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중등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디버깅 활동의 조망을 위한 컨조인트 기반 교수법 선호도 분석 = Analysis of Conjoint-Based Teaching Method Preferences for Perspective of Debugging Activiti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Programming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975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information education transitioned to a problem-solving-centered education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The revised curriculum of 2022 further expanded programming education in the field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oftware education. Currently, programming education focuses on program writing through project-bas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education, thereby relatively overlooking the importance of reading programs and debugging skills. This oversight is attributed to existing research generally considering debugging activities as personal and specific tasks aimed at finding program errors. This paper reinterprets the concept of debugging, beyond merely fixing errors, to looking out and analyzing errors at a systematic and abstract level using chaos engineering and levels of processing theory. After applying this reinterpretation to conjoint analysis, it surveyed the teaching methods preferred by prospective information teachers. Additionally, based on the issues revealed in teaching methods, it suggested improvements for programming teaching methods. This paper argues that programming education should move beyond simple coding skills to cultivate problem-solving and error analysis capabilities, providing foundational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to achieve this goal.
      번역하기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information education transitioned to a problem-solving-centered education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The revised curriculum of 2022 further expanded programming education in the fields of artificial intelligen...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information education transitioned to a problem-solving-centered education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The revised curriculum of 2022 further expanded programming education in the field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oftware education. Currently, programming education focuses on program writing through project-bas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education, thereby relatively overlooking the importance of reading programs and debugging skills. This oversight is attributed to existing research generally considering debugging activities as personal and specific tasks aimed at finding program errors. This paper reinterprets the concept of debugging, beyond merely fixing errors, to looking out and analyzing errors at a systematic and abstract level using chaos engineering and levels of processing theory. After applying this reinterpretation to conjoint analysis, it surveyed the teaching methods preferred by prospective information teachers. Additionally, based on the issues revealed in teaching methods, it suggested improvements for programming teaching methods. This paper argues that programming education should move beyond simple coding skills to cultivate problem-solving and error analysis capabilities, providing foundational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to achieve this go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15년 개정된 교육과정에서는 정보교육이 컴퓨팅 사고력을 기반으로 한 문제해결력 중심의 교육으로 변화되었다. 2022년 개정된 교육과정에서도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 교육 분야에서 프로그래밍 교육이 더욱 확대되었다. 현재 프로그래밍 교육은 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문제해결학습 등을 통해 프로그램 작성에 중점을 두고 있어, 프로그램 읽기와 디버깅 능력의 중요성을 상대적으로 간과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 디버깅 활동을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오류를 찾는 개인적이며 구체적인 활동으로 간주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고, 본 연구에서는 디버깅 활동을 오류를 단순히 수정하는 것을 넘어, 체계적이고 추상적인 수준에서 조망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카오스 엔지니어링과 해석 수준 이론을 활용하여 디버깅 개념을 재해석하고, 이를 컨조인트 분석법에 적용한 후, 정보 예비교사들이 선호하는 교수법을 조사하였다. 또한, 교수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교수법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교육이 단순한 코드 작성 기술을 넘어서 문제해결과 오류 분석 능력을 함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주장하며, 이를 위한 교수법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번역하기

      2015년 개정된 교육과정에서는 정보교육이 컴퓨팅 사고력을 기반으로 한 문제해결력 중심의 교육으로 변화되었다. 2022년 개정된 교육과정에서도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 교육 분야에서 프로...

      2015년 개정된 교육과정에서는 정보교육이 컴퓨팅 사고력을 기반으로 한 문제해결력 중심의 교육으로 변화되었다. 2022년 개정된 교육과정에서도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 교육 분야에서 프로그래밍 교육이 더욱 확대되었다. 현재 프로그래밍 교육은 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문제해결학습 등을 통해 프로그램 작성에 중점을 두고 있어, 프로그램 읽기와 디버깅 능력의 중요성을 상대적으로 간과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 디버깅 활동을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오류를 찾는 개인적이며 구체적인 활동으로 간주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고, 본 연구에서는 디버깅 활동을 오류를 단순히 수정하는 것을 넘어, 체계적이고 추상적인 수준에서 조망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카오스 엔지니어링과 해석 수준 이론을 활용하여 디버깅 개념을 재해석하고, 이를 컨조인트 분석법에 적용한 후, 정보 예비교사들이 선호하는 교수법을 조사하였다. 또한, 교수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교수법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교육이 단순한 코드 작성 기술을 넘어서 문제해결과 오류 분석 능력을 함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주장하며, 이를 위한 교수법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