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2023년 12월 서비스를 개시한 광주, 목포, 여수MBC의 뉴스 레터 <MBC Local>의 하이퍼로컬 미디어 특성을 살펴보았다. <MBC Local> 은 주로 일반행사, 명소・관광지, 교통・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21903
2024
Korean
하이퍼로컬 미디어 ; 뉴스레터 ; 지역방송 ; MBC Local ; 지역성 ; Hyperlocal Media ; Newsletter ; Local Broadcasting ; MBC Local ; Locality
340
KCI등재
학술저널
47-99(5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23년 12월 서비스를 개시한 광주, 목포, 여수MBC의 뉴스 레터 <MBC Local>의 하이퍼로컬 미디어 특성을 살펴보았다. <MBC Local> 은 주로 일반행사, 명소・관광지, 교통・안...
본 연구에서는 2023년 12월 서비스를 개시한 광주, 목포, 여수MBC의 뉴스 레터 <MBC Local>의 하이퍼로컬 미디어 특성을 살펴보았다. <MBC Local> 은 주로 일반행사, 명소・관광지, 교통・안전 관련 내용을 다루었고, 취재원은 대부분 공공기관・공직자와 문화예술인 등이었다. 뉴스 제공의 목적은 정보제 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뉴스레터의 운영과 확대를 위해 지역MBC들은 지역 주민 맞춤형 콘텐츠 제공, 자사 뉴스 링크 활용, 최적화된 발송 시간 설정, 지 역사회 구성원 활용 등의 전략을 구사하고 있었다. 특히 목포와 여수MBC는 시민기자단과 전문가 집필진을 통해 지역주민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했고, 광주MBC는 지속적인 지역 뉴스 제공과 지역주민을 향한 친밀한 접근을 목표 로 뉴스레터 명칭을 <뉴스잉(News Ing)>으로 변경하여 차별화된 접근을 시도 했다. 뉴스레터 운영 관계자들은 안정적인 하이퍼로컬리즘 구현을 위해 구독 자 유입과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구축, 데이터 추적과 피드백 기반 운영, 지역 커뮤니티와의 협력 강화 등을 강조했다. 이처럼 뉴스레터 <MBC Local> 은 지역주민들에게 생활 밀착형 정보와 긍정적인 뉴스를 제공하는 등 ‘로컬 커 뮤니티 매니저’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이러한 <MBC Local> 사례는 지역 언론이 직면한 위기 극복을 위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hyperlocal media characteristics of the newsletter MBC Local, launched by Gwangju, Mokpo, and Yeosu MBC in December 2023. MBC Local primarily covered topics related to general events, attractions and tourist sites, and traffic ...
This study examined the hyperlocal media characteristics of the newsletter MBC Local, launched by Gwangju, Mokpo, and Yeosu MBC in December 2023. MBC Local primarily covered topics related to general events, attractions and tourist sites, and traffic and safety. The sources of information were mostly public institutions, public officials, and cultural artists. The primary purpose of providing news was overwhelmingly for information dissemination. To operate and expand the newsletter, regional MBCs employed strategies such as offering tailored content for local residents, utilizing links to their news, selecting optimized dispatch times, and leveraging members of the local community. Notably, Mokpo and Yeosu MBC actively encouraged participation from local residents through citizen reporters and expert contributors, while Gwangju MBC attempted a differentiated approach by renaming the newsletter to News Ing, aiming for continuous local news delivery and a close approach to local residents. Those involved in the newsletter's operatio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ttracting subscribers, building a sustainable business model, operating based on data tracking and feedback, and strengthening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for stable hyperlocalism implementation. In this way, the newsletter MBC Local served as a 'local community manager' by providing residents with closely related information and positive news. Such cases of MBC Local suggest that they can be an alternative solution for overcoming the crisis faced by local media.
목차 (Table of Contents)
선거 영상 및 채널 분석을 통한 유튜브 알고리즘과 선거 결과의 상관관계 연구 : 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제20대 대선 기간의 종편 4사 시사대담 프로그램 내용 분석 : 논증전략과 프로파간다 기법, 화행분석을 중심으로
이상동기범죄 뉴스 수용자의 범죄예방 정책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범죄 취약성 가설과 제3자 효과 가설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