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녹색펀드 투자의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772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overnment consensus such as Paris Agreement, sustainable development has to accomplish the goal to achieve its original intent. All the participated countries of Paris agreement are facing to act to respond to climate changes.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e low carbon green development policy on August 2008 to change economic and industrial structure based on green growth engine. One of the related government policy is names Green Finance and it is aim to growth in finance sector, economic growth and eco friendly at the same time.
      This is to provide fund to increase in energy efficiency,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make investment on green companies. Green Fund specifically focused on environment, social and ethical factors. This study targeted Office workers who expected to have fund investment experiences. The research assumed that the consumer behaviour affects that Green Fund investment intent and analyze the effect on environmental awareness based on consumers’understanding on funds. Also the research tried to provide marketing insight based on consumer fund investment behaviour.
      To verify the thesis, survey was executed on 62 days, targeting Office Wokfing labours living in Seoul. Also, it used SPSSv. 18.0 to check its credibiilty, factorial analysis and more. Cronbach-Alpha was used to check the credibility of Survey questions. All of the result appeard ober 0.6 and proved its credibility.
      Hypothesis testing results is as shown in below.
      First of all, expected rate of return has positive effect on Green Fund investment behaviour. This proves that the return on investment is important factor on decision on Green Fund investment. However, this does not proved that return on investment does not shows corelation with environmental consciousness.
      Second, perceived risk shows negative effect on investment behaviour. This proves that investment incentive is lower when investors there is high risk. Higher understanding of Fund is adjusting the investment behaviour. However, this does not apply to environmental conciousness. This provide that environmental conciouesness does not effect the investment behaviour.
      Lastly, appearance and social contribution does effect positively on Green fund investment behaviour and management style had negative effect. This proves that investors who cares about its apprarance and social contribution has stronger intension of green fund investment and lower for who cares about management style.
      This research prov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making investment decision is “Return and Risk”. However, as most of survey participants has highe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he incentive for investment on green fund would be higher through promotion and education.
      번역하기

      Government consensus such as Paris Agreement, sustainable development has to accomplish the goal to achieve its original intent. All the participated countries of Paris agreement are facing to act to respond to climate changes. Korean government annou...

      Government consensus such as Paris Agreement, sustainable development has to accomplish the goal to achieve its original intent. All the participated countries of Paris agreement are facing to act to respond to climate changes.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e low carbon green development policy on August 2008 to change economic and industrial structure based on green growth engine. One of the related government policy is names Green Finance and it is aim to growth in finance sector, economic growth and eco friendly at the same time.
      This is to provide fund to increase in energy efficiency,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make investment on green companies. Green Fund specifically focused on environment, social and ethical factors. This study targeted Office workers who expected to have fund investment experiences. The research assumed that the consumer behaviour affects that Green Fund investment intent and analyze the effect on environmental awareness based on consumers’understanding on funds. Also the research tried to provide marketing insight based on consumer fund investment behaviour.
      To verify the thesis, survey was executed on 62 days, targeting Office Wokfing labours living in Seoul. Also, it used SPSSv. 18.0 to check its credibiilty, factorial analysis and more. Cronbach-Alpha was used to check the credibility of Survey questions. All of the result appeard ober 0.6 and proved its credibility.
      Hypothesis testing results is as shown in below.
      First of all, expected rate of return has positive effect on Green Fund investment behaviour. This proves that the return on investment is important factor on decision on Green Fund investment. However, this does not proved that return on investment does not shows corelation with environmental consciousness.
      Second, perceived risk shows negative effect on investment behaviour. This proves that investment incentive is lower when investors there is high risk. Higher understanding of Fund is adjusting the investment behaviour. However, this does not apply to environmental conciousness. This provide that environmental conciouesness does not effect the investment behaviour.
      Lastly, appearance and social contribution does effect positively on Green fund investment behaviour and management style had negative effect. This proves that investors who cares about its apprarance and social contribution has stronger intension of green fund investment and lower for who cares about management style.
      This research prov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making investment decision is “Return and Risk”. However, as most of survey participants has highe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he incentive for investment on green fund would be higher through promotion and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파리협정과 지속가능개발 같은 중대한 국가적 합의는 목표가 달성되어야만 인류가 의도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파리협정에 동참한 국가들은 협의된 내용을 이행하기 위해 기후변화 대응 행동을 몸소 실천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하지만 새로운 녹색 기술의 개발과 에너지 생산 방식의 변화, 지속가능한 발전, 기후 재난 예방 및 복구 등의 해결에는 엄청난 재원이 든다. 파리협정 이전에 선진국은 2020년까지 매년 1천억 달러를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처 사업에 지원하기로 약속을 했는데, 파리협정에서 이를 2025년까지로 연장했다. 또한 2025년 전까지 매년 1천억 달러 이상의 새로운 장기재원목표를 세울 것을 정했다. 하지만 그 이후의 새로운 재원목표에 대해서는 아직 논의 되지 않고 있다. 녹색금융은 금융 산업 발전, 환경개선 및 경제 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복합적이며 미래지향적인 금융이다. 이는 에너지 효율 향상, 환경 개선 등에 자금을 제공하여 녹색지수의 개발이나 녹색펀드를 통해 녹색기업에 투자하는 자본시장의 금융이다. 그중에서 녹색펀드는 사회적 책임투자 펀드의 한 형태로 환경, 사회, 윤리적인 요인까지 고려하여 운용하는 펀드로써 환경보호 및 사회적 기여 측면을 고려한 환경부문에 중점을 둔 펀드이다. 본 연구에서는 펀드투자 경험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대응 소비자의 환경의식이 녹색환경펀드 투자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고, 녹색펀드 소비자들이 지각한 수익과 위험 그리고 펀드선택속성이 투자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을 통해 소비자들의 펀드 이해도와 환경의식 조절효과에 대해 밝혀보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기후변화와 금융환경의 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펀드투자행동의 변화를 예측하고 사회책임행동으로써 소비자행동을 자극할 수 있는 녹색펀드 마케팅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각 변수에 대해 작성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2016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총 62일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지방에 거주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척도의 신뢰성,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 등을 실증하기 위해서 SPSS v.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문항 항목들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Cronbach-Alpha 값을 사용하여 내적 일관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기준치인 0.6을 모두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분석에 사용되는 항목들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상 수익률이 녹색펀드 투자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의 금융상품 투자결정에 수익률이 중시되는 요인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예상 수익률과 녹색펀드 투자의도와의 관계에서 펀드이해도와 환경의식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지각된 위험이 녹색펀드 투자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투자자들이 투자 상품에 대한 위험을 높게 인식할수록 투자의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 한다. 또한 지각된 위험과 녹색펀드 투자의도와의 관계에서 펀드이해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지각된 위험을 높게 인식할수록 펀드이해도가 녹색펀드 투자의도를 강하게 조절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지각된 위험과 녹색펀드 투자의도와의 관계에서 환경의식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녹색펀드 투자의도에서 환경의식은 녹색펀드의 투자의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펀드속성 중요도 중에서 외형적조건과 사회공헌은 녹색펀드 투자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운용스타일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형적 조건과 사회공헌을 중요시 하는 투자자일수록 녹색펀드 투자의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운용스타일을 중요시하는 투자자의 경우 녹색펀드 투자의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펀드속성 중요도와 녹색펀드 투자의도와의 관계에서 펀드이해도 조절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검증 결과, 외형적 조건과 사회공헌의 경우 조절효과를 확인하였고, 운용스타일의 경우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운용스타일은 녹색펀드의 투자의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펀드속성 중요도와 녹색펀드 투자의도와의 관계에서 환경의식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녹색펀드 투자의도에서 펀드속성 중요도와 환경의식의 조절 효과는 투자의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녹색펀드 투자의도에 있어서 ‘수익과 리스크’가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설문 대상자들의 환경의식이 높게 나온 것으로 볼 때, 녹색펀드의 사회책임투자로 인한 사회공헌정도를 확실히 알리고 환경의식이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사회적인 차원의 홍보와 교육 프로그램을 보급한다면, 보다 낮은 수익률이라도 소비자들의 녹색펀드에 대한 투자의도가 더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파리협정과 지속가능개발 같은 중대한 국가적 합의는 목표가 달성되어야만 인류가 의도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파리협정에 동참한 국가들은 협의된 내용을 이행하기 위해 기후변화 대응...

      파리협정과 지속가능개발 같은 중대한 국가적 합의는 목표가 달성되어야만 인류가 의도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파리협정에 동참한 국가들은 협의된 내용을 이행하기 위해 기후변화 대응 행동을 몸소 실천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하지만 새로운 녹색 기술의 개발과 에너지 생산 방식의 변화, 지속가능한 발전, 기후 재난 예방 및 복구 등의 해결에는 엄청난 재원이 든다. 파리협정 이전에 선진국은 2020년까지 매년 1천억 달러를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처 사업에 지원하기로 약속을 했는데, 파리협정에서 이를 2025년까지로 연장했다. 또한 2025년 전까지 매년 1천억 달러 이상의 새로운 장기재원목표를 세울 것을 정했다. 하지만 그 이후의 새로운 재원목표에 대해서는 아직 논의 되지 않고 있다. 녹색금융은 금융 산업 발전, 환경개선 및 경제 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복합적이며 미래지향적인 금융이다. 이는 에너지 효율 향상, 환경 개선 등에 자금을 제공하여 녹색지수의 개발이나 녹색펀드를 통해 녹색기업에 투자하는 자본시장의 금융이다. 그중에서 녹색펀드는 사회적 책임투자 펀드의 한 형태로 환경, 사회, 윤리적인 요인까지 고려하여 운용하는 펀드로써 환경보호 및 사회적 기여 측면을 고려한 환경부문에 중점을 둔 펀드이다. 본 연구에서는 펀드투자 경험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대응 소비자의 환경의식이 녹색환경펀드 투자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고, 녹색펀드 소비자들이 지각한 수익과 위험 그리고 펀드선택속성이 투자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을 통해 소비자들의 펀드 이해도와 환경의식 조절효과에 대해 밝혀보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기후변화와 금융환경의 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펀드투자행동의 변화를 예측하고 사회책임행동으로써 소비자행동을 자극할 수 있는 녹색펀드 마케팅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각 변수에 대해 작성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2016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총 62일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지방에 거주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척도의 신뢰성,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 등을 실증하기 위해서 SPSS v.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문항 항목들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Cronbach-Alpha 값을 사용하여 내적 일관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기준치인 0.6을 모두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분석에 사용되는 항목들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상 수익률이 녹색펀드 투자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의 금융상품 투자결정에 수익률이 중시되는 요인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예상 수익률과 녹색펀드 투자의도와의 관계에서 펀드이해도와 환경의식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지각된 위험이 녹색펀드 투자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투자자들이 투자 상품에 대한 위험을 높게 인식할수록 투자의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 한다. 또한 지각된 위험과 녹색펀드 투자의도와의 관계에서 펀드이해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지각된 위험을 높게 인식할수록 펀드이해도가 녹색펀드 투자의도를 강하게 조절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지각된 위험과 녹색펀드 투자의도와의 관계에서 환경의식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녹색펀드 투자의도에서 환경의식은 녹색펀드의 투자의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펀드속성 중요도 중에서 외형적조건과 사회공헌은 녹색펀드 투자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운용스타일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형적 조건과 사회공헌을 중요시 하는 투자자일수록 녹색펀드 투자의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운용스타일을 중요시하는 투자자의 경우 녹색펀드 투자의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펀드속성 중요도와 녹색펀드 투자의도와의 관계에서 펀드이해도 조절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검증 결과, 외형적 조건과 사회공헌의 경우 조절효과를 확인하였고, 운용스타일의 경우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운용스타일은 녹색펀드의 투자의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펀드속성 중요도와 녹색펀드 투자의도와의 관계에서 환경의식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녹색펀드 투자의도에서 펀드속성 중요도와 환경의식의 조절 효과는 투자의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녹색펀드 투자의도에 있어서 ‘수익과 리스크’가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설문 대상자들의 환경의식이 높게 나온 것으로 볼 때, 녹색펀드의 사회책임투자로 인한 사회공헌정도를 확실히 알리고 환경의식이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사회적인 차원의 홍보와 교육 프로그램을 보급한다면, 보다 낮은 수익률이라도 소비자들의 녹색펀드에 대한 투자의도가 더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 3. 논문 구성 7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 3. 논문 구성 7
      • 제2장 이론적 배경 9
      • 제1절 기후변화 현상과 경제 9
      • 1. 기후변화 대응 기후변화 협약 9
      • 2. 기후변화 대응 정부정책 12
      • 3. 녹색금융 20
      • 제2절 녹색펀드 25
      • 1. 녹색펀드의 상품 특성 25
      • 2. 녹색펀드의 국내 외 현황 31
      • 2-1. 국외 녹색펀드 현황 37
      • 2-2. 국내 녹색펀드 현황 40
      • 제3절 녹색펀드 소비자 행동 43
      • 1. 녹색펀드 투자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43
      • 1.1 수익과 리스크 44
      • 1.2 펀드선택속성 45
      • 1.3 펀드이해도 50
      • 1.4 환경의식 53
      • 제3장 연구의 설계와 분석방법 56
      • 제1절 연구 설계 56
      • 1. 연구 모형 56
      • 2. 가설설정 57
      •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58
      • 제2절 분석 방법 60
      • 1. 표본선정 및 자료 수집 60
      • 2. 분석 기법 60
      • 제4장 실증분석 61
      • 제1절 표본 집단의 일반적 특성 61
      • 1. 인구통계학적 특성 61
      • 2. 조사대상자의 펀드경험 실태조사 63
      • 3. 연구대상의 변수에 대한 특성 65
      • 4. 측정도구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66
      • 4.1. 펀드속성 중요도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67
      • 4.2 환경의식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69
      • 4.3 그 외 측정도구들의 신뢰도 분석 71
      • 5. 변수간의 상관관계 분석 71
      • 제2절 가설 검증 및 논의 74
      • 1. 예상 수익률이 녹색펀드 투자의도에 미치는 영향 74
      • 2. 지각된 위험이 녹색펀드 투자의도에 미치는 영향 75
      • 3. 펀드속성 중요도가 녹색펀드 투자의도에 미치는 영향 76
      • 4. 환경의식에 따른 예상 수익률이 녹색펀드 투자의도에 미치는 영향 77
      • 5. 환경의식에 따른 지각된 위험이 녹색펀드 투자의도에 미치는 영향 78
      • 6. 환경의식에 따른 펀드속성 중요도가 녹색펀드 투자의도에 미치는 영향 79
      • 7. 펀드 이해도에 따른 예상 수익률이 녹색펀드 투자의도에 미치는 영향 83
      • 8. 펀드 이해도에 따른 지각된 위험이 녹색펀드 투자의도에 미치는 영향 84
      • 9. 펀드 이해도에 따라 펀드속성 중요도가 녹색펀드 투자의도에 미치는 영향 86
      • 제5장 결론 및 제언 92
      • 제1절 연구의 요약 92
      • 제2절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94
      • 참고문헌 99
      • <부록> 109
      • 국문초록 119
      • ABSTRACT 1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