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디지털정보환경에서 커뮤니케이션 대상으로서의 디자인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Design as a Communicational Object in the Digital InformationalEnviro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777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21st century is the period of InformationalDesign. So far, the information was regarded as aproces of the comunication than the own purposeof Design itself but now, people starts to researchthe value & eficiency of the digital information andthe design's role on the function.In Korea, many people started to recognize thened of research for the role of Design in theInformational environment. The research about hedigital informational environment has ben procesedbased on the contents & making proces in theDesign area while it is procesed by furtherfundamental principle in other area.This paper was tudied based on a semanticaproach not on the content. Firstly, we wilconsider the definition of information & thedirection of Design. The Design is acomunicational object. However, the xternalcomunication betwen the designers, the object ofdesign and the customers was not regarded as animportant factor in the today's informationalenvironment as the importance of the internalcomunication & the relation betwen material &mental formation is being raised. Thecontemporary Design eds the combination ofexternal & internal comunication to be moreeficient informational object. Therefore, we wilstudy how the digital informational environmentafects the design environment and wil research thenew direction of Design by defining the concept ofthe Design(Keyword)digital information, environment,comunication, design
      번역하기

      The 21st century is the period of InformationalDesign. So far, the information was regarded as aproces of the comunication than the own purposeof Design itself but now, people starts to researchthe value & eficiency of the digital information andthe d...

      The 21st century is the period of InformationalDesign. So far, the information was regarded as aproces of the comunication than the own purposeof Design itself but now, people starts to researchthe value & eficiency of the digital information andthe design's role on the function.In Korea, many people started to recognize thened of research for the role of Design in theInformational environment. The research about hedigital informational environment has ben procesedbased on the contents & making proces in theDesign area while it is procesed by furtherfundamental principle in other area.This paper was tudied based on a semanticaproach not on the content. Firstly, we wilconsider the definition of information & thedirection of Design. The Design is acomunicational object. However, the xternalcomunication betwen the designers, the object ofdesign and the customers was not regarded as animportant factor in the today's informationalenvironment as the importance of the internalcomunication & the relation betwen material &mental formation is being raised. Thecontemporary Design eds the combination ofexternal & internal comunication to be moreeficient informational object. Therefore, we wilstudy how the digital informational environmentafects the design environment and wil research thenew direction of Design by defining the concept ofthe Design(Keyword)digital information, environment,comunication, desig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세기는 정보디자인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요구21되는 시대이다 지금까지의 정보가 디자인의 목적이 아닌.전달 프로세스로만 인식되어 왔다면 지금 세계는 디지털,정보에 대한 정보의 가치성 효율성 그리고 기능성에 대,한 디자인 역할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국내에서도 정보환경 속에서의 디자인 역할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많은 연구들이 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타 분야에서의 디지털 정보환경에 대한 연구가심층적 구조분석에서부터 시작되는 반면 디자인 분야에,서의 연구 경향은 대부분 정보디자인의 컨텐츠적인 제작측면에서 바라보는 경향이 강하다.본 연구는 컨텐츠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이 아닌 의미론적측면에서 접근해 보려한다 이에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먼저 디지털 정보환경에서의 정보의 개념과 디자인 방향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물론 디자인은 커뮤니케이션.적 대상이다 하지만 오늘날 디지털 정보환경에서는 디자.이너와 디자인 대상 그리고 이를 수용하는 수용자 차원에서의 외적 커뮤니케이션이 더 이상 커다란 의미를 획득하지 못하고 있다 변화된 디자인 환경에서의 물적 정. ,신적 구성 요소간의 관계인 내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중요성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디자인을 두.가지의 커뮤니케이션 조화를 이룰 때 비로소 완전한 정보의 대상으로서 평가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정보환경이 실제적으로 디자인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 개념정리를 통해 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번역하기

      )세기는 정보디자인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요구21되는 시대이다 지금까지의 정보가 디자인의 목적이 아닌.전달 프로세스로만 인식되어 왔다면 지금 세계는 디지털,정보에 대한 정보...

      )세기는 정보디자인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요구21되는 시대이다 지금까지의 정보가 디자인의 목적이 아닌.전달 프로세스로만 인식되어 왔다면 지금 세계는 디지털,정보에 대한 정보의 가치성 효율성 그리고 기능성에 대,한 디자인 역할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국내에서도 정보환경 속에서의 디자인 역할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많은 연구들이 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타 분야에서의 디지털 정보환경에 대한 연구가심층적 구조분석에서부터 시작되는 반면 디자인 분야에,서의 연구 경향은 대부분 정보디자인의 컨텐츠적인 제작측면에서 바라보는 경향이 강하다.본 연구는 컨텐츠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이 아닌 의미론적측면에서 접근해 보려한다 이에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먼저 디지털 정보환경에서의 정보의 개념과 디자인 방향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물론 디자인은 커뮤니케이션.적 대상이다 하지만 오늘날 디지털 정보환경에서는 디자.이너와 디자인 대상 그리고 이를 수용하는 수용자 차원에서의 외적 커뮤니케이션이 더 이상 커다란 의미를 획득하지 못하고 있다 변화된 디자인 환경에서의 물적 정. ,신적 구성 요소간의 관계인 내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중요성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디자인을 두.가지의 커뮤니케이션 조화를 이룰 때 비로소 완전한 정보의 대상으로서 평가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정보환경이 실제적으로 디자인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 개념정리를 통해 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정미 감각기관을 통한 정보의 상호간섭에 관한. 연구 시각과 청각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테크노" 디자인대학원. 20.

      2 "비평과 이론 제 권 제 호" 4 198-2,

      3 "로만 야콥슨"

      4 "김홍배 류시천 제품 디자인에 나타나는 디지털 컨버전스 .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204-35,

      5 "The Extension of Man" menetboks.1964.

      6 "Surdetermination deux modeles Le Design et I'Environement Informational" 藝術工學191.

      7 "Michalen Moeninger. Die neue Kuenstlichkeit- in algemeine Frankfurt Zeitung Nr. 93"

      8 ". 인터랙션디자인 방향에 대한 고찰 한국기초조형학회. 207. Vol. 4."

      9 ".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comunication in society. 1949."

      1 "안정미 감각기관을 통한 정보의 상호간섭에 관한. 연구 시각과 청각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테크노" 디자인대학원. 20.

      2 "비평과 이론 제 권 제 호" 4 198-2,

      3 "로만 야콥슨"

      4 "김홍배 류시천 제품 디자인에 나타나는 디지털 컨버전스 .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204-35,

      5 "The Extension of Man" menetboks.1964.

      6 "Surdetermination deux modeles Le Design et I'Environement Informational" 藝術工學191.

      7 "Michalen Moeninger. Die neue Kuenstlichkeit- in algemeine Frankfurt Zeitung Nr. 93"

      8 ". 인터랙션디자인 방향에 대한 고찰 한국기초조형학회. 207. Vol. 4."

      9 ".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comunication in society. 194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12-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8 0.81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