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인현은 충청좌도의 중남부지역에 위치한 小邑이었다. 이 지역은 정치적으로 西人 老論의 당색을 띠고 사상적으로 호서사림의 학풍을 지니고 있는 곳으로 재지사족의 향안질서가 형성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28363
2014
Korean
在地士族 ; 鄕案 ; 鄕規 ; 量案 ; 懷仁縣 ; 鄕風 ; 鄕中公事 ; local literati ; Hyang-an ; Local Covenant ; HoeInHyun ; Local Customs ; Hyang-jung-gong-sa
KCI등재
학술저널
63-99(37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회인현은 충청좌도의 중남부지역에 위치한 小邑이었다. 이 지역은 정치적으로 西人 老論의 당색을 띠고 사상적으로 호서사림의 학풍을 지니고 있는 곳으로 재지사족의 향안질서가 형성되...
회인현은 충청좌도의 중남부지역에 위치한 小邑이었다. 이 지역은 정치적으로 西人 老論의 당색을 띠고 사상적으로 호서사림의 학풍을 지니고 있는 곳으로 재지사족의 향안질서가 형성되어 발전한 곳이다. 본고는 조선후기 사회변동과정에서 회인현 재지사족의 동향을 향안과 향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사회구성체로서 사족의 일면을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鄕案은 재지사족의 명단으로서 그것은 사족집단 내부의 검증을 통해서만 入錄될 수 있는 폐쇄적인 것이었다. 회인향안은 수차례의 개수를 통해 향안질서를 구축하였고, 그것은 鄕案의 序文과 鄕規에 鄕風진작과 鄕中公事에 대한 주도적인 역할의 대한 명시로서 확인할 수 있었다.
회인향안은 18세기 초반부터 19세기 말까지 20년에서 40년 사이의 개수기간을 통해 작성되었다. 입록된 성씨의 총 수는 30개 성관으로서 이 중 鄕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성씨는 우씨, 양씨, 박씨 등이다. 이들은 향안질서의 형성과 발전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면서 일정한 영향력을 한말기까지 유지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향안의 개수과정은 당시 사회적인 변화를 유추할수 있게 하는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르면 회인의 향안질서는 18세기 중반에 걸친 자연재해의 영향과 19세기 초반 대두된 새로운 세력의 등장에 따라 변화하고 있었다. 이런 과정 속에서 사족들은 호서지역의 향풍을 바탕으로 사승관계와 교우관계를 형성하면서 향안질서를 유지해 나갔다.
이상의 사실로 보아, 회인현 사족들은 18세기에서 19세기에 이르는 동안 그 지역만의 독특한 사회 변화에 적응해 가면서 그들의 지위를 유지?존속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eInHyun(懷仁縣) is a small town in the southern part of ChoongChung Province This region is, in politics SeoIn-Noron(西人老論), in part of idea they have the academic tradition of Hoseo-Salim(湖西士林) and formed Local literati(在地士...
HoeInHyun(懷仁縣) is a small town in the southern part of ChoongChung Province This region is, in politics SeoIn-Noron(西人老論), in part of idea they have the academic tradition of Hoseo-Salim(湖西士林) and formed Local literati(在地士族)’s Hyang-an System(鄕案秩序) and also developed it.
This monograph will contemplate the tendency of HoeInHyun local literati(士族), especially examining them by Hyang-an, and also observe literati as a member of the society,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s social upheaval.
Hyang-an is a list of local literati that can only be entered by being verified by the members of the literati group. HoeIn Hyangan was built by several improvements, and that was confirmed by the writing in Hyangan’s preliminary remarks and by local covenant(鄕規) about local customs, and hyang-jung-gong-sa(鄕中公事)’s leading part.
HoeIn Hyang-an was written out from early 18c to late 19c with a 20 or 40 years period improvements.
The entire included surname are 30, and between those 30 DanYang Wuclan(丹陽禹氏), YoungHae Park clan(寧海朴氏), NamWon Yang clan(南原梁氏) had the greatest power in local customs. Those three surnames were the leading part in forming and development of Hyang-an System, which also remained their power till the end of chosun.
The process of improvements on Hyang-an shows some details that we can guess the changes of that time. According to these details, HoeIn’s Hyang-an System was being changed by natural disasters in the middle of 18c, and by new group which appeared at early 19c. By these process, literati retained Hyang-an System by relations between masters and pupils and peer relationship based in Hoseo area’s local customs.
Finally we can see that HoeInHyun literati retained their power as adapting unique changing of social part in that area during 18c till 19c.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금장태, "한국의 선비와 선비정신" 서울대출판부 2000
2 오영교, "조선후기 洞契의 구조와 운영 ― 寧越 邀僊契를 중심으로 ―" 조선시대사학회 (24) : 29-78, 2003
3 박경하, "조선중기 향촌지배조직에 관한 硏究-鄕規, 洞契를 중심으로-" 59 : 1994
4 "龍湖閒錄"
5 이정우, "韓國近世鄕村社會史硏究" 중앙인문사 2002
6 이태진, "韓國社會史硏究" 지식산업사 1980
7 김덕룡, "鄕規硏究" 한국사연구회 54 : 1986
8 신정희, "鄕案硏究" 26 : 1984
9 김덕룡, "鄕廳硏究" 한국사연구회 36 : 1978
10 "輿地圖書"
1 금장태, "한국의 선비와 선비정신" 서울대출판부 2000
2 오영교, "조선후기 洞契의 구조와 운영 ― 寧越 邀僊契를 중심으로 ―" 조선시대사학회 (24) : 29-78, 2003
3 박경하, "조선중기 향촌지배조직에 관한 硏究-鄕規, 洞契를 중심으로-" 59 : 1994
4 "龍湖閒錄"
5 이정우, "韓國近世鄕村社會史硏究" 중앙인문사 2002
6 이태진, "韓國社會史硏究" 지식산업사 1980
7 김덕룡, "鄕規硏究" 한국사연구회 54 : 1986
8 신정희, "鄕案硏究" 26 : 1984
9 김덕룡, "鄕廳硏究" 한국사연구회 36 : 1978
10 "輿地圖書"
11 "良役實總"
12 김인걸, "社會史硏究史料叢書" 보경문화사 1986
13 "牧民心書"
14 "林園經濟志"
15 "朝鮮王朝實錄"
16 김현영, "朝鮮時代의 兩班과 鄕村社會" 집문당 1999
17 정진영, "朝鮮時代 鄕村社會史"
18 이정우, "朝鮮時代 湖西士族硏究" 중앙인문사 2003
19 박경하, "朝鮮後期 鄕約硏究" 민음사 1990
20 鄕村社會史硏究會, "朝鮮後期 鄕約硏究" 민음사 1980
21 김인걸, "朝鮮後期 鄕權의 推移와 支配層 動向 -忠淸道 木川縣 事例-" 서울대한국학연구원 2 : 1981
22 오영교, "朝鮮後期 鄕村支配政策 硏究" 혜안 2000
23 김용섭, "朝鮮後期 農學史 硏究" 一潮閣 1988
24 김준석, "朝鮮後期 政治思想史 硏究" 知識産業社 2003
25 "日省錄"
26 "戶口總數"
27 성주탁, "懷德鄕約考" 충남대학교 9 : 1978
28 김건식, "懷仁의 地脈과 人脈" 報恩文化院 1999
29 "懷仁鄕案"
30 "忠淸道邑誌"
31 "度支志"
32 "峿堂先生文集"
33 전경목, "宋俊浩敎授停年紀念論叢" 1987
34 "壺山全書"
35 "壬戌錄"
36 "備邊司謄錄"
37 "三灘集"
38 김동철, "19세기 말 咸安地方의 鄕戰" 한국문화연구소 2 : 1989
39 망원한국사연구실, "1862년 농민항쟁" 동녘 1988
40 김선경, "17~18세기 양반층의 山林川澤 사점과 운영" 역사학연구소 7 : 2000
41 김인걸, "16․17세기 在地士族의 ‘居鄕觀’" 서울대 한국학연구원 19 : 1997
42 전용우, "16~17세기 忠北地域의 士林과 書院" 2003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3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7 | 0.42 | 0.818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