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부지방 방언구획과 네트워크분석 = Dialect Divisions of Jungbu region in Korea and Network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853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하여 한국 중부지방의 하위방언을 대상으로 방언권을 구획하려는 시도이다. 한국의 중부지방은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충청북도를 아우르는 지역인데, 한국어의 다른 방언권과는 달리,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북도 지역을 함께 다룬 방언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 연구는 중부지방 전체에 대한 하위방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기초로 중부지방의 하위방언 간 관계를 살펴보고 군집분석을 통해 방언권을 구획하였다. 중부지방의 하위방언에서 핵방언권은 충청북도 중원(충주)과 경기도 용인 등으로 나타났으며, 주변방언권은 강원도 삼척, 정선, 명주(강릉) 등으로 나타났다. 군집분석 결과에서는 중부지방의 하위방언은 크게 4개의 방언권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경기도·강원도·충청남북도의 행정구역과는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하여 한국 중부지방의 하위방언을 대상으로 방언권을 구획하려는 시도이다. 한국의 중부지방은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충청북도를 아우르는 지역인데, ...

      이 연구는 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하여 한국 중부지방의 하위방언을 대상으로 방언권을 구획하려는 시도이다. 한국의 중부지방은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도, 충청북도를 아우르는 지역인데, 한국어의 다른 방언권과는 달리, 경기도, 강원도, 충청남북도 지역을 함께 다룬 방언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 연구는 중부지방 전체에 대한 하위방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기초로 중부지방의 하위방언 간 관계를 살펴보고 군집분석을 통해 방언권을 구획하였다. 중부지방의 하위방언에서 핵방언권은 충청북도 중원(충주)과 경기도 용인 등으로 나타났으며, 주변방언권은 강원도 삼척, 정선, 명주(강릉) 등으로 나타났다. 군집분석 결과에서는 중부지방의 하위방언은 크게 4개의 방언권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경기도·강원도·충청남북도의 행정구역과는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ivide dialects for the subdialects of the Jungbu region of Korea using network analysis. The Jungbu region of Korea encompasses Gyeonggi-do, Gangwon-do, and Chungcheong-do. Unlike other dialects of the Korean language, there has been few studies on dialect divisions including Gyeonggi-do, Gangwon-do, and Chungcheongbuk-do. In this study, a dialect network is established for the entire Jungbu region in Korea, and based on this,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dialects in the Jungbu region, and divide dialect areas through clustering analysis. The nuclear areas among dialects of Jungbu region were found in Jungwon(Chungju) in Chungcheongbuk-do and Yongin in Gyeonggi-do, while the surrounding areas were Samcheok, Jeongseon, and Myeongju(Gangneung) in Gangwon-do. In the results of the clustering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ub-dialects of Jungbu region were largely divided into four dialects, which were not consistent with administrative districts of Gyeonggi-do, Gangwon-do, and Chungcheongbuk-do.
      번역하기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ivide dialects for the subdialects of the Jungbu region of Korea using network analysis. The Jungbu region of Korea encompasses Gyeonggi-do, Gangwon-do, and Chungcheong-do. Unlike other dialects of the Korean language, the...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ivide dialects for the subdialects of the Jungbu region of Korea using network analysis. The Jungbu region of Korea encompasses Gyeonggi-do, Gangwon-do, and Chungcheong-do. Unlike other dialects of the Korean language, there has been few studies on dialect divisions including Gyeonggi-do, Gangwon-do, and Chungcheongbuk-do. In this study, a dialect network is established for the entire Jungbu region in Korea, and based on this,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dialects in the Jungbu region, and divide dialect areas through clustering analysis. The nuclear areas among dialects of Jungbu region were found in Jungwon(Chungju) in Chungcheongbuk-do and Yongin in Gyeonggi-do, while the surrounding areas were Samcheok, Jeongseon, and Myeongju(Gangneung) in Gangwon-do. In the results of the clustering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ub-dialects of Jungbu region were largely divided into four dialects, which were not consistent with administrative districts of Gyeonggi-do, Gangwon-do, and Chungcheongbuk-do.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성훈, "현대 한국어 부사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확률 통계 모형과 네트워크를 이용한 분석" 서울대 2014

      2 이익섭, "한국언어지도" 태학사 2008

      3 이숭녕, "한국방언사, 환국문화사대계 언어문학사편" 고대문화연구소 1967

      4 강경원, "충남의 방언지역 구분 - 어휘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30 (30): 20-32, 2018

      5 한영목, "충남 방언의 연구와 자료" 이회문화사 1999

      6 유구상, "중부 방언의 경어법" 국립국어원 1 (1): 1-18, 1991

      7 김병제, "조선언어지리학시고"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8 이극로, "조선말의 사투리" 동광사 29 : 9-11, 1931

      9 이익섭, "영동영서의 언어분화: 강원도의 언어지리학" 서울대출판부 1981

      10 정성훈, "서남방언의 하위방언구획과 네트워크 분석"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77) : 157-180, 2017

      1 정성훈, "현대 한국어 부사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확률 통계 모형과 네트워크를 이용한 분석" 서울대 2014

      2 이익섭, "한국언어지도" 태학사 2008

      3 이숭녕, "한국방언사, 환국문화사대계 언어문학사편" 고대문화연구소 1967

      4 강경원, "충남의 방언지역 구분 - 어휘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30 (30): 20-32, 2018

      5 한영목, "충남 방언의 연구와 자료" 이회문화사 1999

      6 유구상, "중부 방언의 경어법" 국립국어원 1 (1): 1-18, 1991

      7 김병제, "조선언어지리학시고"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8 이극로, "조선말의 사투리" 동광사 29 : 9-11, 1931

      9 이익섭, "영동영서의 언어분화: 강원도의 언어지리학" 서울대출판부 1981

      10 정성훈, "서남방언의 하위방언구획과 네트워크 분석"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77) : 157-180, 2017

      11 김공칠, "방언학" 정향출판사 1977

      12 박경래, "문법연구와 자료" 태학사 819-876, 1998

      13 최운호, "레벤시타인 거리를 이용한 방언거리의 계산과 몽골어의 분석" 한국알타이학회 (20) : 127-160, 2010

      14 정성훈,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강원도 하위방언구획 연구" 우리말학회 (55) : 145-174, 2018

      15 정성훈, "네트워크 분석과 하위 방언 구획 연구" 한글학회 (311) : 227-256, 2016

      16 박경래, "남북한의 방언 연구" 경운출판사 63-99, 1992

      17 이병근, "김영배선생 회갑기념논총" 경운출판사 1991

      18 이상규, "국어방언학" 학연사 2003

      19 도수희, "국어국문학 논총, 이숭녕선생 고희 기념" 95-124, 1977

      20 최영미, "강원 영서 방언" 국립국어원

      21 小倉進平, "朝鮮語方言の 硏究(上=資料篇, 下=硏究篇)" 岩波書店 1944

      22 小倉進平, "朝鮮語學史" 刀江書院 1940

      23 河野六郎, "朝鮮方言學試攷-‘鋏’語攷-" 東都書籍 1945

      24 金忠會, "忠淸北道의 言語地理學 : 忠淸北道의 方言區劃論"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0

      25 小倉進平, "南部朝鮮の方言" 朝鮮史學會 1924

      26 Opsahl, T., "Node centrality in weighted networks: Generalizing degree and shortest paths" 32 : 245-251,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23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