정, "신화의 가능세계와 의미론 : 가능세계의 특성과 관계를 중심으로" 시학과언어학회 (16) : 207-225, 2009

      6 오세정, "신화, 판타지, 팩션의 서사론과 가능세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4 (14): 429-454, 2010

      7 한혜원, "신화 퀘스트에 기반한 디지털 게임 스토리텔링 연구" 탐라문화연구원 (34) : 135-160, 2009

      8 권창희, "스마트시티기반의 메타버스(Metaverse)를 통한 도시문제해결 방안에 관한 연구" 기초과학연구원 14 (14): 21-26, 2021

      9 닐 스티븐슨, "스노 크래시: 닐 스티븐슨 SF장편소설1, 2" 문학세계사 2021

      10 서용덕, "세마 도트 오락실: 화상회의 플랫폼 게더타운 활용 공동체 놀이를통한미술관 전시 경험의 확장" 822-824, 2022

      1 유안, "회남자" 소명출판 2010

      2 오상학, "조선후기 원형 천하도의 특성과 세계관" 35 (35): 231-244, 2001

      3 신홍주 ; 김효용, "장소특정적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통한 장소성의 재구성 연구 위치기반 AR 게임 <퍼퓸 오브 더 시티: 목포>를 중심으로"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7 (17): 296-316, 2021

      4 노수경, "영감의 공간으로서의 서원" 한국서원학회 (13) : 109-132, 2021

      5 오세정, "신화의 가능세계와 의미론 : 가능세계의 특성과 관계를 중심으로" 시학과언어학회 (16) : 207-225, 2009

      6 오세정, "신화, 판타지, 팩션의 서사론과 가능세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4 (14): 429-454, 2010

      7 한혜원, "신화 퀘스트에 기반한 디지털 게임 스토리텔링 연구" 탐라문화연구원 (34) : 135-160, 2009

      8 권창희, "스마트시티기반의 메타버스(Metaverse)를 통한 도시문제해결 방안에 관한 연구" 기초과학연구원 14 (14): 21-26, 2021

      9 닐 스티븐슨, "스노 크래시: 닐 스티븐슨 SF장편소설1, 2" 문학세계사 2021

      10 서용덕, "세마 도트 오락실: 화상회의 플랫폼 게더타운 활용 공동체 놀이를통한미술관 전시 경험의 확장" 822-824, 2022

      11 배우성, "서구식 세계지도의 조선적 해석, <천하도>" 22 (22): 51-79, 2000

      12 서경호, "산해경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6

      13 정재서, "산해경" 민음사 2012

      14 여명숙, "사이버스페이스의 존재론과 그 심리철학적 함축"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15 김창식 ; 이윤희 ; 안현철, "메타버스에 관한 연구: 뉴스 빅데이터 서비스 활용과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17 (17): 85-101, 2021

      16 한혜원, "메타버스 내 가상세계의 유형 및 발전방향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9 (9): 317-323, 2008

      17 윤현정 ; 이진 ; 윤혜영, "메타버스 개념과 유형에 관한 시론: 가능세계 이론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62) : 57-80, 2021

      18 이동은, "디지털게임의 공간성에 관한 연구: MMORPG를 중심으로" (62) : 1-13, 2007

      19 전경란, "디지털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 상호작용성과 서사성의 충돌과 타협"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0 김주연 ; 황용섭, "디지털 게임의 공간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33 : 3-10, 2002

      21 김수연 ; 윤서연 ; 오지원, "디지털 감수성과 대학의 고전문학 교육 - 메타버스를 활용한 <고전문학과 영상>(DT)를 중심으로 -" 이화어문학회 (56) : 5-28, 2022

      22 송동영, "근현대 중국 신화학의 매체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23 "국립중앙박물관"

      24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도서관 디지털자료실"

      25 하수철, "게임 공간의 분류와 시나리오의 시간 및 공간 동기화 표현법" 6 (6): 2630-2641, 1999

      26 류철균, "가상세계 스토리텔링 이론" 3 : 7-35, 2008

      27 劉安, "淮南子" 上海古籍出版社 1989

      28 袁珂, "山海經校注" 里仁書局 1995

      29 이석구, "《山海經》神話文本性與篇章結構象徵考察" 중국어문학연구회 (108) : 243-259, 2018

      30 李碩九, "《山海經》宇宙認識及其象徵敘述研究" 國立臺灣師範大學 2019

      31 "Metaverse Roadmap"

      32 이영수, "AR을 활용한 모바일 기반 대체 현실 게임의 공간 스토리텔링 연구 - <작전명: 소원>을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60) : 45-78, 2020

      33 문현선, "

      34 홍윤희, "1920년대 중국, ‘국가의 신화’를 찾아서- 胡適, 魯迅, 茅盾의 중국신화 단편성 논의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연구회 (28) : 491-510,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29 0.686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