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태수, "휴전의 상징, 비무장지대를 배경으로 한 한국영화의 영화적 특징에 관한 연구 -공간의 의미와 사건 재현의 방식, 시선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영화학회 (57) : 361-386, 2013
2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소도 2004
3 정영권, "한국 반공영화의 제도화 연구 : 1949∼1968 전쟁영화와의 접합과정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1
4 이승민,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공간성 연구 – 2000년대 후반 이후의 새로운 경향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15
5 오세현, "한국 ‘공간-다큐멘터리’의 출현과 그 사례로서 <서울역>(2013)에 대한 인문 지리학적 고찰" 235-236, 2018
6 김조은, "프랑스 현대 철학의 사건 개념-베르그손, 들뢰즈, 리오타르의 경우-" 철학사상연구소 (70) : 63-94, 2018
7 남승석, "지옥화(1958)에서 나타난 영화적 지도그리기 : 지형학에서 위상학으로의 변위가 가지는 공간적 함축" 6 (6): 3-70, 2018
8 변인식, "정전 50년: 불타는 한반도의 탱크와 이데올로기-한국 전쟁영화론" 한국영화평론가협회 (15) : 2003
9 한상윤, "이용민 감독의 공포영화 연구" 한국극예술학회 (52) : 123-154, 2016
10 LEE SEUNGMIN, "영화와 공간 : 동시대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미학적 실천" 갈무리 2017
1 정태수, "휴전의 상징, 비무장지대를 배경으로 한 한국영화의 영화적 특징에 관한 연구 -공간의 의미와 사건 재현의 방식, 시선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영화학회 (57) : 361-386, 2013
2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소도 2004
3 정영권, "한국 반공영화의 제도화 연구 : 1949∼1968 전쟁영화와의 접합과정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1
4 이승민,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공간성 연구 – 2000년대 후반 이후의 새로운 경향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15
5 오세현, "한국 ‘공간-다큐멘터리’의 출현과 그 사례로서 <서울역>(2013)에 대한 인문 지리학적 고찰" 235-236, 2018
6 김조은, "프랑스 현대 철학의 사건 개념-베르그손, 들뢰즈, 리오타르의 경우-" 철학사상연구소 (70) : 63-94, 2018
7 남승석, "지옥화(1958)에서 나타난 영화적 지도그리기 : 지형학에서 위상학으로의 변위가 가지는 공간적 함축" 6 (6): 3-70, 2018
8 변인식, "정전 50년: 불타는 한반도의 탱크와 이데올로기-한국 전쟁영화론" 한국영화평론가협회 (15) : 2003
9 한상윤, "이용민 감독의 공포영화 연구" 한국극예술학회 (52) : 123-154, 2016
10 LEE SEUNGMIN, "영화와 공간 : 동시대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미학적 실천" 갈무리 2017
11 변인식, "영화미의 반란" 태극출판사 1972
12 앙드레 바쟁, "영화란 무엇인가" 사문난적 2013
13 황인성,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의 공간재현 방식과 그 상징적 의미에 대한 일 고찰"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 (20): 81-131, 2012
14 정광숙, "소설과 영화 『영국인 환자』" 1 (1): 137-161, 2000
15 남승석, "분단의 영화적 형상화와 무교적 메타포-반 퍼슨의 문화철학을 중심으로-" 한국영화학회 (58) : 111-152, 2013
16 문성훈, "벤야민, 지젝, 아감벤의 폭력 개념과 세계화시대의 인정 투쟁" 한국하이데거학회 (43) : 107-134, 2016
17 이다혜, "발터 벤야민의 산보자flâneur 개념 분석" 1 : 105-128, 2009
18 김종원, "반공영화 30년의 현주소" 북한연구소 248-256, 1975
19 박종성, "마이클 온다체의 『잉글리시 페이션트』에 나타난 탈영토화와 노마드적 상상력" 21세기영어영문학회 29 (29): 91-112, 2016
20 남승석, "대안적인 다큐멘터리 스타일: 장르 컨벤션의 활용 - 에롤 모리스(Errol Morris)의 <가늘고 푸른 선>에서의 필름느와르 장르 컨벤션" 한국영화학회 (50) : 237-279, 2011
21 이도훈, "공간 재생산과 정서상실: 한국 독립다큐멘터리가 동시대의 공간 재생산을 기록하는 방식" 영상예술학회 (24) : 43-75, 2014
22 유승진, "‘반공’의 감각과 불온의 정치학 - 박정희 체제 하의 ‘반공영화’를 읽는 방법론에 대한 고찰" 대중서사학회 21 (21): 451-487, 2015
23 앙리 베르그송, "[단행본]물질과 기억" 아카넷 2005
24 Benjamin, Walter, "The Storyteller Essays" New York Review Books 2019
25 Castro, Teresa, "The City and the Moving Image: Urban Projections" Palgrave Macmillan 143-155, 2010
26 Brunsdon, Charlotte, "The City and the Moving Image: Urban Projections" Palgrave Macmillan 91-103, 2010
27 Benjamin, Walter, "The Arcades Project (1927–940)" Harvard University Press 1999
28 Bruno, Giuliana, "Site-seeing, Architecture and the Moving Image" 19 (19): 8-24, 1997
29 Bergson, Henri, "Matière et Mémoire, Quadrige" Puf 2004
30 Castro, Teresa, "Cinema’s Mapping Impulse Questioning Visual Culture" 46 (46): 9-15, 2009
31 Nuvolati, Giampaolo, "Between puer and flâeur [Special Issue. The child’s experience of the city]" 12 (12): 149-163, 2017
32 Benjamin, Walter, "Berlin Childhood around 1900"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33 Bruno, Guiliana, "Atlas of Emotion: Journeys in Art, Architecture and Film" Verso 2002
34 장우진, "<비무장지대>(1965)의 장르 전환과 정책 -1965~66년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영화학회 (40) : 181-210, 2009
35 김은영, "<비무장지대>(1965) 연구 -냉전의 이미지와 반전(反戰)수사학-" 한국영화학회 (56) : 73-102, 2013
36 남승석, "2010년대 한국장르영화에 나타난 감정의 영화적 지도그리기: <건축학개론>(2012)의 집에 대한 (빈)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영화학회 (82) : 85-139, 2019
37 송재복, "2000년대 한국분단영화에 나타난 접경 공간 재현 연구 : <공동경비구역 JSA>와 <만남의 광장>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