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목표 및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인문학과 의학의 융합적 시각에서 병원의 제도, 일상, 공간의 의미를 성찰하기 위한 시도이다. 그 결과물은 단행본 형태로 <병원의 인문학>을 출간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83371
201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목표 및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인문학과 의학의 융합적 시각에서 병원의 제도, 일상, 공간의 의미를 성찰하기 위한 시도이다. 그 결과물은 단행본 형태로 <병원의 인문학>을 출간하...
1) 연구목표 및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인문학과 의학의 융합적 시각에서 병원의 제도, 일상, 공간의 의미를 성찰하기 위한 시도이다. 그 결과물은 단행본 형태로 <병원의 인문학>을 출간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성과 및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해 <역사 연구실>, <문화상징 연구실>, <과학기술 연구실>를 구성하고, 연차별로 제도, 일상, 공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각 연구자는 연차별로 서로 다른 연구실에 소속되어 각 연구실이 지향하는 연구사업에 협력하게 된다.
<역사 연구실>에서는 병원의 역사적 기원과 성격, 근대적 변화 등을 중심으로 탐구한다. <문화상징 연구실>에서는 병원 공간에 존재하는 관행, 의사와 환자의 관계, 전통과 근대의 갈등 등을 탐구한다. <과학기술 연구실>에서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병원의 관계 등을 탐구한다.
2) 연구내용
(1) 병원의 역사 연구실
1년차에는 동아시아 근대병원의 기원과 근대병원의 탄생과정을 병원 제도를 중심으로 검토한다. 2년차에는 전근대 전염병대책과 식민지 전염병원의 기원과 제도를 통해 병원의 일상을 분석한다. 3년차에는 서양 중세병원과 동아시아 불교사찰 등의 병원 공간에 대해서 탐구한다.
(2) 병원의 문화상징 연구실
1년차에는 병원의 기원이자 치유의 상징공간인 아스클레피오스 신전과 동아시아 병원의 기원인 비전원 제도에 대해서 검토한다. 2년차에는 동서 각국의 근대병원에 대한 통제와 병원의 일상공간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변화상들을 관찰한다. 3년차에는 한의원의 병원공간 개조론과 전염병원인 순화원에서 전개되는 서양의학과 한의학적 치료 경쟁을 살펴본다.
(3) 병원의 과학기술 연구실
1년차에는 조선시대 한증소(汗蒸所) 운영과 식민지시기 소독 개념의 등장과정을 분석한다. 2년차에는 전통시대 종기술의 발전과정과 기술의 발전에 따른 병원의 풍경변화를 추적한다. 3년차에는 근대병원에 나타난 의료기술과 의료화의 과정을 검토하고 20세기 근대과학의 발전과정 속에서 병원공간의 재편과정을 검토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