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의 고령화는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노인들이 사회의 중심에 서게 되는 새로운 사회 유형인 ‘노년 사회’를 맞이하고 있다. 과거에는 노년 사회의 도래를 사회문제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5849
-
2015년
Korean
고령화 사회 ; Active Ageing ; Biomarkers ; Health ; Longitudinal data ; Panel Data ; Social Supports ; Successful Ageing ; Social Networks ; Older people ; International Comparison ; Blood sample ; Ageing Society ; 노년사회 ; 노인건강 ; 사회연결망 ; 완전연결망 ; 사회적지지 ; 생의학지표 ; 생체지표 ; 국제비교 ; 패널자료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사회의 고령화는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노인들이 사회의 중심에 서게 되는 새로운 사회 유형인 ‘노년 사회’를 맞이하고 있다. 과거에는 노년 사회의 도래를 사회문제로 ...
한국사회의 고령화는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노인들이 사회의 중심에 서게 되는 새로운 사회 유형인 ‘노년 사회’를 맞이하고 있다. 과거에는 노년 사회의 도래를 사회문제로 인식하였지만, 최근의 활동적 노화(active aging) 담론은 능동적 주체로서 노인의 역할에 주목하며 노년기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이 통합적으로 추구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과제는 사회과학과 생의학의 통합을 기반으로 활동적 노화의 세 가지 차원을 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노화와 건강을 바라보는 통합적 시각을 제공함과 동시에 노년 사회의 도래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하였다. 본 사업단은 ‘한국인들의 사회적 삶과 건강, 그리고 활동적 노화 과정에 대한 연구(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이하 KSHAP)’라는 이름으로 인천광역시 강화도 A면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및 그 배우자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및 사회연결망을 3년 동안 추적 조사하였다. KSHAP은 1) 사회학, 사회복지학, 예방의학, 간호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원들이 참여하여 노인들의 생의학 지표를 비롯한 사회연결망을 구체적으로 측정하였으며 2) A면 전수 조사를 실시하여 거주자들의 완전연결망(global network)를 구현하였으며 3) 3년 추적 조사를 통하여 패널 자료를 구축하였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사업단은 세계적으로도 드문 사회과학과 생의학이 통합된 노인 코호트를 구축함으로써 활동적 노화에 대한 과학적인 정책 기반을 마련하고, 건강 연구 영역에서 사회과학의 위상을 제고함과 동시에, 활발한 국제 비교연구를 통하여 한국 사회과학의 세계화를 도모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 is rapidly changing into an ‘Aging Society’. Although previous studies perceived the advent of aging society as a kind of social problems, scholars recently focussed on the term ‘active aging’ that treated an older adult as an independen...
Korea is rapidly changing into an ‘Aging Society’. Although previous studies perceived the advent of aging society as a kind of social problems, scholars recently focussed on the term ‘active aging’ that treated an older adult as an independent and productive social actor, and emphasized three dimensions of health in old age –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This project aimed to consider those dimensions of health based on the integration of social science and medical science, and provide synthetic view on the process of aging and health. We have constructed a cohort named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hereafter, KSHAP)’ that has collected the information about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health of all residents and their spouses in A myeon, Ganghwa Island, Incheon City for 3 years. KSHAP has three special advantages: 1) the research group consisted of researchers from diverse domains such as sociology, social policy, epidemiology, and nursing science in order to collect both bio-markers and social networks of older adults in A myeon, 2) it surveyed the whole older population in A myeon that enabled us to construct a global network, a complete map of social relations in this region, and 3) it cumulated the longitudinal data of 3 wa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