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미영, "현대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왈저, 바버" 한국학술정보 2006
2 김학성, "한반도 평화체제에 대한 이론적 접근" 통일연구원 2000
3 정형철, "포스트콜로니얼리즘과 코스모폴리타니즘" 도서출판 동인 2013
4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평화의 철학" 철학과 현실사 1995
5 윤황, "평화경제를 통한 한반도경제공동체 건설의 대전략 구상"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4 (14): 25-50, 2013
6 글렌 D. 페이지, "페이지 지음, 정윤재 옮김, "비살생 정치학-세계평화를 위한 신정치이론"" 백산서당 2007
7 김수환, "탈경계 시대의 지구화와 지역화"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0
8 임영언, "초국가시대 세계디아스포라 민족공동체의 변화 양상에 관한 고찰" 한국동북아학회 16 (16): 231-261, 2011
9 사회교육연구회, "지식과 사고-사회과교육 인식의 전환-" 학문사 2001
10 박경서, "지구촌정치학" 법문사 1999
1 김미영, "현대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왈저, 바버" 한국학술정보 2006
2 김학성, "한반도 평화체제에 대한 이론적 접근" 통일연구원 2000
3 정형철, "포스트콜로니얼리즘과 코스모폴리타니즘" 도서출판 동인 2013
4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평화의 철학" 철학과 현실사 1995
5 윤황, "평화경제를 통한 한반도경제공동체 건설의 대전략 구상"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4 (14): 25-50, 2013
6 글렌 D. 페이지, "페이지 지음, 정윤재 옮김, "비살생 정치학-세계평화를 위한 신정치이론"" 백산서당 2007
7 김수환, "탈경계 시대의 지구화와 지역화"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0
8 임영언, "초국가시대 세계디아스포라 민족공동체의 변화 양상에 관한 고찰" 한국동북아학회 16 (16): 231-261, 2011
9 사회교육연구회, "지식과 사고-사회과교육 인식의 전환-" 학문사 2001
10 박경서, "지구촌정치학" 법문사 1999
11 박수미, "종이에서 필름으로, 서사와 관념의 디아스포라" 지금여기 2012
12 베르나르 베르베르, "제3인류(3권)" 열린책들 2014
13 장희권, "전지구화 과정 속의 타자와 그들의 공간" 인문학연구소 68 : 211-244, 2010
14 임채완, "재외한인과 글로벌네트워크" 한울아카데미 2006
15 심승우, "이주민의 포용과 다문화 정치통합의 전략" 세계한상문화연구단 6 (6): 81-110, 2012
16 박구용, "이주민과 문화다원주의" 범한철학회 46 (46): 137-169, 2007
17 김도희, "이산적 주체의 긍정성, 연대" 2008
18 정하성, "여러 나라 사람들의 삶" 한국학술정보 2009
19 박경환, "소수자와 소수자 공간: 비판 다문화주의의 공간교육을 위한 제언"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6 (16): 297-310, 2008
20 임채완, "세계화 시대 ‘디아스포라 현상’접근: 초국가네트워크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13 (13): 469-491, 2008
21 기 리샤르, "사람은 왜 옮겨 다니며 살았나" 에디터 2004
22 조지프 스티글리츠, "불평등의 대가" 열린책들 2013
23 김동하, "바이 차이나 2005 마스터플랜" 시대의창 2002
24 김게르만, "민족, 종족, 디아스포라의 자아의식" 인문학연구원 52 : 113-142, 2011
25 메가 챌린지 존 나이스비트, "메가 챌린지" 국일증권경제연구소 1999
26 조동범, "디아스포라의 고백들: 조동범 평론집" 작가와비평 2011
27 김택현, "디아스포라와 문화 혼종" 2006
28 윤인진, "디아스포라를 어떻게 볼 것인가" 2006
29 박경환, "디아스포라라는 거울, 민족이라는 담론, 그리고 초국적주의의 부상" 8 (8): 2006
30 박경환, "디아스포라 주체의 비판적 위치성과 민족 서사의 해체"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9 (19): 1-12, 2007
31 서경식, "디아스포라 기행 : 추방당한 자의 시선" 돌베개 2006
32 임채완, "동북아공동체 구축가능성과 디아스포라의 역할 - 디아스포라 공동체 형성을 중심으로 -" 국가안보전략연구원 10 (10): 1-40, 2010
33 정희재, "도시에서 살며 사랑하며 배우며" 걷는나무 2012
34 박경환, "다문화주의의 지리에서 인종 및 민족집단의 지리로(1): 인종 및 민족집단에 대한 사회공간적 논의의 성찰"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4 (24): 116-139, 2012
35 강원, "다문화시대 문화 중개자로서 디아스포라의 가능성 연구-문화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실천적 준거" 3 (3): 2009
36 린다 브림, "글로벌 코스모폴리탄" 가산출판사 2012
37 김성곤, "글로벌 시대의 문학" 민음사 2006
38 임채완, "글로벌 디아스포라학의 체계화" 한국동북아학회 17 (17): 311-337, 2012
39 전형권, "국제이주에 대한 이론적 재검토: 디아스포라 현상의 통합모형 접근" 한국동북아학회 13 (13): 259-284, 2008
40 김영식, "교육의 틀 바꿔야 대한민국이 산다" 매일경제신문사 2010
41 제러미 리프킨, "공감의 시대" 민음사 2010
42 김민구, "경제 상식사전" 길벗 2012
43 이선주, "경계인들의 목소리" 그린비출판사 2013
44 서경식, "경계에서 만나다 : 디아스포라와의 대화" 현암사 2013
45 "http://www.yonhapnews.co.kr"
46 "http://www.undp.org"
47 "http://www.christiantoday.co.kr"
48 "http://www.ajunews.com"
49 "http://terms.naver.com"
50 "http://members.britannica.co.kr"
51 "http://media.daum.net"
52 "http://ko.wikipedia.org"
53 "http://ko.wikipedia.org"
54 "http://iom.or.kr/?page_id=2356"
55 인구보건복지협회, "UNFPA 2013 세계인구현황보고서: 엄마가 된 아이들" 2013
56 마정미, "21세기 문화와 삶: 슬픈 이름, 디아스포라" 48 (48):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