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합 상황에서 장애 대학생 교육에 대한 교수의 경험 및 인식 = Professors’ Experiences and Perception on the Postsecondary Education for the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636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about the teaching·learning for the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consideration.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5 professors who had ever taught the college students with a various of disabilities. The method was a qualitative study by Focus Group Interviews.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s and transcribed in MS word program, the amount was 20 pages and additional 4 pages of A4 paper. Data were analysed to categorize primary open coding and constant comparison method. It was summarized to 3 categories and 8 themes. Results: First, professors have ambivalent experience of inclusive education at college. Second,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attention at class and the professors had to be interested in their attitudes. And they were required to get reading /writing, communications, IT utility and social skills. Third, social and cultural support were required to effective inclusion at college. As well, they suggested that informat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share to all of the professors and the criterion of entrance / inclusion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prepar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consideration were discussed.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about the teaching·learning for the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consideration.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5 professors who h...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about the teaching·learning for the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consideration.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5 professors who had ever taught the college students with a various of disabilities. The method was a qualitative study by Focus Group Interviews.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s and transcribed in MS word program, the amount was 20 pages and additional 4 pages of A4 paper. Data were analysed to categorize primary open coding and constant comparison method. It was summarized to 3 categories and 8 themes. Results: First, professors have ambivalent experience of inclusive education at college. Second,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attention at class and the professors had to be interested in their attitudes. And they were required to get reading /writing, communications, IT utility and social skills. Third, social and cultural support were required to effective inclusion at college. As well, they suggested that informat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share to all of the professors and the criterion of entrance / inclusion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prepar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consideration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학의 통합 교육 상황에서 장애 대학생 교수 학습 현황을 교수들의 경험 및 인식을 통해 확인하고, 그에 따른 지원 및 개선 방안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은 대학에서 다양한 장애 유형의 대학생을 가르친 경험이 있는 교수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초점집단 면담(FGI)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질적 연구였다. 수집된 자료는 MS 워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사하였으며 A4 용지 20쪽 분량이었고, 면담 후 연구 참여자로 부터 받은 추가 서면 자료는 4쪽 분량이었다. 자료 분석은 기초적인 개방적 부호화 과정을 토대로 지속적인 자료 비교 방법(constant comparison method)을 거쳐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 3개 영역에 8개의 주제로 요약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교수들은 통합 교육에 대해 양가적인 인식을 경험하였다. 둘째, 장애대학생들은 수업시간에 잘 집중하지 못하고 교수들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하며 읽고 쓰기 기술, 의사소통 기술, IT활용기술, 긍정적인 동료관계 및 사회성 기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교수 학습지원 개선방안으로는 사회 및 심리적지지 환경 마련, 장애학생에 대한 사전 정보제공, 장애학생 입학 및 통합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하고 통합 상황에서 장애 대학생들의 효율적인 교수학습지원을 위한 방안을 논의에서 다루었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학의 통합 교육 상황에서 장애 대학생 교수 학습 현황을 교수들의 경험 및 인식을 통해 확인하고, 그에 따른 지원 및 개선 방안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학의 통합 교육 상황에서 장애 대학생 교수 학습 현황을 교수들의 경험 및 인식을 통해 확인하고, 그에 따른 지원 및 개선 방안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은 대학에서 다양한 장애 유형의 대학생을 가르친 경험이 있는 교수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초점집단 면담(FGI)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질적 연구였다. 수집된 자료는 MS 워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사하였으며 A4 용지 20쪽 분량이었고, 면담 후 연구 참여자로 부터 받은 추가 서면 자료는 4쪽 분량이었다. 자료 분석은 기초적인 개방적 부호화 과정을 토대로 지속적인 자료 비교 방법(constant comparison method)을 거쳐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 3개 영역에 8개의 주제로 요약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교수들은 통합 교육에 대해 양가적인 인식을 경험하였다. 둘째, 장애대학생들은 수업시간에 잘 집중하지 못하고 교수들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하며 읽고 쓰기 기술, 의사소통 기술, IT활용기술, 긍정적인 동료관계 및 사회성 기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교수 학습지원 개선방안으로는 사회 및 심리적지지 환경 마련, 장애학생에 대한 사전 정보제공, 장애학생 입학 및 통합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하고 통합 상황에서 장애 대학생들의 효율적인 교수학습지원을 위한 방안을 논의에서 다루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장순, "휴대폰을 이용한 자기점검중재가 발달장애 대학생의 과제수행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대학 교양영어 수업 중심으로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41-60, 2011

      2 교육부, "특수교육통계"

      3 김자경, "통합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장애대학생의 불안, 우울과 대학생활 적응 비교"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1 (51): 211-225, 2008

      4 강성구, "장애학생 관련 국내 연구경향에 대한 문헌 분석" 1 (1): 21-40, 2017

      5 윤점룡, "장애인 대학입학 특별 전형제도 실행이후 학내 지원체계 현황 및 개선방안" 인권위원회 2002

      6 교육과학기술부, "장애인 고등교육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정책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1

      7 조성희, "장애대학생의 학습지원 방안 마련을 위한 학교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14 (14): 261-292, 2013

      8 이웅, "장애대학생의 장애정체감과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연구: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0 (10): 245-268, 2011

      9 김자경,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과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65-82, 2017

      10 이은진,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을 통한 변화과정" 한국상담심리학회 23 (23): 1083-1115, 2011

      1 유장순, "휴대폰을 이용한 자기점검중재가 발달장애 대학생의 과제수행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대학 교양영어 수업 중심으로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41-60, 2011

      2 교육부, "특수교육통계"

      3 김자경, "통합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장애대학생의 불안, 우울과 대학생활 적응 비교"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1 (51): 211-225, 2008

      4 강성구, "장애학생 관련 국내 연구경향에 대한 문헌 분석" 1 (1): 21-40, 2017

      5 윤점룡, "장애인 대학입학 특별 전형제도 실행이후 학내 지원체계 현황 및 개선방안" 인권위원회 2002

      6 교육과학기술부, "장애인 고등교육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정책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1

      7 조성희, "장애대학생의 학습지원 방안 마련을 위한 학교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14 (14): 261-292, 2013

      8 이웅, "장애대학생의 장애정체감과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연구: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0 (10): 245-268, 2011

      9 김자경,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과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65-82, 2017

      10 이은진,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을 통한 변화과정" 한국상담심리학회 23 (23): 1083-1115, 2011

      11 이정원,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12 김미선, "장애대학생의 대학 내 지원에 관한 당사자들의 인식 및 요구" 국립특수교육원 15 (15): 121-136, 2008

      13 강혜경, "장애대학생 도우미 활동에 참여한 비장애대학생의 장애 인식, 경험 및 요구 분석" 한국통합교육학회 6 (6): 265-294, 2011

      14 김형일, "장애대학생 대학생활 만족도 및 요구 조사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165-190, 2012

      15 한국복지대학교, "장애대학생 교수학습 지원 통합 지침서"

      16 서선진, "장애대학생 교수학습 지원 자료개발 연구" 한국복지대학교 2018

      17 임미경, "장애 대학생의 교수-학습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0 (10): 147-172, 2008

      18 이수경, "장애 대학생의 고등교육 지원 현황 및 요구에 대한 교육 수요자 인식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1 (61): 39-65, 2018

      19 한국복지대학교, "장애 대학생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 자료 개발연구" 한국복지대학교 2018

      20 김성애, "장애 대학생 학업성취 실태 및 대학생활 욕구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335-357, 2003

      21 김동일, "장애 대학생 수업 지원에 대한 인식 조사: 대학 교수를 중심으로" 한국통합교육학회 1 (1): 117-132, 2006

      22 강혜경,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대학생활 경험과 인식" 특수교육연구소 17 (17): 31-56, 2018

      23 유장순, "자기점검과 자기평가지를 이용한 자기관리 전략이 발달장애 대학생의 수업준비 및 과제수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429-451, 2011

      24 이미숙, "발달장애형제를 둔 대학생의 아동기 경험 및 미래 진로에 대한 이야기" 한국교육인류학회 22 (22): 29-58, 2019

      25 박정식, "발달장애학생의 전환교육을 위한 고등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운영 방향 모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161-191, 2009

      26 양경미, "발달장애학생의 대학 진학 요구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7 김건희, "발달장애학생들의 대학기반 중등교육 이후 교육프로그램 참여 경험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165-182, 2014

      28 조성혜, "발달장애인에 대한 고등교육의 특성화 방안" 한국법정책학회 14 (14): 1607-1640, 2014

      29 윤영선, "발달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경험"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30 김대룡, "또래지명법 및 사회연결망을 활용한 발달장애대학생의 사회적 지위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27-54, 2012

      31 김미선, "대학의 장애학생 도우미 경험을 통한 장애학생 도우미의 인식 보고" 특수교육연구소 10 (10): 187-207, 2011

      32 김미선, "대학에서의 학업지원에 대한 시각장애 대학생의 인식과 요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6 (26): 25-41, 2010

      33 손지영, "국내 장애학생 고등교육의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157-178, 2011

      34 김은하, "국내 4년제 대학교 발달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경험: 통합 환경의 발달장애 대학생 지원요구 판별 중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 (20): 241-261, 2018

      35 이승민, "국내 4년제 대학교 발달장애 대학생의 대학생활 경험- K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490-493, 2018

      36 강종구, "경도장애 학생들에게 고등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K 대학교의 사례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2 (12): 163-189, 2010

      37 한국복지대학교, "강의자를 위한 장애대학생 교수학습 매뉴얼"

      38 Agarwal, N., "PRACTICE BRIEF,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with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 Photovoice for an inclusive campus" 28 (28): 243-250, 2015

      39 Avellone, L., "NCCSD Research Brief: National Databases with Information on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1(1)" National Center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2017

      40 Sniatecki, J. L., "Faculty attitudes and knowledge regarding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28 (28): 259-275, 2015

      41 Fisk, A., "An examination of transition planning practices in high school and College outcomes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fred University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