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해시태그 유형이 인플루언서 및 패션 정보 평가, 수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Hashtag Type on Evaluations of Influencer and Fashion Information and Consumer Respon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896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hashtag type on consumer response via evaluations of SNS fashion influencer and information in the context of fashion product communica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fit between hashtag content and fashion product image on information evaluation was also investigate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responses from 152 Instagram users were collec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hashtag type (informative vs storytelling) affects the evaluations of influencer and information. First, the informative hashtag has a positive effect on influencer's expertise and usefulness of information. Meanwhile, storytelling typ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familiarity of the influencer. This study also verified the mediated paths from hashtag type to consumer response through the evaluations of SNS fashion influencer and information. The influencer's expertise and familiarity mediated the effect of hashtag type on consumer response. In the information evaluation, only the mediating effect of usefulness was significant. Finally, the high condition of the perceived fit between hashtag content and fashion product image was found to highly evaluate the trust of information. This study extends the scope of fashion communication research from various angles by examining the role of the hashtag as a new type of information source.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hashtag type on consumer response via evaluations of SNS fashion influencer and information in the context of fashion product communica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fit between hashtag content and fashion p...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hashtag type on consumer response via evaluations of SNS fashion influencer and information in the context of fashion product communica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fit between hashtag content and fashion product image on information evaluation was also investigate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responses from 152 Instagram users were collec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hashtag type (informative vs storytelling) affects the evaluations of influencer and information. First, the informative hashtag has a positive effect on influencer's expertise and usefulness of information. Meanwhile, storytelling typ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familiarity of the influencer. This study also verified the mediated paths from hashtag type to consumer response through the evaluations of SNS fashion influencer and information. The influencer's expertise and familiarity mediated the effect of hashtag type on consumer response. In the information evaluation, only the mediating effect of usefulness was significant. Finally, the high condition of the perceived fit between hashtag content and fashion product image was found to highly evaluate the trust of information. This study extends the scope of fashion communication research from various angles by examining the role of the hashtag as a new type of information sour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승호, "페이스북에서 효과적인 바이럴마케팅을 위한 영향력 있는 의견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패턴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201-209, 2013

      2 신영웅, "페이스북 정보원의 전문성과 사회적 거리감에 따른 광고효과연구 : 설득지식모델을 적용하여" 한국광고학회 25 (25): 343-366, 2014

      3 채희주, "패션브랜드의 이미지 기반 SNS에서 해시태그의 이용동기가 고객소셜참여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SNS 참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 17 (17): 942-955, 2015

      4 김분태, "제품적합성, 관여도, 온라인 광고의 접속행동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관리학회 8 (8): 55-81, 2003

      5 Moon, J. H., "정보원 자기노출이 사회적 실재감과 제품후기 정보 신뢰성에 대한 수용자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이미지 중심 정보와 텍스트 중심 정보의 차이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personal reviewer's disclosure on social presence and credibility of information-Focused on the differences in image-based information and text-based information-]" Yonsei University 2016

      6 심규열, "인터넷 쇼핑몰의 초기화면 이미지가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정보제공성, 흥미성 및 신뢰성의 매개적 작용" 한국경영교육학회 (38) : 191-217, 2005

      7 조수영, "인터넷 건강 정보의 정보원 유형과 상업 링크 유무, 질병의 심각성에 따른 설득 효과 차이: 설득지식모델의 적용" 한국언론학회 55 (55): 123-152, 2011

      8 남민지, "인스타그램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용자 감정 분류 방법"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8 (18): 1391-1399, 2015

      9 김정인, "인스타그램 유저들의 예외적 해시태그(hashtag) 이용 행태 연구"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5 (15): 135-152, 2016

      10 김유나, "이미지 기반 SNS의 스토리텔링 구조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41) : 177-192, 2016

      1 조승호, "페이스북에서 효과적인 바이럴마케팅을 위한 영향력 있는 의견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패턴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201-209, 2013

      2 신영웅, "페이스북 정보원의 전문성과 사회적 거리감에 따른 광고효과연구 : 설득지식모델을 적용하여" 한국광고학회 25 (25): 343-366, 2014

      3 채희주, "패션브랜드의 이미지 기반 SNS에서 해시태그의 이용동기가 고객소셜참여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SNS 참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 17 (17): 942-955, 2015

      4 김분태, "제품적합성, 관여도, 온라인 광고의 접속행동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관리학회 8 (8): 55-81, 2003

      5 Moon, J. H., "정보원 자기노출이 사회적 실재감과 제품후기 정보 신뢰성에 대한 수용자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이미지 중심 정보와 텍스트 중심 정보의 차이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personal reviewer's disclosure on social presence and credibility of information-Focused on the differences in image-based information and text-based information-]" Yonsei University 2016

      6 심규열, "인터넷 쇼핑몰의 초기화면 이미지가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정보제공성, 흥미성 및 신뢰성의 매개적 작용" 한국경영교육학회 (38) : 191-217, 2005

      7 조수영, "인터넷 건강 정보의 정보원 유형과 상업 링크 유무, 질병의 심각성에 따른 설득 효과 차이: 설득지식모델의 적용" 한국언론학회 55 (55): 123-152, 2011

      8 남민지, "인스타그램 해시태그를 이용한 사용자 감정 분류 방법"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8 (18): 1391-1399, 2015

      9 김정인, "인스타그램 유저들의 예외적 해시태그(hashtag) 이용 행태 연구"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15 (15): 135-152, 2016

      10 김유나, "이미지 기반 SNS의 스토리텔링 구조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41) : 177-192, 2016

      11 최동궁, "웹 특성 변수가 웹 브랜드자산 형성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17 (17): 123-146, 2002

      12 최수지, "외식소비자의 온라인 구전정보 수용 및 지속적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 수정된 Triandis 모델의 적용 -" 한국관광학회 39 (39): 207-227, 2015

      13 김상조, "외국인 모델 속성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 자민족중심성향의 조절효과" 한국소비문화학회 10 (10): 153-173, 2007

      14 이철성, "온라인 구매상황에서 구전 정보의 정보적 특성이 구전 수용에 미치는 영향: 신뢰성과 유용성의 매개적 역할" 한국유통경영학회 16 (16): 59-75, 2013

      15 김유정, "소셜 필터링, 정보품질 및 심리적계약이 SNS 신뢰와 지속적 정보 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1 (11): 57-82, 2011

      16 한은경, "소셜 커머스의 이용 동기와 만족, 재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 이용과 충족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3 (13): 298-325, 2011

      17 Choi, J., "소셜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미국시장 진출 전략" Global Market 2017

      18 Cha, B. K., "설득커뮤니케이션 개론 [Introduction of persuasion communication]" Nanam 2005

      19 윤만희, "서비스 종업원의 감정표현과 진정성이 관계품질에 미치는 영향 - 레포의 매개적 역할 -" 한국경영학회 39 (39): 1391-1423, 2010

      20 이세진, "모바일 배너광고의 맥락효과와 메시지 표현유형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한국광고학회 26 (26): 167-185, 2015

      21 심선희, "모바일 SNS속성이 관계형성과 정보공유를 매개로 사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품질경영학회 40 (40): 60-72, 2012

      22 Park, H. S., "롱테일 마케팅을위한 소셜 네트워크의 인플루언서 연구: 한국 영화산업을중심으로 [A study on the social network influencer for long-tail marketing: Focusing on the Korean film industry]" 774-787, 2014

      23 정예림, "게시물의 상호작용성 및 유형, 소비자의 브랜드 구매정도가 페이스북 브랜드 팬 페이지 내 소비자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24 (24): 191-219, 2013

      24 Harvir S. Bansal, "Word-of-Mouth Processes within a Services Purchase Decision Context" SAGE Publications 3 (3): 166-177, 2016

      25 Grant McCracken, "Who is the Celebrity Endorser? Cultural Foundations of the Endorsement Process" Oxford University Press (OUP) 16 (16): 310-, 1989

      26 Wang, C., "Understanding consumers attitude toward advertising" 158 : 2017

      27 Ohanian, R., "The impact of celebrity spokespersons'perceived image on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31 (31): 46-54, 1991

      28 Michael J. Baker, "The Impact of Physically Attractive Models on Advertising Evaluations" JSTOR 14 (14): 538-, 1977

      29 Ronald E. Goldsmith, "The Impact of Corporate Credibility and Celebrity Credibility on Consumer Reaction to Advertisements and Brands" Informa UK Limited 29 (29): 43-54, 2000

      30 Deborah J. Macinnis, "The Differential Role of Characteristics of Music on High- and Low- Involvement Consumers' Processing of Ads" Oxford University Press (OUP) 18 (18): 161-, 1991

      31 Nancy L. Collins, "Self-disclosure and liking: A meta-analytic review."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116 (116): 457-475, 1994

      32 곽현수, "SNS의 관계특성과 콘텐츠요인이 신뢰를 매개로 정보확산에 미치는 영향 : 페이스북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제학회 29 (29): 1489-1518, 2016

      33 Kim, W. B., "SNS 패션 인플루언서의 진정성이 소비자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플루언서 팬십(fanship)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SNS fashion influencer authenticity on follower behavior intention -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fanship -]" 233-240, 2017

      34 허경석, "SNS 정보가 호텔 고객의 브랜드 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중처리과정 이론(Dual Process Theory)의 적용 -" 대한관광경영학회 27 (27): 619-635, 2012

      35 Shepard, R. N., "Perceptual organiza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79-341, 1981

      36 Fred D.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JSTOR 13 (13): 319-, 1989

      37 Katz, E., "Mass communications research and the study of popular culture : An editorial note on a possible future for this journal" 2 : 1-6, 1959

      38 Hayes, A. F.,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The Guilford Press 2013

      39 Stephanie Watts Sussman, "Informational Influence in Organizations: An Integrated Approach to Knowledge Adoption" Institute for Operations Research and the Management Sciences (INFORMS) 14 (14): 47-65, 2003

      40 Yan Shan, "How credible are online product reviews? The effects of self-generated and system-generated cues on source credibility evaluation" Elsevier BV 55 : 633-641, 2016

      41 McGuire, W. J.,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Vol. 2" Random House 233-346, 1985

      42 Lee, K. S., "Effects of hashtag types in the image-based SNS on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ing" Hongik University 2016

      43 Atkin, C., "Effectiveness of celebrity endorsers" 23 (23): 57-61, 1983

      44 Soyoung Kim, "Dimensional hierarchy of retail website quality" Elsevier BV 41 (41): 619-633, 2004

      45 James E. Bailey, "Development of a Tool for Measuring and Analyzing Computer User Satisfaction" Institute for Operations Research and the Management Sciences (INFORMS) 29 (29): 530-545, 1983

      46 김요한, "DMB 광고 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9 (9): 46-79, 2007

      47 Roobina Ohanian,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Celebrity Endorsers' Perceived Expertise, Trustworthiness, and Attractiveness" Informa UK Limited 19 (19): 39-52, 1990

      48 HARRIET WILKINS, "Computer talk: Long-distance conversations by computer" SAGE Publications 8 (8): 56-78, 2016

      49 Ko, H. C., "A study on emotional communication applying media image (Asemiotic approach and analysis of image transmission in art works represention augmented reality)" (22) : 3-15, 2006

      50 Lee, G. Y., "A study of advertisement effects in fashion advertising of image-based SNS: Focused on Instagram" 132-133, 2015

      51 Wishpond, "3 Key hashtag strategies: How to market your business & content"

      52 이은미, "1인 미디어를 이용한 제품메시지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지각된 전문성과 지각된 상업성의 영향 분석을 토대로" 한국광고PR실학회 11 (11): 187-211,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1977-05-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7 0.844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