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통섭을 통한 홀리스틱교육의 가능성 연구 = The Possibilities of Holistic Education through Consil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377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모더니즘의 요소주의적이고 결정론적 특징은 학문을 분과주의로 나타났으며, 학문 분과간의 소통의 부재는 총체적인 인간 실존의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모더니즘 기획에 대한 성찰적 의미와 더불어 홀리스틱 패러다임(holistic paradigm)으로의 전환이 요청되고 있다. 이 논문은 한국 학계 내외에서 통용되고 있는 통섭(統攝) 개념과 생태학·시스템적 접근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홀리스틱교육의 개념과 내용을 밝히고, 에니어그램을 통한 환경교육을 접근하는 데 있어서 에니어그램 안에 여러 학문의 내용을 복합적으로 구성하고 연계시켜 통섭과 홀리스틱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홀리스틱교육은 개인적 의식의 고양을 통한 자신과 사회와 역사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공존과 연대와 협동으로 건강한 공동체를 지속적으로 지향하는 집단지성을 강조한다. 제시한 에니어그램과 스토리모델은 하나의 모델 안에 수많은 학문영역을 포괄하고, 개인과 사회, 우주까지의 영역을 아우르는 의식의 진화 및 개인과 사회의 당면한 이슈들을 어떻게 바라보고 실천하고 해결해야하는지에 대한 큰그림(big picture)을 보여준다. 홀리스틱교육의 접근을 통해 개인 내적 차원에서 우주적 차원까지의 내면세계의 지평의 확대를 통한 문제의식을 제고하고 성찰캐 한다.
      번역하기

      모더니즘의 요소주의적이고 결정론적 특징은 학문을 분과주의로 나타났으며, 학문 분과간의 소통의 부재는 총체적인 인간 실존의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모더니즘 기획에 대...

      모더니즘의 요소주의적이고 결정론적 특징은 학문을 분과주의로 나타났으며, 학문 분과간의 소통의 부재는 총체적인 인간 실존의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모더니즘 기획에 대한 성찰적 의미와 더불어 홀리스틱 패러다임(holistic paradigm)으로의 전환이 요청되고 있다. 이 논문은 한국 학계 내외에서 통용되고 있는 통섭(統攝) 개념과 생태학·시스템적 접근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홀리스틱교육의 개념과 내용을 밝히고, 에니어그램을 통한 환경교육을 접근하는 데 있어서 에니어그램 안에 여러 학문의 내용을 복합적으로 구성하고 연계시켜 통섭과 홀리스틱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홀리스틱교육은 개인적 의식의 고양을 통한 자신과 사회와 역사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공존과 연대와 협동으로 건강한 공동체를 지속적으로 지향하는 집단지성을 강조한다. 제시한 에니어그램과 스토리모델은 하나의 모델 안에 수많은 학문영역을 포괄하고, 개인과 사회, 우주까지의 영역을 아우르는 의식의 진화 및 개인과 사회의 당면한 이슈들을 어떻게 바라보고 실천하고 해결해야하는지에 대한 큰그림(big picture)을 보여준다. 홀리스틱교육의 접근을 통해 개인 내적 차원에서 우주적 차원까지의 내면세계의 지평의 확대를 통한 문제의식을 제고하고 성찰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will assess Wilson's concept of consilience and thereby try to show the proper way that the consilience and holistic education could meet each other. In section Ⅲ, I delineated Wilson's concept of consilience and holistic education. It is the core of his project of consilience to unify the humanities and the natural sciences through the natural scientific methods and therefore he claims that it is in principle possible to carry out the project of consilience. In section Ⅳ, I examined holistic education - environmental education - through consilience. I dealed with the various types and ways of properly carrying out the transdisplinary approach 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 proposed the Gurjieff's Enneagram on model, Story model on environmental education as holistic education through consilience. In section Ⅴ, I showed the prospect and the task of consilience and holistic education. Whole-being education for 21st century is holistic education that is in pursuit of harmony of internal self and neighbor and the universe. From the viewpoint of holistic education and consilience, we need to incorporate the fram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to the perspectives in the following: 1) to emphasize a respect for life and relationships among living things; 2) To emphasize earth ecology education and earth community education; 4) To emphasize the education which integrate body, emotions, consciousness, the spirit; 5) To emphasize an environment in which teachers and students would be real or genuine their communication and meeting.
      번역하기

      In this paper, I will assess Wilson's concept of consilience and thereby try to show the proper way that the consilience and holistic education could meet each other. In section Ⅲ, I delineated Wilson's concept of consilience and holistic education....

      In this paper, I will assess Wilson's concept of consilience and thereby try to show the proper way that the consilience and holistic education could meet each other. In section Ⅲ, I delineated Wilson's concept of consilience and holistic education. It is the core of his project of consilience to unify the humanities and the natural sciences through the natural scientific methods and therefore he claims that it is in principle possible to carry out the project of consilience. In section Ⅳ, I examined holistic education - environmental education - through consilience. I dealed with the various types and ways of properly carrying out the transdisplinary approach 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 proposed the Gurjieff's Enneagram on model, Story model on environmental education as holistic education through consilience. In section Ⅴ, I showed the prospect and the task of consilience and holistic education. Whole-being education for 21st century is holistic education that is in pursuit of harmony of internal self and neighbor and the universe. From the viewpoint of holistic education and consilience, we need to incorporate the fram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to the perspectives in the following: 1) to emphasize a respect for life and relationships among living things; 2) To emphasize earth ecology education and earth community education; 4) To emphasize the education which integrate body, emotions, consciousness, the spirit; 5) To emphasize an environment in which teachers and students would be real or genuine their communication and meet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홀리스틱교육의 특징과 환경교육
      • Ⅲ. 통섭과 홀리즘과의 관계
      • Ⅳ. 통섭에 따른 홀리스틱교육 방법
      • 요약
      • Ⅰ. 서론
      • Ⅱ. 홀리스틱교육의 특징과 환경교육
      • Ⅲ. 통섭과 홀리즘과의 관계
      • Ⅳ. 통섭에 따른 홀리스틱교육 방법
      • Ⅴ. 통섭과 홀리스틱교육의 전망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affesoli, M. re-enchantment,

      2 김복영,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과 홀리스틱 교육" 3 (3): 149-158, 1999

      3 오인탁, "홀리스틱교육과 행복한 교육" 5 (5): 1-10, 2001

      4 송민영, "홀리스틱 교육사상" 학지사 2006

      5 최종덕, "통섭에 대한 오해와 진실"

      6 명지원, "총체적 인간교육을 위한 교육적 지향 탐색" 7 (7): 45-62, 2003

      7 강신익, "지식 대통합, 지금의 통섭으론 부족하다. 최재천 교수의 통섭에 대한 비판"

      8 김현재, "열린교육의 현대화를 위한 홀리스틱교육의 탐색"

      9 김복영, "에코페미니즘과 홀리스틱 교육" 2 (2): 23-30, 1998

      10 김재희, "신과학 산책" 김영사 1998

      1 Maffesoli, M. re-enchantment,

      2 김복영,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과 홀리스틱 교육" 3 (3): 149-158, 1999

      3 오인탁, "홀리스틱교육과 행복한 교육" 5 (5): 1-10, 2001

      4 송민영, "홀리스틱 교육사상" 학지사 2006

      5 최종덕, "통섭에 대한 오해와 진실"

      6 명지원, "총체적 인간교육을 위한 교육적 지향 탐색" 7 (7): 45-62, 2003

      7 강신익, "지식 대통합, 지금의 통섭으론 부족하다. 최재천 교수의 통섭에 대한 비판"

      8 김현재, "열린교육의 현대화를 위한 홀리스틱교육의 탐색"

      9 김복영, "에코페미니즘과 홀리스틱 교육" 2 (2): 23-30, 1998

      10 김재희, "신과학 산책" 김영사 1998

      11 한명희, "변화하는 교육패러다임과 인간상의 문제" 9-32, 2000

      12 박이문, "문명의 위기와 문화의 전환-생태학적 세계관을 위하여" 민음사 1996

      13 이어령, "디지로그" 생각의 나무 2006

      14 도정일, "대담: 인문학과 자연과학이 만나다" 휴머니스트 2005

      15 한명희, "교육의 철학적 이해" 문음사 2005

      16 이성은, "과학혁명구조와 한국 열린교육" 14 (14): 45-66, 1996

      17 최돈형, "고도산업사회와 환경교육의 과제" 31 (31): 245-262, 1993

      18 日本ホリスティック敎育硏究會, "ホリスティック 敎育入門, 홀리스틱 교육의 이해" 책사랑 1995

      19 Gang, P, "“The Global-EcoCentric Paradigm in Education.” In New Directions in Education: Selections from Holistic Education Review" Brandon, Vermont, Holistic Education Press 78-88, 1990

      20 Miller, R, "“Holistic Education: A Search for Wholeness,”, In New Directions in Education: Selections from Holistic Education Review" Holistic Education Press 53-62, 1991

      21 Weber. M, "Wissenschaft als Beruf, 직업으로서의 학문" 나남 1895

      22 이성은, "Whitehead의 철학과 교육론. 교육과 인간, In 안인희 교수 정년기념 논문집" 학지사 1993

      23 Orr, D, "What is Education for? Trumpeter" 8 (8): 99-102, 1991

      24 Palmer, P. J, "To Know As We Are Known, 기독교교육 인식론" 종로서적 1982

      25 Dokins, R, "The Selfish Gene : with a New Introduction by the Author, 이기적 유전자" 을유문화사 2010

      26 Miller, J, "The Holistic Curriculum" OISE Press 1996

      27 Miller, J, "Spiritual Education. In Holistic Education: Principles, Perspectives and Practices, A Book of Readings Based on Education 2000: A Holistic Perspective"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228-232, 1993

      28 Rachel, C, "Silent Spring, 침묵의 봄" 에코리브로 2002

      29 Binde, J, "Ou vont les valeurs? 가치는 어디로 가는가?: 유네스코, 21세기의 대화 - 세계의 지성 49인에게 묻다 현대의 지성 130" 문학과지성사 2008

      30 김복영, "Ken Wilber의 4상한이론(AQAL)을 활용한 통합교육과정 모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159-178, 2010

      31 Fogarty, R, "Integrating Curriculum with Multiple Intelligences: Teams, Themes & Threads" IRI/SkyLight Publishing Inc 1995

      32 Smuts, J. C, "Holism and Evolution" The Macmillan Company 1926

      33 Clark, E. T, "Environmental Education as an Integrative Study. In New Directions in Education: Selections from Holistic Education Review" Brandon, Vermont, Holistic Education Press 38-52, 1990

      34 Flake, C. L, "Education 2000: A Holistic Perspective. Holistic Education: Principles, Perspectives and Practices, A Book of Readings Based on Education 2000: A Holistic Perspective"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240-247, 1993

      35 Orr, D, "Ecological literac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82

      36 Orr, D, "Earth in Mind: On Education, Environment and the Human Prospect" Island Press 1994

      37 Drake, S, "Developing an Integrated Curriculum Using the Story Mode" OISE Press 1992

      38 Clark, E. T, "Designing and Implementing an Integrated Curriculum: Student-Centered Approach" Holistic Education Press 1997

      39 Doll, W. E, "Curriculum and postmodernist perspective, 교육과정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시각" 교육과학사 1997

      40 Wilson, E, "Consilience: The unity of knowledgs, 통섭: 지식의 대통합" 사이언스북스 2005

      41 Manchester, W, "American Caesar, 아메리칸 시저2" 이래사 2005

      42 노상우, "21세기 교육적 패러다임 전환의 사상적 동인" 13 (13): 103-120,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2-03-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교육포럼(아태교육학회) ->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영문명 : Korea Education Forum -> The Korean Educational Forum(The Asia-Pacific Society of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