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 윤리교육의 쟁점과 방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021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 일반론이 아니라 도덕과의 특성을 반영한 다문화교육의 설계와 적용이 중요하다는 전제 아래, 다문화 윤리교육이 무엇이고 어떤 연구 영역을 포함해야 하는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윤리교육을 ‘(윤리학 및 정치철학에 근간을 둔) 다문화 윤리학을 바탕으로 다문화적 맥락에서 발생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윤리적 이슈와 사건을 활용하여 윤리적 탐구 능력과 성찰적 태도를 함양하고, 타인 및 타문화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실천할 수 있는 도덕적 동기 및 실행력을 길러주기 위한 교육’으로 규정하였다. 그런 다음, 다문화 윤리교육의 연구 영역을 ‘다문화 윤리학 차원의 쟁점을 다루는 기초 영역’과 ‘도덕과교육의 목적을 위해 다문화교육을 활용하기 위한 응용 영역’으로 나눈 후, 각 영역별로 제기될 수 있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찾는 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 일반론이 아니라 도덕과의 특성을 반영한 다문화교육의 설계와 적용이 중요하다는 전제 아래, 다문화 윤리교육이 무엇이고 어떤 연구 영역을 포함해야 하는가에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 일반론이 아니라 도덕과의 특성을 반영한 다문화교육의 설계와 적용이 중요하다는 전제 아래, 다문화 윤리교육이 무엇이고 어떤 연구 영역을 포함해야 하는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윤리교육을 ‘(윤리학 및 정치철학에 근간을 둔) 다문화 윤리학을 바탕으로 다문화적 맥락에서 발생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윤리적 이슈와 사건을 활용하여 윤리적 탐구 능력과 성찰적 태도를 함양하고, 타인 및 타문화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실천할 수 있는 도덕적 동기 및 실행력을 길러주기 위한 교육’으로 규정하였다. 그런 다음, 다문화 윤리교육의 연구 영역을 ‘다문화 윤리학 차원의 쟁점을 다루는 기초 영역’과 ‘도덕과교육의 목적을 위해 다문화교육을 활용하기 위한 응용 영역’으로 나눈 후, 각 영역별로 제기될 수 있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찾는 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der the premise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design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oral education as a subject matter and apply it to moral education classrooms, this article tries to define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ethics education, investigate its research domains and answer critical questions posed in these domains. For the purposes, firstly, this article defines multicultural ethics education as education for not only developing intercultural ethical inquiry and reflective attitudes using moral dilemmas and ethical issues in a multicultural context, but also cultivating moral traits such as moral motivation and moral will to respect and care for people from other cultural backgrounds. Besides, this article devide research domains of multicultural ethics education into two major parts ― a basic domain that deals with philosophically and educationally essential issues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ethics education and an application domain to meaningfully us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moral development and education. An then, this article tries to answer several questions posed in these two domains.
      번역하기

      Under the premise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design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oral education as a subject matter and apply it to moral education classrooms, this article tries to define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eth...

      Under the premise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design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oral education as a subject matter and apply it to moral education classrooms, this article tries to define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ethics education, investigate its research domains and answer critical questions posed in these domains. For the purposes, firstly, this article defines multicultural ethics education as education for not only developing intercultural ethical inquiry and reflective attitudes using moral dilemmas and ethical issues in a multicultural context, but also cultivating moral traits such as moral motivation and moral will to respect and care for people from other cultural backgrounds. Besides, this article devide research domains of multicultural ethics education into two major parts ― a basic domain that deals with philosophically and educationally essential issues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ethics education and an application domain to meaningfully us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moral development and education. An then, this article tries to answer several questions posed in these two domai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인진,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72-103, 2008

      2 정영근, "한국사회의 다문화화에 대한 교육학적 성찰" 한국교육철학학회 (44) : 113-137, 2009

      3 김연권, "한국 다문화 사회의 이해, in 다문화교육의 이해" 2010

      4 정창우, "초․중등 도덕과에서 글로벌 윤리교육의 과제와 지향" 한국윤리학회 1 (1): 233-275, 2010

      5 조계원, "지구화 시대의 애국심"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40) : 21-44, 2009

      6 김철,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고찰-“인격적(person) 존재로서 인간”의 관점에서" 한국교육철학학회 (42) : 87-107, 2008

      7 서대경, "사회의 재창조" 말글빛냄 2009

      8 양영자, "분단-다문화시대 교육 이념으로서의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의 양립가능성 모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23-48, 2007

      9 이정렬, "도덕과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의 방향과 방법론에 대한 고찰, in 다문화사회, 글로벌시대 초․중등 도덕과교육의 과제와 지향" 2010

      10 교육인적자원부, "도덕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2007

      1 윤인진,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72-103, 2008

      2 정영근, "한국사회의 다문화화에 대한 교육학적 성찰" 한국교육철학학회 (44) : 113-137, 2009

      3 김연권, "한국 다문화 사회의 이해, in 다문화교육의 이해" 2010

      4 정창우, "초․중등 도덕과에서 글로벌 윤리교육의 과제와 지향" 한국윤리학회 1 (1): 233-275, 2010

      5 조계원, "지구화 시대의 애국심"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40) : 21-44, 2009

      6 김철,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고찰-“인격적(person) 존재로서 인간”의 관점에서" 한국교육철학학회 (42) : 87-107, 2008

      7 서대경, "사회의 재창조" 말글빛냄 2009

      8 양영자, "분단-다문화시대 교육 이념으로서의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의 양립가능성 모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23-48, 2007

      9 이정렬, "도덕과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의 방향과 방법론에 대한 고찰, in 다문화사회, 글로벌시대 초․중등 도덕과교육의 과제와 지향" 2010

      10 교육인적자원부, "도덕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2007

      11 은지용, "다문화적 인성 발달 이론에 기반한 다문화 학습 모형 탐색"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1 (41): 107-139, 2009

      12 김영순, "다문화사회와 시민교육" (18) : 2010

      13 정탁준, "다문화교육의 도덕과 교과교육적 적용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10): 121-143, 2007

      14 모경환,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in 다문화교육의 이해" 양서원 2010

      15 추병완, "다문화교육을 위한 도덕 교사의 역할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 (11): 109-133, 2008

      16 김옥순, "다문화교육: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9

      17 김창근, "다문화 공존과 다문화주의: 다문화 시민성의 모색*" 한국윤리학회 1 (1): 21-50, 2009

      18 Parekh, B., "Rethinking multiculturalism: cultural diversity and political theory" Palgrave 2000

      19 Haydon, G., "Respect for persons and for cultures as a basis for national and global citizenship" 35 (35): 2006

      20 Stables, A., "Multiculturalism and moral education; individual positioning, dialogue and cultural practice" 34 (34): 2005

      21 Endicott, L., "Moral reasoning, intercultural development, and multicultural experiences: relations and cognitive underpinings" 27 : 403-419, 2003

      22 Banks, J. A., "Handbook of research in multicultural education" Macmillan 1995

      23 Lynch, J, "Building the global dimension of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in Swann and the global dimension: education for world citizenship" Youth Education Service 1987

      24 이은선, "20세기 철학적 인간학의 전개와 교육인간학" (17) :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도덕윤리과교육
      외국어명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7 0.96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