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복합양식 텍스트성으로서의 영상성의 의미 고찰 = A Study on the Implication of ‘imagance’ as Multimodal Textu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842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sidering that the symbolic action of multimodal-text takes the form of 'show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y the ways and characteristics of multimodal-text existing and functioning as tex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identified the textual characteristics of multimodal-text as ‘Iconicity’, ‘Multi-layer nature’, ‘Spatiality’, ‘Inductivity’, and ‘Sensory transitionality’.
      Also, this study attempts to conceptualize ‘imagance’ as multimodal textuality. An important point in 'imagance' is that the semantics of modes operate in a way that forms a unified 'image'. It implies that the meaning is realized through the union of sensory image of a variety of modes and mental representations, and that the unity of image operates in ‘visual representation’ to materialize it in the form perceptible to read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imagance’ as the multimodal textuality based on the internal logic system of the multimodal text itself and, by doing so, to contribute to the foundation of the literacy education aiming at the enhancement of the production · reception capacity of the multimodal text. In the future, studies on the imagance realization targeting the actual multimodal text and studies exploring the textual qualities and attributes of the multimodal text are expected.
      번역하기

      Considering that the symbolic action of multimodal-text takes the form of 'show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y the ways and characteristics of multimodal-text existing and functioning as tex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identified the ...

      Considering that the symbolic action of multimodal-text takes the form of 'show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y the ways and characteristics of multimodal-text existing and functioning as tex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identified the textual characteristics of multimodal-text as ‘Iconicity’, ‘Multi-layer nature’, ‘Spatiality’, ‘Inductivity’, and ‘Sensory transitionality’.
      Also, this study attempts to conceptualize ‘imagance’ as multimodal textuality. An important point in 'imagance' is that the semantics of modes operate in a way that forms a unified 'image'. It implies that the meaning is realized through the union of sensory image of a variety of modes and mental representations, and that the unity of image operates in ‘visual representation’ to materialize it in the form perceptible to read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imagance’ as the multimodal textuality based on the internal logic system of the multimodal text itself and, by doing so, to contribute to the foundation of the literacy education aiming at the enhancement of the production · reception capacity of the multimodal text. In the future, studies on the imagance realization targeting the actual multimodal text and studies exploring the textual qualities and attributes of the multimodal text are expec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환, "틀의미론과 의미구조" 언어과학회 16 : 73-101, 1999

      2 주창윤, "텔레비전 드라마 분석과 소설 분석의 차이 - <TV문학관>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회 (26) : 29-44, 2004

      3 조국현, "텍스트언어학에서 텍스트기호학으로― 텍스트-이미지 복합기호의 분석" 한국독어독문학회 51 (51): 275-302, 2010

      4 De Beaugrande. R., "텍스트 언어학 입문" 한신문화사 1995

      5 이세정, "출판만화의 청각이미지 표현에서 관찰되는 실험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연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4 (14): 169-178, 2011

      6 박선미, "창의적 모션 타이포그라피를 위한 준 음성정보의 시각화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 (2): 61-69, 2006

      7 Bolter, J. D., "재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8 오장근, "이미지의 텍스트성에 대하여-사진 텍스트 읽기를 예로 하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6 : 209-229, 2014

      9 김은영, "웹툰 <미생>의 재매개 과정에서 나타난 디지털 서사의 변주"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1 (31): 45-80, 2016

      10 김효중, "웹기반 디지털 콘텐츠에서의 시각적 촉각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1 (11): 121-131, 2011

      1 김동환, "틀의미론과 의미구조" 언어과학회 16 : 73-101, 1999

      2 주창윤, "텔레비전 드라마 분석과 소설 분석의 차이 - <TV문학관>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회 (26) : 29-44, 2004

      3 조국현, "텍스트언어학에서 텍스트기호학으로― 텍스트-이미지 복합기호의 분석" 한국독어독문학회 51 (51): 275-302, 2010

      4 De Beaugrande. R., "텍스트 언어학 입문" 한신문화사 1995

      5 이세정, "출판만화의 청각이미지 표현에서 관찰되는 실험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연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4 (14): 169-178, 2011

      6 박선미, "창의적 모션 타이포그라피를 위한 준 음성정보의 시각화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 (2): 61-69, 2006

      7 Bolter, J. D., "재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8 오장근, "이미지의 텍스트성에 대하여-사진 텍스트 읽기를 예로 하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6 : 209-229, 2014

      9 김은영, "웹툰 <미생>의 재매개 과정에서 나타난 디지털 서사의 변주"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31 (31): 45-80, 2016

      10 김효중, "웹기반 디지털 콘텐츠에서의 시각적 촉각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1 (11): 121-131, 2011

      11 최이정, "영상제작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12 도정일, "영상시대의 문학의 힘과 가능성" 현대문학사 517 : 50-64, 1998

      13 이승조, "영상물 시청에 발현된 감성 유인가의 차별적 영향과 편집속도와의 상호작용" 한국감성과학회 12 (12): 33-44, 2009

      14 장일, "영상과 커뮤니케이션: 현대사회와 영상문화" 에피스테메 2008

      15 주창윤, "영상 이미지의 구조" 나남 2015

      16 임종수, "영상 드론의 운동성과 보기 양식에 관한 소고 드론 미디어학을 위하여" 한국언론학회 13 (13): 50-85, 2017

      17 김영순, "영상 광고의 텍스트성과 구성 원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1 : 199-222, 2001

      18 이성연, "시사만화의 텍스트성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46) : 381-408, 2005

      19 신항식, "시각 영상 커뮤니케이션" 나남출판 2004

      20 김상욱, "순환적 매개 언어로서 동적 타이포그래피의 구술적 의미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3) : 193-202, 2009

      21 편지윤, "복합양식 텍스트의 텍스트성 재개념화를 위한 시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93-522, 2018

      22 정현선, "미디어를 보는 관점에 따른 유아 교육 분야 미디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1 (11): 45-67, 2012

      23 이성만, "미디어 언어의 텍스트 화용론" 경진 2012

      24 김희동,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 문자의 공감각화와 국어교육적 의미" 한국국어교육학회 (104) : 65-91, 2015

      25 이규옥, "디지털 정보환경에 있어 뇌내 이미지와 영상표현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6 (16): 31-334, 2003

      26 김양호, "디지털 이미지의 중층성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103-111, 2012

      27 편지윤, "디지털 문식 경험에 따른 양식(mode) 사용 양상 분석" 한국작문학회 (27) : 145-180, 2015

      28 주형일, "내가 아는 영상 기호 분석" 인영 2007

      29 임지룡, "국어에 내재한 도상성의 양상과 의미 특성" 한글학회 (266) : 169-205, 2004

      30 Ong, W. J.,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언어를 다루는 기술" 문예출판사 2009

      31 김정우, "광고 메시지와 아이디어의 결합 양상 - TV광고의 텍스트성 확보 방법을 중심으로 -" 국제어문학회 (67) : 447-470, 2015

      32 Hart, A., "Understanding the media: A practical guide" Routledge 2006

      33 McLuhan, M.,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MIT Press 1994

      34 Mitchell, W. J., "There are no visual media" 4 (4): 257-266, 2005

      35 Walsh, M., "The ‘textual shift’: examining the reading process with print, visual and multimodal texts" 29 (29): 24-37, 2006

      36 Kress, G., "Reading images: The grammar of visual design" Routledge 2006

      37 Carver, R. P., "Reading for One Second, One Minute, or One Year From the Perspective of Rauding Theory" 1 (1): 3-43, 1997

      38 Kress, G., "Multimodal discourse: the modes and media of contemporary communication" Arnold 2001

      39 Kress, G., "Literacy in the new media age" Routledge 2003

      40 Taub, S. F., "Language From the Body: Iconicity and Metaphor in American Sig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41 Hill, C. A., "Intertexts: Reading Pedagogy in College Writing Classrooms" Routledge 123-150, 2002

      42 Hiippala, T., "Interactions, Images and Texts: A Reader in Multimodality" De Gruyter Mouton 111-124, 2014

      43 Avgerinou, M., "A review of the concept of visual literacy" 28 (28): 280-291,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8 1.509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