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0여 년 동안 한국과 일본은 역사교과서 기술과 역사인식을 둘러 싸고 정부레벨에서까지 극도의 갈등과 대립을 보인 적이 있다 그런 와중 에서도 민간레벨에서는 여러 가지 채널을 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42556
200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34(32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30여 년 동안 한국과 일본은 역사교과서 기술과 역사인식을 둘러 싸고 정부레벨에서까지 극도의 갈등과 대립을 보인 적이 있다 그런 와중 에서도 민간레벨에서는 여러 가지 채널을 통...
최근 30여 년 동안 한국과 일본은 역사교과서 기술과 역사인식을 둘러 싸고 정부레벨에서까지 극도의 갈등과 대립을 보인 적이 있다 그런 와중 에서도 민간레벨에서는 여러 가지 채널을 통해 역사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歷史對話를 계속 해왔다. 역사대화의 초점은 주로 역사교과서에 기술된 한일관계사의 내용과 상대국에 대한 이미지에 모아졌다 역사대화에는 양 국의 역사연구자ㆍ역사교육자ㆍ시민운동가뿐만 아니라, 중국ㆍ유럽ㆍ미국의 관계자들이 참가한 경우도 있었다. 한국과 일본 사이에서 이루어진 역사교과서 연구와 역사교과서 대화는 시기별로 다음과 같은 특정을 가지고 있다. 제1기 探索과 是正을 위한 연구와 대화(1976 ~ 1996년),제2기 理解와 連帶를 위한 연구와 대화(1996 ~ 2006년),제3기 和解와 相生을 위한 연구와 대화(2006 ~ 현재)가 그것이다.
한국과 일본의 역사대화가 진전됨에 따라 논의의 내용과 수준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었다. 그리고 몇 종류의 공통역사교재가 출간되어 일반인과 학생들이 참고할 수 있게 되었다 앞으로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역사교과서 기술과 역사인식을 둘러싼 한국과 일본의 상호이해는 괄목할만하게 향상될 것이다. 또 이에 힘입어 양국 사이에 숙명처럼 드리워 있는 분열된 역사인식의 어두운 그림자를 걷어낼 수 있게 될 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한국과 일본의 역사교과서 기술과 역사인식의 대립이 역사대화를 통해 一直線的으로 개선 되지는 않을 것이다. 아직도 한국과 일본은 상대방의 역사교과서 기술과 역사인식을 서로 의심하고 걱정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과 일본의 역사갈등은 앞으로도 오랜 시간에 걸쳐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점진적으로 완화될 것이다 아니,두나라에서 역사갈등을 부추 기는 세력의 영향력이 커지면 한국과 일본의 역사갈등은 오히려 해소되기 어려울지도 모른다.
한국과 일본이 역사갈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역사연구자와 역사교육자가 역사대화를 확대해야 한다. 그리고 역사대화는 意識的으로 "화해와 相生을 위한 역사인식의 형성"을 추구해야 한다. 최근 한국의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가 역사교과서 연구와 역사교과서 대화를 활발하게 진행하는 것은 아주 바람직한 일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re has been a long-standing feud concerning the recognition of history between Korea and Japan. Meanwhile, there has been briskly developed a solidarity movement for the historical reconciliation and for overcoming the historical conflict ...
Recently there has been a long-standing feud concerning the recognition of history between Korea and Japan. Meanwhile, there has been briskly developed a solidarity movement for the historical reconciliation and for overcoming the historical conflict on the civil level between Korea and Japan. The researchers and educators of history proceeded a joint-work in order to close the gap of the recognition of history and developed common materials for history education of the two countries. The severer the historical conflict is getting on the governmental level, the more vivant is becoming the historical dialogue on the civil level for surmounting the historical conflic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historical dialogue should be strengthened in order to make a historical reconciliation and to build the coexistenc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역사교과서연구회, "한일역사공통교재 한일교류의 역사—선사에서 현대까지" 도서출판 혜안 2007
2 전국교원노동조합 대구지부, "한일공통역사교재 조선통신사—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침략에서 우호의 조선통신사로" 한길사 2005
3 동북아역사재단, "한일 역사현안 관련 일본 역사교과서 연구논저 목록" 동북아역사재단 2009
4 정재정, "한일 역사대화의 구도: 역사교과서와 역사인식을 중심으로, In 일본은 한국에게 무엇인가" 도서출판 한울 2006
5 현대송, "한국과 일본의 역사인식" 나남 2008
6 李元淳, "한국과 일본에서 함께 읽는 열린 한국사—공동의 역사인식을 향하여" 솔출판사 2004
7 신주백, "일본의 역사왜곡에 대한 한국사회의 대응, 1965~2001: 새로운 희망을 찾아서" 한국근현대사학회 17 : 2001
8 정재정, "일본의 논리—전환기의 역사교육과 한국인식" 현음사 1998
9 박성수, "일본 교과서와 韓國史의 歪曲" 民知社 1982
10 정재정, "역사교과서를 위한 한국․일본의 협의활동과 몇 가지 과제, In 21세기 역사교육과 역사교과서—한일 역사교과서문제 해결의 새로운 대안" 도서출판 오름 1998
1 역사교과서연구회, "한일역사공통교재 한일교류의 역사—선사에서 현대까지" 도서출판 혜안 2007
2 전국교원노동조합 대구지부, "한일공통역사교재 조선통신사—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침략에서 우호의 조선통신사로" 한길사 2005
3 동북아역사재단, "한일 역사현안 관련 일본 역사교과서 연구논저 목록" 동북아역사재단 2009
4 정재정, "한일 역사대화의 구도: 역사교과서와 역사인식을 중심으로, In 일본은 한국에게 무엇인가" 도서출판 한울 2006
5 현대송, "한국과 일본의 역사인식" 나남 2008
6 李元淳, "한국과 일본에서 함께 읽는 열린 한국사—공동의 역사인식을 향하여" 솔출판사 2004
7 신주백, "일본의 역사왜곡에 대한 한국사회의 대응, 1965~2001: 새로운 희망을 찾아서" 한국근현대사학회 17 : 2001
8 정재정, "일본의 논리—전환기의 역사교육과 한국인식" 현음사 1998
9 박성수, "일본 교과서와 韓國史의 歪曲" 民知社 1982
10 정재정, "역사교과서를 위한 한국․일본의 협의활동과 몇 가지 과제, In 21세기 역사교육과 역사교과서—한일 역사교과서문제 해결의 새로운 대안" 도서출판 오름 1998
11 한운석, "역사교과서 수정을 통한 독일-폴란드간의 화해노력" 한국서양사학회 (75) : 203-236, 2002
12 니시가와 마사오, "역사교과서 개선의 국제협력, In 역사이론" 문학과지성사 1987
13 동북아역사재단, "역사 대화로 열어가는 동아시아의 역사화해" 동북아역사재단 2009
14 한일여성공동역사교재편찬위원회, "여성의 눈으로 본 한일 근현대사" 도서출판 한울 2005
15 김승렬, "숙적관계에서 협력관계로: 독일-프랑스 역사교과서 협의" 부산경남사학회 (49) : 139-170, 2003
16 교육인적자원부, "사회과 교육과정(별책 7)"
17 동아시아역사인식과평화포럼, "미래를 여는 역사" 한겨레신문사 2005
18 한일역사교육교류모임, "마주보는 한일사" 사계절 2006
19 안병우, "동아시아사 교육과정 시안 개발(2006년도 동북아역사재단 학술연구과제 연구결과보고서)" 동북아역사재단 2007
20 문기상, "독일의 歷史敎育: 독일․폴란드 역사교과서 협의회 추천문항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회 34 : 1983
21 한운석, "독일의 역사화해와 역사교육" 신서원 2008
22 김유경, "기억을 둘러싼 갈등과 화해 ―`독일-프랑스 및 독일-폴란드의 역사교과서 협의`―" 역사문제연구소 (59) : 363-385, 2002
23 정재정, "韓日의 歷史對話生을 위한 오딧세이" 일본연구소 0 (0): 15-48, 2006
24 比較史․比較歴史教育研究会, "自国史と世界史—歴史教育の国際化をもとめて" 未来社 1985
25 君島和彦, "教科書の思想—日本と韓国の近現代史" すずさわ書店 38-40, 1996
26 鄭在貞, "‘歷史和解’를 향한 韓國과 日本의 共同 努力—歷史認識과 歷史敎科書 改善을 위한 最近의 活動 事例—(UNESCO Asia Pacific Center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Historical Reconciliation in Europe and Asia Focusing on Textbook Issue" 2004
27 "historyfoundation.or.kr"
28 동북아역사재단, "21세기 동북아의 공동번영을 위한 역사문제의 극복" 동북아역사재단 200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 | 1.5 | 1.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7 | 1.09 | 1.872 | 0.13 |
인문학 강좌_북방사를 둘러싼 중국과 한국의 역사인식
한국연구재단 김정배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동아시아에서의 역사 인식과 화해(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Reconciliation in East Asia)
K-MOOC 경남대학교 이상만,조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