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강점기 일본인경찰관에 대한 한국어교육 연구 -특수목적 외국어교육의 관점에서- = A Stud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Japanese Policemen in Japanese Colonial Era in Korea : Focusing on Special-purpose Foreign Languag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78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how it was used as a tool for administrative purposes. It is not a study of Japanese domination and Korean resistanc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Japanese police force ...

      This study explores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how it was used as a tool for administrative purposes. It is not a study of Japanese domination and Korean resistanc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Japanese police force was conceived not just as a tool for helping Japan’s colonialization of Korea but also was a typical form of special-purpose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how the educational environment, rules in the work setting, needs of police officers, vocational development evaluation, and incentive system affected Korean language acquisition of Japanese law enforcement officer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Korea.
      In 1921,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enacted the rule that encouraged Japanese administrative officers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and provided incentives to the officers with additional allowances and promotion at work. In a police training sch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the mandatory subject for all trainees. Also, in local police stations nationwide,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required as a part of the regular duties. For policeman who could translate Korean into the Japanese language, additional monetary benefits were provided. The result showed remarkable progress: 80% of entire Japanese policemen were able to communicate in the Korean language in 1927.
      The materials that were used in language education were specially designed for special purposes. Especially, the contents were targeted for daily duties of policemen. In 1926, education material titled Study Material for Korean Language for Policemen was published. It covered illustrative examples that could be easily applied in daily use. This includes detailed explanations on Korean culture, and communication skills to minimize potential conflicts. Thus, Korean language was widely used among police, and became / was? an administrative tool to control and rule over the Korean peop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일제강점기 일본인 경찰관에 대한 한국어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철저한 식민 지배를 위한 수단이라는 것은분명하다. 그러나 경찰관이라는 직업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외국어교육의 일환...

      일제강점기 일본인 경찰관에 대한 한국어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철저한 식민 지배를 위한 수단이라는 것은분명하다. 그러나 경찰관이라는 직업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외국어교육의 일환으로 보면 특수목적을 위한 외국어교육의 한 영역이다. 하위 영역으로는 직업 목적 외국어교육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경찰관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의 규정, 인센티브, 교육기관, 경찰관 학습자, 경찰관용 한국어교재, 평가시험에 대한 기록들을 찾아내어 경찰관을 위한 한국어교육이 갖는 특수목적 외국어교육으로서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1921년 조선총독부는 일본인 관리들에게 조선어장려규정을 제정하고 장려시험에 합격한 일본인 관리들에게수당 지급, 승진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였다. 경찰의 교육을 담당했던 경찰강습소에서는 한국어를 필수과목으로 가르쳤고 지방의 경찰서에서는 별도의 한국어 수업과 시험이 실시되었다. 조선어 장려시험, 경찰관통역 겸장시험 합격자에게는 별도의 수당을 지급하였다. 이에 따라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 1927년 통계자료에 따르면일본인 경찰관 80%가 한국어로 업무가 가능하였다.
      1926년에 발간된 「警察官專用朝鮮語敎範」은 경찰관 업무 내용을 장면 실라버스로 구성하고 있어 경찰관의언어사용역(register)을 알 수 있고 조선사정에 대한 설명과 지배자로서의 커뮤니게이션 스킬을 포함하고 있다.
      일본인 경찰관에게 한국어는 한국 국민들을 통제하고 지배하기 위한 수단이고 행정 업무의 도구였음을 알 수 있다.
      일제강점기의 일본인 경찰관에 대한 한국어교육은 교육제도, 학습자 수, 교육환경, 실천과 성과 면에서 특수목적 외국어교육의 전형이다. 한국어교육사에서도 가장 두드러졌던 특수목적 한국어교육의 한 사례로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경민, "한국어 교재 변천사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2 이상의, "일제하 조선경찰의 특징과 그 이미지" 역사교육연구회 (115) : 165-198, 2010

      3 허재영, "일제강점기 조선어 장려 정책과 한국어 교육" 한말연구학회 (20) : 293-316, 2007

      4 오새내, "일제강점기 일본인 경찰, 관리 대상 조선어 교육의 역사적 배경과 <경찰관전용조선어교범>의 내용 분석" 중앙어문학회 54 : 231-255, 2013

      5 박기영, "일본인 학습자용 한국어 교재에 대한 고찰- 1890년~1945년에 간행된 교재를 중심으로 -" 이중언어학회 (34) : 131-158, 2007

      6 야마다 칸토, "식민지시기 전후의 언어문제" 소명출판사 197-217, 2012

      7 정근식, "식민지 위생경찰의 형성과 변화, 그리고 유산: 식민지 통치성의 시각에서" 한국사회사학회 (90) : 221-270, 2011

      8 오대환, "식민지 시기 일본인을 위한 조선어교육 연구 : '조선어 장려 정책'과 '경성 조선어연구회'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9 주현희, "근대 이후 간행된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서의 변천과정과 문법 내용 연구" 우리말학회 (45) : 77-118, 2016

      10 山田寛人, "植民地朝鮮における朝鮮語奨励政策: 朝鮮語を学んだ日本人" 不二出版 107-122, 2004

      1 고경민, "한국어 교재 변천사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2 이상의, "일제하 조선경찰의 특징과 그 이미지" 역사교육연구회 (115) : 165-198, 2010

      3 허재영, "일제강점기 조선어 장려 정책과 한국어 교육" 한말연구학회 (20) : 293-316, 2007

      4 오새내, "일제강점기 일본인 경찰, 관리 대상 조선어 교육의 역사적 배경과 <경찰관전용조선어교범>의 내용 분석" 중앙어문학회 54 : 231-255, 2013

      5 박기영, "일본인 학습자용 한국어 교재에 대한 고찰- 1890년~1945년에 간행된 교재를 중심으로 -" 이중언어학회 (34) : 131-158, 2007

      6 야마다 칸토, "식민지시기 전후의 언어문제" 소명출판사 197-217, 2012

      7 정근식, "식민지 위생경찰의 형성과 변화, 그리고 유산: 식민지 통치성의 시각에서" 한국사회사학회 (90) : 221-270, 2011

      8 오대환, "식민지 시기 일본인을 위한 조선어교육 연구 : '조선어 장려 정책'과 '경성 조선어연구회'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9 주현희, "근대 이후 간행된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서의 변천과정과 문법 내용 연구" 우리말학회 (45) : 77-118, 2016

      10 山田寛人, "植民地朝鮮における朝鮮語奨励政策: 朝鮮語を学んだ日本人" 不二出版 107-122, 2004

      11 朝鮮總督府警務局, "朝鮮警察の概要" 朝鮮總督府 警務局 301-107, 1928

      12 植田晃次, "朝鮮語研究会(李完応会長・伊藤韓堂主幹)の活動と民間団体としての性格" 阪大学大学院言語文化研究科 (36) : 25-44, 2010

      13 山田寛人, "朝鮮語学習書・辭書から見た日本人と朝鮮語1880年-1945年" 169 : 53-79, 1997

      14 梶井陟, "朝鮮語を考える" 龍溪書舎 122-166, 1980

      15 山田寛人, "日本人警察官に対する朝鮮語奨励政策" 朝鮮史研究会 38 : 123-150, 2000

      16 植田晃次, "日本における朝鮮語教育史の総合的・実証的研究報告書(2)" 大阪大学、植田晃次 40-49, 2007

      17 植田晃次, "日本における朝鮮語教育史の総合的・実証的研究報告書(1)" 大阪大学、植田晃次 196-200, 2006

      18 警察官協會, "新訂警察官必携朝鮮語" 警察官協會 229-375, 1931

      19 성윤아, "大正時代における朝鮮語会話書の特徴―日本人の朝鮮語学習の意味―" 한국일본학회 (97) : 275-288,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5 0.84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