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불교학계의 구성적 특징과 문제점 고찰 = Characteristics of the Academic Community of Buddhist Studie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373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불교학계의 인적 구성현황과 불교학의 학문적 위상 및 학술지의 영향력 분석을 통해 불교학계의 문제점을 고찰한 것이다. 학문의 발전이 집단지성을 통해 이루어지며, 학회는 대표적인 학문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 불교학의 발전을 도모하는 차원에서 학회의 구성적 문제점을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불교학계는 그 외연이 일반적인 학회의 형태와 비교해 봤을 때 파격에 가까울만치 넓다. 이는 출가 수행자와 불교계 활동가의 현장 경험을 학회로 포섭해 내야하는 필요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학회의 지나친 외연 확대가 학문의 전문성을 훼손한 것 또한 불가피했다. 그 결과가 국가과학기술표준체계 상에서 불교학의 학문적 위상의 추락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교학 관련 학술지의 영향력 저하로 나타났다. 불교학계의 구성상의 특징을 검토해보면 세 가지 정도로 파악된다. 일반적인 학계와 그 인적 구성 현황이 상당히 다르다는 점, 불교를 개인적 관심과 신앙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학자들이 적지 않게 참여하고 있다는 점, 전문학자가 아닌 불교계 활동가들이 적지 않게 참여하고 있다는 점 등이다. 이러한 특정은 불교학계의 외연을 확대하는 긍정적인 면모가 있지만, 학문과 종교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는 불교학계의 체질 정비가 필요하다. 아울러 학계 구성원들이 학술적 진정성과 종교적 진정성을 서로 강요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 불교학계의 인적 구성현황과 불교학의 학문적 위상 및 학술지의 영향력 분석을 통해 불교학계의 문제점을 고찰한 것이다. 학문의 발전이 집단지성을 통해 이루어지며, 학회...

      본 연구는 한국 불교학계의 인적 구성현황과 불교학의 학문적 위상 및 학술지의 영향력 분석을 통해 불교학계의 문제점을 고찰한 것이다. 학문의 발전이 집단지성을 통해 이루어지며, 학회는 대표적인 학문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 불교학의 발전을 도모하는 차원에서 학회의 구성적 문제점을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불교학계는 그 외연이 일반적인 학회의 형태와 비교해 봤을 때 파격에 가까울만치 넓다. 이는 출가 수행자와 불교계 활동가의 현장 경험을 학회로 포섭해 내야하는 필요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학회의 지나친 외연 확대가 학문의 전문성을 훼손한 것 또한 불가피했다. 그 결과가 국가과학기술표준체계 상에서 불교학의 학문적 위상의 추락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교학 관련 학술지의 영향력 저하로 나타났다. 불교학계의 구성상의 특징을 검토해보면 세 가지 정도로 파악된다. 일반적인 학계와 그 인적 구성 현황이 상당히 다르다는 점, 불교를 개인적 관심과 신앙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학자들이 적지 않게 참여하고 있다는 점, 전문학자가 아닌 불교계 활동가들이 적지 않게 참여하고 있다는 점 등이다. 이러한 특정은 불교학계의 외연을 확대하는 긍정적인 면모가 있지만, 학문과 종교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는 불교학계의 체질 정비가 필요하다. 아울러 학계 구성원들이 학술적 진정성과 종교적 진정성을 서로 강요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academic community of Korean Buddhist Studies, the status of Buddhist Studies in Korea, and the IF(Impact Factor) of Korean journals in Buddhist Studies. Advances in academia are made through collective intelligence and the academic community is its representative. Therefore, we must carefully analyze problems in the academic community in order to advance Buddhist Studies in Korea. The academic community of Buddhist Studies in Korea has a much broader membership when compared with other academic communities. This characteristic likely originated from the need to incorporate the field experience of Buddhist monks and activists into the community. Consequently, the professionalism and academic status of Buddhist Studies has suffered damage. Furthermore, it has resulted in a deterioration of the impact factor of journals of Buddhist Studies. The academic community of Buddhist Studies in Korea has three distinctive features. First, the composition of the community is quite unique in comparison to other academic communities. Second, many scholars are involved in the field to whom Buddhism is their personal object of individual attention and faith. Third, many participants in the academic community are Buddhist activists who are not professional scholars. These features act positively to expand the scope of the academic community. But it also seems to contain the problem that the boundaries of academia and religion is not clear. To address this problem, the academic community of Korean Buddhist studies needs improvements to its structure. Furthermore, the members of the academic community should not force academic or religious authenticity upon another.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academic community of Korean Buddhist Studies, the status of Buddhist Studies in Korea, and the IF(Impact Factor) of Korean journals in Buddhist Studies. Advances in academia are made through collective intelligence and the aca...

      This study examines the academic community of Korean Buddhist Studies, the status of Buddhist Studies in Korea, and the IF(Impact Factor) of Korean journals in Buddhist Studies. Advances in academia are made through collective intelligence and the academic community is its representative. Therefore, we must carefully analyze problems in the academic community in order to advance Buddhist Studies in Korea. The academic community of Buddhist Studies in Korea has a much broader membership when compared with other academic communities. This characteristic likely originated from the need to incorporate the field experience of Buddhist monks and activists into the community. Consequently, the professionalism and academic status of Buddhist Studies has suffered damage. Furthermore, it has resulted in a deterioration of the impact factor of journals of Buddhist Studies. The academic community of Buddhist Studies in Korea has three distinctive features. First, the composition of the community is quite unique in comparison to other academic communities. Second, many scholars are involved in the field to whom Buddhism is their personal object of individual attention and faith. Third, many participants in the academic community are Buddhist activists who are not professional scholars. These features act positively to expand the scope of the academic community. But it also seems to contain the problem that the boundaries of academia and religion is not clear. To address this problem, the academic community of Korean Buddhist studies needs improvements to its structure. Furthermore, the members of the academic community should not force academic or religious authenticity upon anoth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Ⅰ. 서론
      • Ⅱ. 학회 구성원을 통해 본 불교학계의 특징
      • Ⅲ. 불교학의 학문적 위상 변화
      • Ⅳ. 불교 관련 학술지의 현황과 위상
      • 요약문
      • Ⅰ. 서론
      • Ⅱ. 학회 구성원을 통해 본 불교학계의 특징
      • Ⅲ. 불교학의 학문적 위상 변화
      • Ⅳ. 불교 관련 학술지의 현황과 위상
      • Ⅴ. 불교학계 구성상의 문제점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철, "현대 불교학의 과제와 해결방향" 만해사상실천선양회 (9) : 219-244, 2001

      2 "한국학술지인용색인"

      3 "한국종교학회"

      4 "한국영어영문학회"

      5 "한국불교학회"

      6 김종명, "한국 불교학계의 연구활동 -분석과 평가-" 한국종교학회 27 : 2002

      7 양미경, "학회지 인용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교육학 학문공동체의 특성 탐색" 한국교육학회 49 (49): 1-31, 2011

      8 고영만, "학술지 평가 및 지원 정책 방향" 한국학술진흥재단 (2) : 156-165, 2008

      9 김판준, "학술지 영향력 측정을 위한 h-지수의 응용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7 (27): 269-287, 2010

      10 고영만, "학술지 세계화는 지재권 지키기"

      1 김성철, "현대 불교학의 과제와 해결방향" 만해사상실천선양회 (9) : 219-244, 2001

      2 "한국학술지인용색인"

      3 "한국종교학회"

      4 "한국영어영문학회"

      5 "한국불교학회"

      6 김종명, "한국 불교학계의 연구활동 -분석과 평가-" 한국종교학회 27 : 2002

      7 양미경, "학회지 인용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교육학 학문공동체의 특성 탐색" 한국교육학회 49 (49): 1-31, 2011

      8 고영만, "학술지 평가 및 지원 정책 방향" 한국학술진흥재단 (2) : 156-165, 2008

      9 김판준, "학술지 영향력 측정을 위한 h-지수의 응용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7 (27): 269-287, 2010

      10 고영만, "학술지 세계화는 지재권 지키기"

      11 정연경, "학문분류, 문헌분류, 연구분류에 관한 비교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3) : 175-196, 1999

      12 양미경, "학문공동체의 집단지성 활성화를 위한 학회 운영원리의 탐색: 교육학회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원리학회 17 (17): 167-203, 2012

      13 서재영, "체계불학의 몇 가지 문제점" 만해사상실천선양회 (10) : 115-136, 2002

      14 정준민, "인용문헌 분석을 통한 학술 논문의 수명 및 계보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4 (44): 357-379, 2010

      15 중앙승가대학, "승가학풍 수립의 전망과 과제" 2001

      16 "불교학연구회"

      17 안옥선, "불교와 불교학의 실용성에 대한 한 생각" 만해사상실천선양회 (13) : 209-232, 2002

      18 박경일, "동서비교문학 : 왜 학문공동체 운동인가?"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4 : 7-35, 2001

      19 "대한산부인과학회"

      20 "국어국문학회"

      21 양기덕, "Multi-faceted Citation Analysis for Quality Assessment of Scholarly Publications" 한국정보관리학회 28 (28): 79-96,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6-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2019-06-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Buddhist Studies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2019-06-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 ->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7 0.93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