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통 식약공용농산물 중 비의도적 유해물질 오염도 조사 = Investigation of Unintentionally Hazardous Substance in Commercial Herbs for Food and Medici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599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tamination levels of heavy metals(such as lead, cadmium, arsenic and mercury) and aflatoxin(such as B1, B2, G1 and G2) in commercial herbs for food and medicine. The concentrations of the heavy metals w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tamination levels of heavy metals(such as lead, cadmium, arsenic and mercury) and aflatoxin(such as B1, B2, G1 and G2) in commercial herbs for food and medicine. The concentrations of the heavy metals were measured by the ICP-MS and a mercury analyzer. The aflatoxins were analyzed by a HPLC-florescence coupled with photochemical derivatization. The detection ranges of the lead, cadmium, arsenic and mercury were found to be 0.006~4.088 ㎎/㎏, 0.002~2.150 ㎎/㎏, ND~0.610 ㎎/㎏ and ND~0.0139 ㎎/㎏ respectively. Among the total samples, the 3 samples(2.6%) were not suitable for the specification of cadmium by the MFDS(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13 samples of the total 117 samples were aflatoxin positive(11.1%). The amount of aflatoxin G1 was 0.7834 ㎍/㎏ in the Puerariae Radix and aflatoxin G2 were 0.3517 ㎍/㎏, 0.4881 ㎍/㎏ in two samples of the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respectively. The aflatoxins B2 and G1 were simultaneously detected in the 10 Angelicae Gigantis Radix. The detection ranges of aflatoxins B2 and G1 were 0.2324~1.0358 ㎍/㎏ and 0.7552~1.6545 ㎍/㎏ respectively in Angelicae Gigantis Radix.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continuous monitoring is needed for the proactive management of commercial herbs for food and medicine safe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문기, "한약재의 중금속 평가 연구 - 경북북부지역 한약재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과학회 13 (13): 1117-1122, 2004

      2 정삼주, "한약재의 약용부위별 중금속 함량 및 탕 액에서의 이행률 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5 (25): 402-409, 2010

      3 차윤엽, "한약재내 중금속 함량 및 잔류농약 분석- 모 한방병원 한약재 중심으로 -" 한의병리학회 21 (21): 226-230, 2007

      4 임옥경, "한약재 중 중금속의 모니터링 및 가용 섭취율 분석 연구" 한국분석과학회 22 (22): 128-135, 2009

      5 이선동, "한약재 복용으로 인한 금속 섭취량 추정 및 위해성 평가 연구" 한국환경보건학회 32 (32): 186-191, 2006

      6 이성득, "유통 환제의 유해 중금속 함량 및 위해도 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7 (27): 375-387, 2012

      7 이미경, "유통 한약재의 중금속 함량 조사"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5 (15): 253-260, 2008

      8 이승은, "약용식물자원 추출물의 항염증활성" 한국약용작물학회 19 (19): 217-226, 2011

      9 오금순, "식품중 총 아플라톡신의 노출량 평가" 한국식품과학회 39 (39): 25-28, 2007

      10 김성단, "식·약공용 농산물의 아플라톡신 오염 실태 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32 (32): 267-274, 2017

      1 박문기, "한약재의 중금속 평가 연구 - 경북북부지역 한약재를 중심으로 -" 한국환경과학회 13 (13): 1117-1122, 2004

      2 정삼주, "한약재의 약용부위별 중금속 함량 및 탕 액에서의 이행률 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5 (25): 402-409, 2010

      3 차윤엽, "한약재내 중금속 함량 및 잔류농약 분석- 모 한방병원 한약재 중심으로 -" 한의병리학회 21 (21): 226-230, 2007

      4 임옥경, "한약재 중 중금속의 모니터링 및 가용 섭취율 분석 연구" 한국분석과학회 22 (22): 128-135, 2009

      5 이선동, "한약재 복용으로 인한 금속 섭취량 추정 및 위해성 평가 연구" 한국환경보건학회 32 (32): 186-191, 2006

      6 이성득, "유통 환제의 유해 중금속 함량 및 위해도 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7 (27): 375-387, 2012

      7 이미경, "유통 한약재의 중금속 함량 조사"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5 (15): 253-260, 2008

      8 이승은, "약용식물자원 추출물의 항염증활성" 한국약용작물학회 19 (19): 217-226, 2011

      9 오금순, "식품중 총 아플라톡신의 노출량 평가" 한국식품과학회 39 (39): 25-28, 2007

      10 김성단, "식·약공용 농산물의 아플라톡신 오염 실태 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32 (32): 267-274, 2017

      11 김동규, "서울지역 유통한약재의 약용부위에 따른 유해중금속 분포" 한국분석과학회 22 (22): 504-513, 2009

      12 이향희, "광주지역 유통 한약재의 유해물질 잔류실태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5 (25): 83-90, 2010

      13 Diaz, D., "The Mycotoxin blue book, 27" Nottingham University Press 2005

      14 Nielsen Company Korea, "Survey method research on intake of chinese medicine by Korean" 30-, 2009

      15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Pre-planning study for the risk assessment of herbal medicines" 18-, 2014

      16 Hell K., "Mycoflora and occurrence of aflatoxin in dried vegetable in Benin, Mali and Togo, West Africa" 135 : 99-104, 2009

      17 Chourasia, H. K., "Mycobiota and mycotoxin in herbal drugs of Indian pharmaceutical industries" 99 : 697-703, 1995

      18 I. A. R. C., "Monograph on the evalution of carcinogenic risk to Humans" 82 : 171-, 2002

      19 Reilly C., "Metal contamination of food" Elsevier Science Publisher Ltd 95-98, 1991

      20 Reilly C., "Metal contamination of food" Applied Science Publisher Ltd 119-122, 1980

      21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Lead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WHO 44-54, 1997

      22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Health industry white paper 2014" hanhakmunwha 436-446, 2015

      23 Ali N., "Evaluation of a method to determine the natural occurrence of aflatoxin in commercial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from Malaysia and Indonesia" 43 : 1763-1772, 2005

      24 Song V.K., "Control system of herbal medicine in shared use for food and medicine purpose" The report of Korea Food &Drug Administration 2006

      25 Brase, S., "Chemistry and biology of mycotoxins and related fungal metabolites" 109 : 3903-3990, 2009

      26 Rizzo, I., "Assesment of toxigenic fungi on Argentinean medicinal herbs" 159 : 113-120, 2004

      27 Martins, M., "Aflatoxin in spices in Portugal" 1 : 63-67, 2001

      28 Reddy, S. V., "Afaltoxin B1 in different grades of chillies (Capsicum annum L.) in India as determined by indirect comperirive-ELISA" 18 : 55-558,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ry Of Food Hygiene And Safety -> The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9 0.726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