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세계 디아스포라의 시대적 공간출현 배경과 가치이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here Expansion and Ideological Values of the Global Diaspora in the Age of Global Multi-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680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sphere expansion and ideological values of the global diaspora in the age of global multi-cultu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the current situation of global multi-culture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widespread global diaspora. The global diaspora has a population of estimated two billions in worldwide, and global immigrants reach one billion among the global diaspora. People in the global village are called for the establishing a global community without boundaries between the mainstream group (indigene, compatriot, resident, majority, centrality) and the fringe group (immigrant, foreigner, outsider, minority, periphery).
      Second, the sphere of global diaspora is rapidly expanded in the global village. Now, the global diaspora networks are emerging as new phenomenon due to the appearance of the global markets, spread of the global communication networks, increase the multiple identities and dual nationality, and generalization of the world tour and sightseeing. The sphere expansion of the global diaspora has immediate connection with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disperse capitalism, and network of the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With these backgrounds, the sphere of global diaspora will expand further.
      Third, in order to build an indiscriminate global community in the age of global diaspora, the global ideological values are needed such as cosmopolitan sympathy, positive communalism, open pacifism, and non-killing socialism. The people of the world could enjoy their lives with the global diaspora by virtues of compathy, justice,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The global community is likely to be realized only when the boundaries are abolished between the mainstream and fringe group in this world.
      In conclusion, it is high time for people in this world to establish a global community and communitization of global village where there is no discrimination against diaspora.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sphere expansion and ideological values of the global diaspora in the age of global multi-cultu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the current situation of global multi-culture are close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sphere expansion and ideological values of the global diaspora in the age of global multi-cultu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the current situation of global multi-culture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widespread global diaspora. The global diaspora has a population of estimated two billions in worldwide, and global immigrants reach one billion among the global diaspora. People in the global village are called for the establishing a global community without boundaries between the mainstream group (indigene, compatriot, resident, majority, centrality) and the fringe group (immigrant, foreigner, outsider, minority, periphery).
      Second, the sphere of global diaspora is rapidly expanded in the global village. Now, the global diaspora networks are emerging as new phenomenon due to the appearance of the global markets, spread of the global communication networks, increase the multiple identities and dual nationality, and generalization of the world tour and sightseeing. The sphere expansion of the global diaspora has immediate connection with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disperse capitalism, and network of the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With these backgrounds, the sphere of global diaspora will expand further.
      Third, in order to build an indiscriminate global community in the age of global diaspora, the global ideological values are needed such as cosmopolitan sympathy, positive communalism, open pacifism, and non-killing socialism. The people of the world could enjoy their lives with the global diaspora by virtues of compathy, justice,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The global community is likely to be realized only when the boundaries are abolished between the mainstream and fringe group in this world.
      In conclusion, it is high time for people in this world to establish a global community and communitization of global village where there is no discrimination against diaspor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글로벌 다문화시대에서 세계 디아스포라의 시대적 공간출현에 대한 배경과 이들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면서 추구해야 할 가치이념이 무엇인가를 모색하는 데에 있다. 그에 따라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현재 글로벌 다문화시대가 ‘세계 디아스포라시대’와 접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구촌 인구의 약 20억명 정도가 디아스포라들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에 국제이주자의 수가 현재 10억 명에 달하고 있다는 것은 글로벌 다문화시대가 곧 ‘세계 디아스포라의 시대’와 접속되고 있다고 규정했다. 이런 시대에서 지구촌의 인류는 원주민, 동포, 국내자, 다수자, 중심인, 주류집단과 이주민, 이방인, 국외자, 소수자, 경계인, 비주류집단과의 경계가 무너지는 ‘지구촌공동체화’와 ‘지구공동체’ 건설을 추구하도록 요구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둘째, 오늘날 세계는 디아스포라의 시대적 공간 출현을 갈수록 확대해가고 있다고 규명했다. 지금 지구촌은 지구화로 인해 글로벌 시장의 대두,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확산, 다중 정체성과 이중 국적의 증가, 세계 여행과 관광의 일상화 등에서 세계 디아스포라 네트워크의 출현과 같은 디아스포라 공간을 빠르게 넓혀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 공간 출현의 배경은 3차 산업혁명시대, 분산자본주의 시대, 비정부기구 네트워크 시대의 요구에서 규명하고 그 배경에 따라 디아스포라의 공간 출현 확대가 더욱 추동될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분석했다. 셋째, 세계 디아스포라의 시대적 공간출현에 기초하여 ‘디아스포라에 대한 차별 없는 지구촌 건설’을 위해 필요한 글로벌 가치이념은 코스모폴리탄 공감주의, 적극적 공동체주의, 열린 평화주의, 비살생 사회주의가 될 것이라고 제시했다. 오늘날 다문화시대와 접속된 디아스포라 시대의 인류 모두가 디아스포라와의 공감, 공행, 공정,공생, 공존, 공영을 향한 글로벌 가치이념의 선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고 규명했기 때문이다. 지구촌에서 이주민, 이방인, 국외자, 소수자, 경계인, 비주류집단으로 구별되고 차별받는 디아스포라가 원주민, 동포, 국내자, 다수자, 중심인, 주류집단과의 경계가 완전히 사라질 때만이 지구공동체 건설의 목표를 향한 지구촌공동체화도 현재화되고 구체화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글로벌 국제이주가 보편화 된 오늘 날, 다문화시대는 필연적으로 세계 디아스포라 시대와 융합될 수밖에 없는 바, 지구촌 인류는 디아스포라의 가치이념을 기반으로 ‘디아스포라에 대한 차별을 배제하고 모두 함께 더불어 사는 평화로운 지구촌 공동체’의 건설 방향으로 즉시 움직여야 할 때라고 주장됐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글로벌 다문화시대에서 세계 디아스포라의 시대적 공간출현에 대한 배경과 이들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면서 추구해야 할 가치이념이 무엇인가를 모색하는 데에 있다. ...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글로벌 다문화시대에서 세계 디아스포라의 시대적 공간출현에 대한 배경과 이들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면서 추구해야 할 가치이념이 무엇인가를 모색하는 데에 있다. 그에 따라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현재 글로벌 다문화시대가 ‘세계 디아스포라시대’와 접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구촌 인구의 약 20억명 정도가 디아스포라들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에 국제이주자의 수가 현재 10억 명에 달하고 있다는 것은 글로벌 다문화시대가 곧 ‘세계 디아스포라의 시대’와 접속되고 있다고 규정했다. 이런 시대에서 지구촌의 인류는 원주민, 동포, 국내자, 다수자, 중심인, 주류집단과 이주민, 이방인, 국외자, 소수자, 경계인, 비주류집단과의 경계가 무너지는 ‘지구촌공동체화’와 ‘지구공동체’ 건설을 추구하도록 요구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둘째, 오늘날 세계는 디아스포라의 시대적 공간 출현을 갈수록 확대해가고 있다고 규명했다. 지금 지구촌은 지구화로 인해 글로벌 시장의 대두,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확산, 다중 정체성과 이중 국적의 증가, 세계 여행과 관광의 일상화 등에서 세계 디아스포라 네트워크의 출현과 같은 디아스포라 공간을 빠르게 넓혀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 공간 출현의 배경은 3차 산업혁명시대, 분산자본주의 시대, 비정부기구 네트워크 시대의 요구에서 규명하고 그 배경에 따라 디아스포라의 공간 출현 확대가 더욱 추동될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분석했다. 셋째, 세계 디아스포라의 시대적 공간출현에 기초하여 ‘디아스포라에 대한 차별 없는 지구촌 건설’을 위해 필요한 글로벌 가치이념은 코스모폴리탄 공감주의, 적극적 공동체주의, 열린 평화주의, 비살생 사회주의가 될 것이라고 제시했다. 오늘날 다문화시대와 접속된 디아스포라 시대의 인류 모두가 디아스포라와의 공감, 공행, 공정,공생, 공존, 공영을 향한 글로벌 가치이념의 선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고 규명했기 때문이다. 지구촌에서 이주민, 이방인, 국외자, 소수자, 경계인, 비주류집단으로 구별되고 차별받는 디아스포라가 원주민, 동포, 국내자, 다수자, 중심인, 주류집단과의 경계가 완전히 사라질 때만이 지구공동체 건설의 목표를 향한 지구촌공동체화도 현재화되고 구체화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글로벌 국제이주가 보편화 된 오늘 날, 다문화시대는 필연적으로 세계 디아스포라 시대와 융합될 수밖에 없는 바, 지구촌 인류는 디아스포라의 가치이념을 기반으로 ‘디아스포라에 대한 차별을 배제하고 모두 함께 더불어 사는 평화로운 지구촌 공동체’의 건설 방향으로 즉시 움직여야 할 때라고 주장됐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영, "현대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왈저, 바버" 한국학술정보 2006

      2 김학성, "한반도 평화체제에 대한 이론적 접근" 통일연구원 2000

      3 정형철, "포스트콜로니얼리즘과 코스모폴리타니즘" 도서출판 동인 2013

      4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평화의 철학" 철학과 현실사 1995

      5 윤황, "평화경제를 통한 한반도경제공동체 건설의 대전략 구상"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4 (14): 25-50, 2013

      6 글렌 D. 페이지, "페이지 지음, 정윤재 옮김, "비살생 정치학-세계평화를 위한 신정치이론"" 백산서당 2007

      7 김수환, "탈경계 시대의 지구화와 지역화"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0

      8 임영언, "초국가시대 세계디아스포라 민족공동체의 변화 양상에 관한 고찰" 한국동북아학회 16 (16): 231-261, 2011

      9 사회교육연구회, "지식과 사고-사회과교육 인식의 전환-" 학문사 2001

      10 박경서, "지구촌정치학" 법문사 1999

      1 김미영, "현대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왈저, 바버" 한국학술정보 2006

      2 김학성, "한반도 평화체제에 대한 이론적 접근" 통일연구원 2000

      3 정형철, "포스트콜로니얼리즘과 코스모폴리타니즘" 도서출판 동인 2013

      4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평화의 철학" 철학과 현실사 1995

      5 윤황, "평화경제를 통한 한반도경제공동체 건설의 대전략 구상"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4 (14): 25-50, 2013

      6 글렌 D. 페이지, "페이지 지음, 정윤재 옮김, "비살생 정치학-세계평화를 위한 신정치이론"" 백산서당 2007

      7 김수환, "탈경계 시대의 지구화와 지역화"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0

      8 임영언, "초국가시대 세계디아스포라 민족공동체의 변화 양상에 관한 고찰" 한국동북아학회 16 (16): 231-261, 2011

      9 사회교육연구회, "지식과 사고-사회과교육 인식의 전환-" 학문사 2001

      10 박경서, "지구촌정치학" 법문사 1999

      11 박수미, "종이에서 필름으로, 서사와 관념의 디아스포라" 지금여기 2012

      12 베르나르 베르베르, "제3인류(3권)" 열린책들 2014

      13 장희권, "전지구화 과정 속의 타자와 그들의 공간" 인문학연구소 68 : 211-244, 2010

      14 임채완, "재외한인과 글로벌네트워크" 한울아카데미 2006

      15 심승우, "이주민의 포용과 다문화 정치통합의 전략" 세계한상문화연구단 6 (6): 81-110, 2012

      16 박구용, "이주민과 문화다원주의" 범한철학회 46 (46): 137-169, 2007

      17 김도희, "이산적 주체의 긍정성, 연대" 2008

      18 정하성, "여러 나라 사람들의 삶" 한국학술정보 2009

      19 박경환, "소수자와 소수자 공간: 비판 다문화주의의 공간교육을 위한 제언"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6 (16): 297-310, 2008

      20 임채완, "세계화 시대 ‘디아스포라 현상’접근: 초국가네트워크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13 (13): 469-491, 2008

      21 기 리샤르, "사람은 왜 옮겨 다니며 살았나" 에디터 2004

      22 조지프 스티글리츠, "불평등의 대가" 열린책들 2013

      23 김동하, "바이 차이나 2005 마스터플랜" 시대의창 2002

      24 김게르만, "민족, 종족, 디아스포라의 자아의식" 인문학연구원 52 : 113-142, 2011

      25 메가 챌린지 존 나이스비트, "메가 챌린지" 국일증권경제연구소 1999

      26 조동범, "디아스포라의 고백들: 조동범 평론집" 작가와비평 2011

      27 김택현, "디아스포라와 문화 혼종" 2006

      28 윤인진, "디아스포라를 어떻게 볼 것인가" 2006

      29 박경환, "디아스포라라는 거울, 민족이라는 담론, 그리고 초국적주의의 부상" 8 (8): 2006

      30 박경환, "디아스포라 주체의 비판적 위치성과 민족 서사의 해체"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9 (19): 1-12, 2007

      31 서경식, "디아스포라 기행 : 추방당한 자의 시선" 돌베개 2006

      32 임채완, "동북아공동체 구축가능성과 디아스포라의 역할 - 디아스포라 공동체 형성을 중심으로 -" 국가안보전략연구원 10 (10): 1-40, 2010

      33 정희재, "도시에서 살며 사랑하며 배우며" 걷는나무 2012

      34 박경환, "다문화주의의 지리에서 인종 및 민족집단의 지리로(1): 인종 및 민족집단에 대한 사회공간적 논의의 성찰"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4 (24): 116-139, 2012

      35 강원, "다문화시대 문화 중개자로서 디아스포라의 가능성 연구-문화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실천적 준거" 3 (3): 2009

      36 린다 브림, "글로벌 코스모폴리탄" 가산출판사 2012

      37 김성곤, "글로벌 시대의 문학" 민음사 2006

      38 임채완, "글로벌 디아스포라학의 체계화" 한국동북아학회 17 (17): 311-337, 2012

      39 전형권, "국제이주에 대한 이론적 재검토: 디아스포라 현상의 통합모형 접근" 한국동북아학회 13 (13): 259-284, 2008

      40 김영식, "교육의 틀 바꿔야 대한민국이 산다" 매일경제신문사 2010

      41 제러미 리프킨, "공감의 시대" 민음사 2010

      42 김민구, "경제 상식사전" 길벗 2012

      43 이선주, "경계인들의 목소리" 그린비출판사 2013

      44 서경식, "경계에서 만나다 : 디아스포라와의 대화" 현암사 2013

      45 "http://www.yonhapnews.co.kr"

      46 "http://www.undp.org"

      47 "http://www.christiantoday.co.kr"

      48 "http://www.ajunews.com"

      49 "http://terms.naver.com"

      50 "http://members.britannica.co.kr"

      51 "http://media.daum.net"

      52 "http://ko.wikipedia.org"

      53 "http://ko.wikipedia.org"

      54 "http://iom.or.kr/?page_id=2356"

      55 인구보건복지협회, "UNFPA 2013 세계인구현황보고서: 엄마가 된 아이들" 2013

      56 마정미, "21세기 문화와 삶: 슬픈 이름, 디아스포라" 48 (48):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세계한상문화연구단 ->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영문명 : Reseach Group for Global Korean Business & Culture -> Center for Global Diaspora Studie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1.05 1.433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