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철원지역 두루미류 개체수 증가와 사고사례 및 사망사고 방지방안 = The population size increasing of crane species and accident cases and suggestion against lethal accident in Cheorwon, Republic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609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ntering Population trend of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in Cheorwon, Republic of Korea has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since 1970s. In January 2018, the maximum number of wintering cranes has been recorded in Cheorwon since Winter Water...

      Wintering Population trend of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in Cheorwon, Republic of Korea has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since 1970s. In January 2018, the maximum number of wintering cranes has been recorded in Cheorwon since Winter Waterbird Census had begun, showing 979 individuals on Red-crowned Crane and more than 4,000 individuals on White-naped Crane. The ratio of the juveniles in wintering Red-crowned Crane population was 22.4% which is suggesting a stable population characteristic in 2018. This proportion of juvenile in the Red-crowned Crane's population was higher than the average proportion (19.2%) from 2002 to 2014, although the highest ratio of juvenile appeared in 2012 and 2013. The wintering area of cranes in Cheorwon was found to be expanding to eastward, such as Sangchang-ri, Myeong-ri and Yongyang-ri of Kimhwa-eup, where about 50 individuals were found in those areas. As a record from Cheorwon Wildlife Rescue Center from 2001 to 2018, 72 cranes including carcasses were rescued from 61 accidents. Among them, Red-crowned Cranes were 32 and White-naped Cranes were 40. The total number of accidents decreased, but the number of cases caused by collision of wires did not decrease, moreover, its proportion at total accidents increased from 31.8% to 42.8% before and after 2010. From 2016 to 2017, Cheorwon County Office and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CO) installed the marking against collision on some electric wires in Cheorwon area. However, the size of marking is too small to be recognized by flying cranes and the space between the marking and the neighboring one is too wide. Therefore it seems to be necessary to attach additional markers to the overhead ground wire locating at the top of wir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70년대 이후 한국 철원지역의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월동개체수는 연간, 일시적인 변화는 있지만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두루미는 2018년 1월에 979개체를 기록하였으며, ...

      1970년대 이후 한국 철원지역의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월동개체수는 연간, 일시적인 변화는 있지만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두루미는 2018년 1월에 979개체를 기록하였으며, 재두루미는 2018년 1월에 4000개체 이상이 월동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겨울철새 동시센서스가 시작된 이래 최대 월동개체수를 기록하였다. 2018년 두루미의 유조의 개체군내 비율도 22.4%로 안정적인 번식양상이 추정되는 개체군적 특징이 나타났다. 개체군내 유조의 비율은 2002년에서 2014년까지 평균 19.2%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2012과 2013년 이래 최대치였다. 두루미의 서식지역은 확장되는 추세였으며, 철원지역 동측인 김화읍 생창리, 읍내리 및 용양리 지역에 50여개체가 관찰되는 등 서식면적이 동쪽으로 확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철원 야생동물구조치료센터의 기록에 의하면, 2001년에서 2018년까지 61건의 사고에서 72개체의 두루미류 구조 및 사체수거가 이루어졌으며, 두루미는 32개체, 재두루미는 40개체가 있었다. 전체 사고개체수는 감소하였으나 전선충돌에 의한 사례는 현격하게 감소하지 않았다. 하지만 전체사고에서의 비중은 2010년 이전 31.8%에서 2010년 이후 42.8%로 높게 나타났다. 2016년 철원군청과 한국전력에 의해 철원지역의 일부 전선에 보호대를 설치하였다. 하지만 가공지선이 가장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2017년에는 이 부분에 표식 부착이 필요하여 보완하였다. 그러나 표식이 전선의 간격에 비하여 크기가 작으며 설치간격 또한 너무 떨어져 있어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개선이 요구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승화, "철원지역에서 월동하는 두루미류의 장기 모니터링 및 개체군 변화 요인 - 역사적 변화와 MODIS에 의한 기상변화 영향의 평가 -" 한국조류학회II 18 (18): 59-71, 2011

      2 유승화, "철원지역 월동 두루미류의 서식지 이용 변화 추세: 2002~2012년 월동기" 한국조류학회II 19 (19): 115-125, 2012

      3 유승화, "철원지역 두루미류의 사고사례 및 전선충돌 원인분석" 한국조류학회II 17 (17): 331-343, 2010

      4 유승화, "서식지 교란 및 민간인통제지역 해제에 의한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핵심서식지 변화"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4 (24): 301-316, 2015

      5 Pearse, A. T., "Wintering Sandhill Crane exposure to wind energy development in the central and southern Great Plains, USA" 118 (118): 391-401, 2016

      6 Yoo, S. H., "Some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Grus japonensis and Grus vipio behavioral aspects of family group" Kyung Hee University 2004

      7 APLIC: Avian Power Line Interaction Commitee, "Reducing avian collisions with power lines. The State of the Art in 2012. Edison Electric Institute and APLIC"

      8 Cao, M., "Habitat suitability change of Red-crowed Crane in Yellow River Delta Nature Reserve" 19 (19): 141-147, 2008

      9 Su, L., "Habitat selection by Sandhill Cranes, Grus canadensis tabida, at multiple geographic scales in Wisconsin" Univ. of Wisconsin-Madison 2003

      10 Lee,Woo-Shin, "Habitat Use of Cranes in Cheolwon Basin, Korea" 한국생태학회 24 (24): 77-80, 2001

      1 유승화, "철원지역에서 월동하는 두루미류의 장기 모니터링 및 개체군 변화 요인 - 역사적 변화와 MODIS에 의한 기상변화 영향의 평가 -" 한국조류학회II 18 (18): 59-71, 2011

      2 유승화, "철원지역 월동 두루미류의 서식지 이용 변화 추세: 2002~2012년 월동기" 한국조류학회II 19 (19): 115-125, 2012

      3 유승화, "철원지역 두루미류의 사고사례 및 전선충돌 원인분석" 한국조류학회II 17 (17): 331-343, 2010

      4 유승화, "서식지 교란 및 민간인통제지역 해제에 의한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핵심서식지 변화"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4 (24): 301-316, 2015

      5 Pearse, A. T., "Wintering Sandhill Crane exposure to wind energy development in the central and southern Great Plains, USA" 118 (118): 391-401, 2016

      6 Yoo, S. H., "Some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Grus japonensis and Grus vipio behavioral aspects of family group" Kyung Hee University 2004

      7 APLIC: Avian Power Line Interaction Commitee, "Reducing avian collisions with power lines. The State of the Art in 2012. Edison Electric Institute and APLIC"

      8 Cao, M., "Habitat suitability change of Red-crowed Crane in Yellow River Delta Nature Reserve" 19 (19): 141-147, 2008

      9 Su, L., "Habitat selection by Sandhill Cranes, Grus canadensis tabida, at multiple geographic scales in Wisconsin" Univ. of Wisconsin-Madison 2003

      10 Lee,Woo-Shin, "Habitat Use of Cranes in Cheolwon Basin, Korea" 한국생태학회 24 (24): 77-80, 2001

      11 Ilyashenko, E. I, "Estimated number of Cranes (Gruiformes, Gruidae) in Nothern Eurasia at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43 (43): 1048-1051, 2016

      12 Murphy, R. K., "Effectiveness of avian collision averters in preventing migratory bird mortality from powerline strikes in the central Platte River, Nebraska"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2009

      13 Pae, S. H., "Current status of wintering cranes in Korea" Kyung Hee University 5 : 13-20, 1996

      14 Herr, A.M., "Crane habitat evaluation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59 (59): 1531-1538, 1993

      15 Luzenski, J, "Collision avoidance by migrating raptors encountering a new electric power transmission line" 118 (118): 402-410, 2016

      16 Pandey, A., "Bird strike indicator field deployment at the Audubon National Wildlife Refuge in North Dakota: Phase two"

      17 Faanes, C. A., "Bird behavior and mortality in relation to power lines in prairie habitat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Interior 1987

      18 Jenkins, A. R., "Avian collisions with power lines : A global review of causes and mitigation with a South African perspective" 20 : 263-278, 2010

      19 Pae, S. H., "A study on habitat use of wintering cranes in DMZ, Korea: with carrying capacity and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using GIS" Kyung Hee University 2000

      20 Austin, J.E., "A Comprehensive review of observational and site evaluation data of migrant Whooping Cranes in the United States, 1943-1999. US Geological Survey" Northern Prairie Wildlife Research Center 157-, 194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04-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6 0.06 0.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9 0.17 0.29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