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효과성에 관한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 A Meta-analysis of Single-case Research Designs on the Alternative and Augment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Students with Dis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56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를 적용한 단일대상연구들의 중재 효과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보완⦁대체의사소통’과 관련된 논문들을 분석·고찰해봄으로서 최근 10년간 실시된 보완⦁대체의사소통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추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를 활용한 단일대상 중재연구의 일반적인 특징은 어떠한가? 둘째,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를 활용한 단일대상 중재 연구의 효과크기는 종속변인별로 어떻게 차이가 나타나는가?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18년 10월까지 최근 10년간 국내 학술지에 발표한 한국연구재단의 등재지(후보포함)에 출판된 24편의 단일대상 연구 문헌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Get Data Graph Digitizer 2.26 웹 프로그램을 활용 하여 기초선과 중재구간의 종속변인 점수를 대조하여 분석하였으며, Tau-U(Parker, Vannest, Davis, & Sauber, 2011) 값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일반적 특성의 경우 24편의 논문 중 연구들의 약 67%가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으며 지적장애와 지체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가장 많이 수행되고 있었다. 또한 연구 환경은 특수학교가 가장 많았고 연구설계는 대부분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였다. 둘째, 종속변인별로 분석한 결과 전 영역에 걸쳐 효과크기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재 대부분은 의사소통기능의 향상을 보고 있었으나 행동 수정의 기능 뿐 아니라 수업 참여나 교과 활동에서 적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의 경우 특수교육 영역 전반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가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지닌 장애학생들의 개별화된 학습지원의 형태로 접근될 수 있는 노력이 이뤄져야 할 것임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를 적용한 단일대상연구들의 중재 효과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보완⦁대체의사소통’과 관련된 논문들...

      본 연구는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를 적용한 단일대상연구들의 중재 효과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보완⦁대체의사소통’과 관련된 논문들을 분석·고찰해봄으로서 최근 10년간 실시된 보완⦁대체의사소통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추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를 활용한 단일대상 중재연구의 일반적인 특징은 어떠한가? 둘째,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를 활용한 단일대상 중재 연구의 효과크기는 종속변인별로 어떻게 차이가 나타나는가?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18년 10월까지 최근 10년간 국내 학술지에 발표한 한국연구재단의 등재지(후보포함)에 출판된 24편의 단일대상 연구 문헌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Get Data Graph Digitizer 2.26 웹 프로그램을 활용 하여 기초선과 중재구간의 종속변인 점수를 대조하여 분석하였으며, Tau-U(Parker, Vannest, Davis, & Sauber, 2011) 값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일반적 특성의 경우 24편의 논문 중 연구들의 약 67%가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으며 지적장애와 지체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가장 많이 수행되고 있었다. 또한 연구 환경은 특수학교가 가장 많았고 연구설계는 대부분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였다. 둘째, 종속변인별로 분석한 결과 전 영역에 걸쳐 효과크기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재 대부분은 의사소통기능의 향상을 보고 있었으나 행동 수정의 기능 뿐 아니라 수업 참여나 교과 활동에서 적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의 경우 특수교육 영역 전반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가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지닌 장애학생들의 개별화된 학습지원의 형태로 접근될 수 있는 노력이 이뤄져야 할 것임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the effects of the alternative and augment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ingle-case research studies implementing alternative and augment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does the effect size vary by the type of dependent variables? The study analyzed 24 articles with single-case research designs published in the Korean Citation Index list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the Get Data Graph Digitizer 2.26 web program, and the Tau-U (Parker, Vannest, Davis, & Sauber, 2011) value was measured by comparing the scores between the baseline and intervention phases.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the effects of the alternative and augment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the effects of the alternative and augment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ingle-case research studies implementing alternative and augment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does the effect size vary by the type of dependent variables? The study analyzed 24 articles with single-case research designs published in the Korean Citation Index list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the Get Data Graph Digitizer 2.26 web program, and the Tau-U (Parker, Vannest, Davis, & Sauber, 2011) value was measured by comparing the scores between the baseline and intervention phases. These result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미경, "학습장애 학생들의 문장제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전략교수 효과: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15 (15): 203-230, 2018

      2 박은혜, "특수교육에서의 AAC" 2 (2): 131-138, 2014

      3 최희승, "질적 지표에 근거한 보완ㆍ대체의사소통 관련 단일대상연구 문헌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5 (55): 329-350, 2012

      4 김경양, "지체 및 중복장애 분야에서의자기결정 관련 연구동향 고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45-68, 2014

      5 송미정, "지적장애 유·초등학생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단일대상연구 동향 및 질적 지표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 (20): 91-115, 2018

      6 정대영, "증거기반실제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들의 인식"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3 (33): 173-191, 2017

      7 배병덕,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의사소통 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6 (6): 41-77, 2018

      8 신수정, "주제중심수업에서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0 (60): 137-162, 2017

      9 배병덕, "장애학생을 위한 앱 기반 스마트러닝 효과성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분석: 단일대상연구설계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아동학회 20 (20): 83-115, 2018

      10 조두년, "장애학생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45 : 301-321, 2005

      1 신미경, "학습장애 학생들의 문장제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전략교수 효과: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15 (15): 203-230, 2018

      2 박은혜, "특수교육에서의 AAC" 2 (2): 131-138, 2014

      3 최희승, "질적 지표에 근거한 보완ㆍ대체의사소통 관련 단일대상연구 문헌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5 (55): 329-350, 2012

      4 김경양, "지체 및 중복장애 분야에서의자기결정 관련 연구동향 고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45-68, 2014

      5 송미정, "지적장애 유·초등학생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단일대상연구 동향 및 질적 지표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 (20): 91-115, 2018

      6 정대영, "증거기반실제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들의 인식"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3 (33): 173-191, 2017

      7 배병덕,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의사소통 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6 (6): 41-77, 2018

      8 신수정, "주제중심수업에서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및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0 (60): 137-162, 2017

      9 배병덕, "장애학생을 위한 앱 기반 스마트러닝 효과성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분석: 단일대상연구설계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아동학회 20 (20): 83-115, 2018

      10 조두년, "장애학생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45 : 301-321, 2005

      11 박은영, "장애학생을 위한 개별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한국행동분석학회 5 (5): 27-48, 2018

      12 신미경, "장애학생들의 음운인식 및 단어재인능력 향상을 위한 읽기중재: 단일대상 메타분석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8 (18): 45-75, 2016

      13 송재옥, "장애인을 위한 하이 - 테크놀로지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 실험 연구 동향 분석"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 (20): 203-228, 2016

      14 최하영, "자폐성 장애아동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 적용 연구 고찰: 국내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자폐학회 10 (10): 65-84, 2010

      15 남경욱, "인지적 장애를 지닌 아동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에 대한 메타분석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193-212, 2008

      16 김주연, "의사소통장애 성인을 위한 국내외 보완대체의사소통 연구 동향"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7 (17): 199-227, 2013

      17 백경란, "상황중심 보완대체 의사소통 앱 사용이 중도․중복장애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9 (59): 155-182, 2016

      18 조서영, "사물과 사진을 활용한 스크립트 활동이 중도 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2 (2): 23-47, 2014

      19 김종연, "비의무적 말차례 주고받기 기술 중재가 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229-251, 2014

      20 정명철, "비구어 자폐성장애 학생의 의사소통과 상동행동에 대한 PDA 활용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의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8 (28): 447-471, 2012

      21 김시원, "보완대체 의사소통 사용을 위한 행동관찰 중재가 중도(重度)장애학생의 자기결정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167-191, 2015

      22 박은혜, "보완 대체 의사소통 분야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1985년부터 1991년까지" 1 : 177-193, 1996

      23 이소현, "단일대상연구" 학지사 2000

      24 신미경, "단일대상 메타분석 연구를 위한 그래프 추출 컴퓨터 프로그램의 신뢰도, 타당도, 사용성 평가" 특수교육연구소 17 (17): 185-207, 2018

      25 이명주, "그림상징 반응카드의 사용이 장애아동의 수업참여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75-203, 2011

      26 김은경, "국내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가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3 (13): 25-51, 2014

      27 강우정, "국내 보완·대체의사소통 연구 동향 분석: 1994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자폐학회 11 (11): 131-161, 2011

      28 Horner, R. H., "The use of single-subject research to identify evidence-based practice in special education" 71 (71): 165-179, 2005

      29 Millar, D. C., "The impact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the speech production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research review" 49 : 248-264, 2006

      30 Maggin, D. M., "Evaluating single-case research data for systematic review : A commentary for the special issue" 52 : 237-241, 2014

      31 Parker, R. I., "Effect size in single-case research : A review of nine nonoverlap techniques" 35 (35): 303-322, 2011

      32 Parker, R. I., "Combining non-overlap and trend for single case research : Tau-U" 42 (42): 284-299, 2011

      33 한윤선, "AAC 중재를 사용한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로우테크AAC와 하이테크AAC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51 (51): 45-72,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3 0 1.289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