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육에서의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Integrative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195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tegrated curriculum discourse reflected on the textbooks of early education curriculum studies, using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pproach developed by N. Fairclough. Forty-one textbook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upon three frames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ext, discourse practice, and social practice. The text analysis revealed that 1) the meaning of integration was constructed in limited and tentative ways, 2)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s were attributed to a single definition, the nation-level curriculum one, 3) nation-level curriculum implementation were prescribed, 4) the other curriculum models were put into obscure stance, and 5) various curriculum discourses were marginalized. The discourse analysis revealed that old-boy network mediated the social practice of text. The social practice analysis revealed that the normalized integrated curriculum ideology was expanded through nation-level curriculum and held hegemony. The implication of critical theory for future research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discussed. It was stressed that the recognition of nation/government- academism relationship is critical for future research.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tasks were described.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tegrated curriculum discourse reflected on the textbooks of early education curriculum studies, using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pproach developed by N. Fairclough. Forty-one textbooks were selected and analyzed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tegrated curriculum discourse reflected on the textbooks of early education curriculum studies, using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pproach developed by N. Fairclough. Forty-one textbook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upon three frames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ext, discourse practice, and social practice. The text analysis revealed that 1) the meaning of integration was constructed in limited and tentative ways, 2)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s were attributed to a single definition, the nation-level curriculum one, 3) nation-level curriculum implementation were prescribed, 4) the other curriculum models were put into obscure stance, and 5) various curriculum discourses were marginalized. The discourse analysis revealed that old-boy network mediated the social practice of text. The social practice analysis revealed that the normalized integrated curriculum ideology was expanded through nation-level curriculum and held hegemony. The implication of critical theory for future research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discussed. It was stressed that the recognition of nation/government- academism relationship is critical for future research.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tasks were describ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 분야에서의 교육과정 구성과 운영의 핵심 논제인 통합교육과정의 의미 구성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을 시도하였다. 유아교육과정 대학 교재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내용을 담론분석이라는 방법을 통해 유아교육에서 통합교육과정의 의미는 그 의미가 어떻게 구성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담론의 생산과 소비 및 사회 구조에서의 통합교육과정의 의미는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드러냄으로써, 유아교육에서 통합교육을 왜 어떻게 해야 하는지 대한 근본적인 질문으로 돌아가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 지향적 통합교육과정의 목적과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 데 목적을 두었다. 유아교육을 포함한 교육 일반에서 재개념화 논의의 이론적 기초가 되는 후기구조주의 관점을 취함으로써 연구방법은 기존의 언어학 내의 담론 분석과 푸코의 담론이론을 결합한 페어클로(Fairclough, 1998)가 제시한 텍스트 분석, 담론적 실천 분석, 사회적 실천 분석의 세 차원의 분석 틀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텍스트 분석에서는 제한적이면서도 동시에 개념적 혼란이 있는 통합의 의미들이 구성되는 가운데 이론적 관점과 해석은 교육과학기술부의 입장으로 단일 귀착되는 현상을 드러내 보였다. 또한 국가수준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처방으로 치닫고 여타 교육과정 모형의 입지를 불명료하게 만듦으로써 다양한 교육과정 담론을 주변화 시키고 있음을 드러냈다. 텍스트와 사회적 실천의 고리를 분석하는 담론 실천 분석에서는 학연이라는 고리의 작용을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실천의 분석에서는 학연의 고리가 국가수준 교육과정으로 규범화된 통합교육과정의 확산을 촉매하고 헤게모니 장악으로 연결시키는 구조를 드러냈다. 비판적 담론분석의 결과는 유아교육과정 논의의 다양성 확대의 중요성과 국가 권력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에 비추어 논의되었고, 푸코이론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 분야에서의 교육과정 구성과 운영의 핵심 논제인 통합교육과정의 의미 구성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을 시도하였다. 유아교육과정 대학 교재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 분야에서의 교육과정 구성과 운영의 핵심 논제인 통합교육과정의 의미 구성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을 시도하였다. 유아교육과정 대학 교재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내용을 담론분석이라는 방법을 통해 유아교육에서 통합교육과정의 의미는 그 의미가 어떻게 구성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담론의 생산과 소비 및 사회 구조에서의 통합교육과정의 의미는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드러냄으로써, 유아교육에서 통합교육을 왜 어떻게 해야 하는지 대한 근본적인 질문으로 돌아가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 지향적 통합교육과정의 목적과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 데 목적을 두었다. 유아교육을 포함한 교육 일반에서 재개념화 논의의 이론적 기초가 되는 후기구조주의 관점을 취함으로써 연구방법은 기존의 언어학 내의 담론 분석과 푸코의 담론이론을 결합한 페어클로(Fairclough, 1998)가 제시한 텍스트 분석, 담론적 실천 분석, 사회적 실천 분석의 세 차원의 분석 틀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텍스트 분석에서는 제한적이면서도 동시에 개념적 혼란이 있는 통합의 의미들이 구성되는 가운데 이론적 관점과 해석은 교육과학기술부의 입장으로 단일 귀착되는 현상을 드러내 보였다. 또한 국가수준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처방으로 치닫고 여타 교육과정 모형의 입지를 불명료하게 만듦으로써 다양한 교육과정 담론을 주변화 시키고 있음을 드러냈다. 텍스트와 사회적 실천의 고리를 분석하는 담론 실천 분석에서는 학연이라는 고리의 작용을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실천의 분석에서는 학연의 고리가 국가수준 교육과정으로 규범화된 통합교육과정의 확산을 촉매하고 헤게모니 장악으로 연결시키는 구조를 드러냈다. 비판적 담론분석의 결과는 유아교육과정 논의의 다양성 확대의 중요성과 국가 권력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에 비추어 논의되었고, 푸코이론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평중, "현대철학의 흐름" 동녘 1996

      2 김호기, "현대 비판사회이론의 흐름" 한울 2001

      3 정선아, "통합의 의미 탐색" 49-74, 2004

      4 김재복, "통합교육과정의 이론과 적용" 교학연구사 1983

      5 곽병선, "통합교육과정의 구성방법. 한국교육개발원 편. 통합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983

      6 조덕주,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반성적 고찰" 16 (16): 185-204, 1998

      7 Foucault, M., "지식의 고고학" 민음사 2000

      8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지도서1,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2007

      9 김영옥, "유아교육에 있어서의 통합의 의미와 과제. 유아교육에서의 통합: 그 의미와 실천" 25-51, 2008

      10 양옥승, "유아교육과정 탐구" 학지사 2008

      1 윤평중, "현대철학의 흐름" 동녘 1996

      2 김호기, "현대 비판사회이론의 흐름" 한울 2001

      3 정선아, "통합의 의미 탐색" 49-74, 2004

      4 김재복, "통합교육과정의 이론과 적용" 교학연구사 1983

      5 곽병선, "통합교육과정의 구성방법. 한국교육개발원 편. 통합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983

      6 조덕주,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반성적 고찰" 16 (16): 185-204, 1998

      7 Foucault, M., "지식의 고고학" 민음사 2000

      8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지도서1,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2007

      9 김영옥, "유아교육에 있어서의 통합의 의미와 과제. 유아교육에서의 통합: 그 의미와 실천" 25-51, 2008

      10 양옥승, "유아교육과정 탐구" 학지사 2008

      11 이기숙, "유아교육과정" 교문사 2009

      12 이부미, "생태론적 세계관,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25-52, 2009

      13 김성언, "미셸 푸코의 ‘지식-권력’론과 비판의 의미, In 미셸 푸코론" 한울 124-192, 1990

      14 김부용, "미셸 푸코에 있어서 지식과 권력, In 미셸 푸코론" 한울 59-108, 1990

      15 Foucault, M., "담론의 질서" 중원문화사 2012

      16 양미경, "교육과정에서의 경험의 의미 : 오크쇼트의 이론을 중심으로" 15 (15): 56-79, 1997

      17 김대현, "교육과정 체제 구조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7

      18 서덕희, "“교실붕괴” 기사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6 (6): 55-89, 2003

      19 Pinar, W. F., "Understanding curriculum: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historical and contemporary curriculum discour" Peter Lang 1995

      20 Fogarty, R., "The mindful school: How to integrate the curriculum" IRI/Skylight Publishing. Inc 1991

      21 Foucault, M., "The birth of the clinic" Tavisock 1972

      22 Bakhtin, M. M., "Speech genres & other late essays" University of Texas Press Slavic 1986

      23 Hall, S., "Representation: Cultural representations and signifying practices" Sage Pub 1997

      24 Bredekamp, S., "Reaching potentials: Transforming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assessment" NAEYC 1995

      25 Fairclough, N., "Media discourse" Edward Arnold 1995

      26 Fairclough, N., "Intertextuality i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4 : 269-293, 1992

      27 Fairclough, N., "Discourse and social change" Polity Press 1992

      28 Gee, J., "Discourse analysis, In Th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Academic Press 227-291, 1992

      29 Potter, J., "Discourse analysis as a way of analysing naturally occurring talk, In Qualitative research: Theory, method and practice" Mouton 144-160, 1997

      30 Schwartz, S. L., "Designing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Allyn and Bacon. Inc 1982

      31 Fairclough, N., "Critical and descriptive goals in discourse analysis" 9 : 739-763, 1985

      32 Garret, P., "Approaches to media discourse" Blackwell Pub 1998

      33 김희연, "2007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있어서의 통합의 의미에 대한 비판적 고찰" 1-12,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앙유아교육학회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영문명 : Chung-Ang Society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2 2.42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7 2.56 2.707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