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년을 전후한 시기는 역사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고 또 국권이 상실되어가는 암울한 시기였다. 그동안 100년 안팎의 시간밖에 흐르지 않았지만 너무도 많은 사실들과 유적들이 잊히거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28365
2014
Korean
1900년 전후 ; 지역사 ; 안국정 ; 양회락 ; 홍우용 ; 김윤형 ; 황철원 ; 배현기 ; 양회갑 ; around 1900 ; local history ; An Guk-Jeong ; Yang Hoe-Rak ; Hong U-Yong ; Gim Yun-Hyeong ; Hwang Cheol-Won ; Bae Hyun-Gi ; Yang Hoe-Gap
KCI등재
학술저널
127-162(36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00년을 전후한 시기는 역사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고 또 국권이 상실되어가는 암울한 시기였다. 그동안 100년 안팎의 시간밖에 흐르지 않았지만 너무도 많은 사실들과 유적들이 잊히거나 ...
1900년을 전후한 시기는 역사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고 또 국권이 상실되어가는 암울한 시기였다. 그동안 100년 안팎의 시간밖에 흐르지 않았지만 너무도 많은 사실들과 유적들이 잊히거나 사라지고 있다. 특히 지방에서 나름대로 지역 전통을 담당해갔던 인물들은 중앙의 인물들과 비교되어 별 의미를 부여받지 못한 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경우가 허다하다. 아울러 지역사의 한 부분을 채울 수 있는 인물들과 그 활동에 대한 연구도 매우 부진한 상태이다.
전남 화순지역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근대기에 대단히 많은 인물이 출현하였다. 특히 노사 기정진의 학문을 전수받아 화순지역 곳곳에 전파하고 지역 문화를 선도해갔던 일신재 정의림의 역할은 매우 컸다. 그는 여러 곳에서 강학을 하며 후학 300여명을 배출하였고, 그 제자들은 다시 자신의 마을로 돌아가서 교육활동에 종사하여 4000명이 넘는 학단이 형성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화순지역의 문화를 주도해갔다고 할 수 있는 정의림의 이러한 활동은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그의 제자들은 더더욱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또 이들이 활동했던 유적 공간도 거의 사라지거나 폐허로 변한 상태이다. 본고에서는 우선적으로 정의림, 그리고 그와 종유하거나 그에게 수학하였던 몇 사람 즉 안국정, 양회락, 홍우용, 김윤형, 황철원, 배현기, 양회갑 등의 활동을 살펴서 이들의 중요성을 환기시키고자 하였다. 한 시대를 담당했던 이들의 활동을 밝히는 것은 지역사를 풍요롭게 구성할 수 있는 주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were historically many changes and it was darkest days because of losing the sovereignty of a nation in Korea around 1900. Time has gone only about 100years in the meanwhile but too many historical evidences and ruins has been forgotten and disa...
There were historically many changes and it was darkest days because of losing the sovereignty of a nation in Korea around 1900. Time has gone only about 100years in the meanwhile but too many historical evidences and ruins has been forgotten and disappeared. The most of persons who handled the local tradition in one’s own self has been especially forgotten without accepting any particular meaning by being compared to the persons in center. Also the study on them and their activities, which may be a part of local history, is very poor.
Too many persons appeared also in Chonnam Hwasun province in modern era. Jeong Ui-Rim particularly played a large role as a leader of local culture by receiving Gi Jeong-Jin’s studies and spreading it all over the Hwasun region. He trained 300 younger students, they returned to their hometown and engaged in education, and the learning group with over 4000 students was formed.
But Jeong Ui-Lim’s activity which leaded the culture of Hwasun region like above has been not well known. The study on his students has been even more not fulfilled, and their activity spaces has been almost disappeared or ruined. This article aimed to arouse an importance of their activities by researching activities of Jeong Ui-Lim and his learning partners of An Guk-Jeong, Yang Hoe-Rak, Hong U-Yong, Gim Yun-Hyeong, Hwang Cheol-Won, Bae Hyun-Gi, Yang Hoe-Gap. Because to investigate their activity, I think, is important way for enriched local histor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양회일, "행사실기(杏史實記)"
2 황철원, "중헌집(重軒集)"
3 양회갑, "정재집(正齋集)"
4 정의림, "일신재집(日新齋集)"
5 정의림, "일신재일기(日新齋日記)"
6 정의림, "일신재선생연원록(日新齋先生淵源錄)"
7 배현기, "인산재문집(仁山齋文集)"
8 홍우용, "우산유고(牛山遺稿)"
9 김윤형, "우곡유고(愚谷遺稿)"
10 안국정, "송하집(松下集)"
1 양회일, "행사실기(杏史實記)"
2 황철원, "중헌집(重軒集)"
3 양회갑, "정재집(正齋集)"
4 정의림, "일신재집(日新齋集)"
5 정의림, "일신재일기(日新齋日記)"
6 정의림, "일신재선생연원록(日新齋先生淵源錄)"
7 배현기, "인산재문집(仁山齋文集)"
8 홍우용, "우산유고(牛山遺稿)"
9 김윤형, "우곡유고(愚谷遺稿)"
10 안국정, "송하집(松下集)"
11 양회락, "동계당유고(東溪堂遺稿)"
12 김봉곤, "노사학파의 형성과 활동"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13 권수용, "노사학파의 누정 건립활동 연구" 석당학술원 (49) : 207-238, 2011
14 박기현, "강재일사(剛齋日事)"
15 박학래, "日新齋 鄭義林의 性理說 硏究" 범한철학회 41 (41): 77-105, 2006
16 권수용, "奇宇萬의 受信簡札과 교유의 성격" 영남문화연구원 (24) : 319-355, 2013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3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7 | 0.42 | 0.818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