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무장지대>(1965)에서 나타난 빈 공간의 걷기를 통한 감정의 영화적 지도그리기 = Emotional Cinematic Cartography Throughout Walking of Empty Spaces in The Demilitarized Zone (1965)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17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study regards the limited closed space shown as a kind of abandoned and ruined city in the semi-documentary the Demilitarized Zone (1965) directed by Park Sang-ho and considers this film a sort of cinematic Cartography through the walking of a child in a kind of empty space. The DMZ(the Demilitarized Zone) is an ironic space produced by the war and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for two years from the Korean War in 1950 to the ceasefire in 1953, and more than 70 years later. The ironic space is firstly a green space where animals and plants are preserved, and secondly, an area of high-density danger and pollution from abandoned military facilities and waste, and thirdly, kind of panopticon which is filled with staring tensions of the South and the North. It is an ironic 'empty space' as an unattended zone. JSA(the joint security zone) serves as a kind of theater that reveals the emotional ambivalence of people related to the DMZ throughout a theatrical performance of the South and North representatives. But this theater (JSA) almost produces forlorn hope such as vain fantasy that every military conflict and Problems of any sort are easily worked out through talks. This study attempts to study image culture as the third stage for the DMZ like the following. In the first stage, the genre customs and aesthetics of visual arts, semi-documentary, and documentary dramas are considered. And in the second stage, I will conceptualize 'empty space,' 'walking,' and 'cinematic cartography.' In the third stage, I analyze the Demilitarized Zone with 'walking' of 'empty space', explain finally how the film accomplishes a visual aesthetic achievement by 'cinematic cartography'. The Demilitarized Zone is an anti-war film that attempts to represent the archetype of collective memory and cultural identity concerning the DMZ and achieve aesthetics of visual arts with a pioneer position in the spatiality of Korean documentary films.
      번역하기

      This study regards the limited closed space shown as a kind of abandoned and ruined city in the semi-documentary the Demilitarized Zone (1965) directed by Park Sang-ho and considers this film a sort of cinematic Cartography through the walking of a ch...

      This study regards the limited closed space shown as a kind of abandoned and ruined city in the semi-documentary the Demilitarized Zone (1965) directed by Park Sang-ho and considers this film a sort of cinematic Cartography through the walking of a child in a kind of empty space. The DMZ(the Demilitarized Zone) is an ironic space produced by the war and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for two years from the Korean War in 1950 to the ceasefire in 1953, and more than 70 years later. The ironic space is firstly a green space where animals and plants are preserved, and secondly, an area of high-density danger and pollution from abandoned military facilities and waste, and thirdly, kind of panopticon which is filled with staring tensions of the South and the North. It is an ironic 'empty space' as an unattended zone. JSA(the joint security zone) serves as a kind of theater that reveals the emotional ambivalence of people related to the DMZ throughout a theatrical performance of the South and North representatives. But this theater (JSA) almost produces forlorn hope such as vain fantasy that every military conflict and Problems of any sort are easily worked out through talks. This study attempts to study image culture as the third stage for the DMZ like the following. In the first stage, the genre customs and aesthetics of visual arts, semi-documentary, and documentary dramas are considered. And in the second stage, I will conceptualize 'empty space,' 'walking,' and 'cinematic cartography.' In the third stage, I analyze the Demilitarized Zone with 'walking' of 'empty space', explain finally how the film accomplishes a visual aesthetic achievement by 'cinematic cartography'. The Demilitarized Zone is an anti-war film that attempts to represent the archetype of collective memory and cultural identity concerning the DMZ and achieve aesthetics of visual arts with a pioneer position in the spatiality of Korean documentary fil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는 <비무장지대>(박상호 감독, 1965)에서 나타난 비무장지대에서 어린 아이의 걷기를 통한 감정의 영화적 지도그리기의 사회학적 함의를 고찰하고 영 화의 미학적 성취에 대한 위상을 재고한다. 세미다큐멘터리 형식을 가진 <비무장 지대>는 다음과 같은 것을 재현하고 드러낸다. 우선 비무장지대는 1950년에 한국 전쟁이 발발하고 전투가 지리멸렬해지고 결국 1953년에 휴전하기까지 3년여 동 안 그리고 그 이후 한반도의 분단의 결과를 재현하는 아이러니의 장소이다. 다음 으로 공동경비구역은 비무장지대와 관련된 시대의 감정 구조를 남군과 북군의 수행적 행위로 보여주고 드러내는 일종의 극장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 극장 에서는 진실은 철저히 은폐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분단의 문제가 회담을 통해 해결될 것만 같은 판타지를 지속적으로 생산한다. 본 연구는 비무장지대에 대한 다음과 같은 3차 단계로 이루어진 영상문화연구를 시도한다. 제1차 단계에서는 영상문화와 도시이론의 ‘빈 공간 ’과 ‘걷기’ 개념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본 다. 제2차 단계에서는 역사와 기억 및 감정 그리고 ‘영화적 지도그리기’에 대해 선행연구들을 살펴본다. 제3차 단계에서는 빈 공간의 걷기를 통한 영화적 지도그 리기라는 수행적 발화를 통해 <비무장지대>의 영상미학적 성취를 고찰한다. 요 약하면, <비무장지대>는 국내 분단 상황에 대한 원형적 재현을 시도한 작품일 뿐 만 아니라 공간 중심의 다큐멘터리로서 선구적인 영상예술 미학의 성취를 이룩 한 작품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비무장지대>(박상호 감독, 1965)에서 나타난 비무장지대에서 어린 아이의 걷기를 통한 감정의 영화적 지도그리기의 사회학적 함의를 고찰하고 영 화의 미학적 성취에 대한 위...

      본 연구는 <비무장지대>(박상호 감독, 1965)에서 나타난 비무장지대에서 어린 아이의 걷기를 통한 감정의 영화적 지도그리기의 사회학적 함의를 고찰하고 영 화의 미학적 성취에 대한 위상을 재고한다. 세미다큐멘터리 형식을 가진 <비무장 지대>는 다음과 같은 것을 재현하고 드러낸다. 우선 비무장지대는 1950년에 한국 전쟁이 발발하고 전투가 지리멸렬해지고 결국 1953년에 휴전하기까지 3년여 동 안 그리고 그 이후 한반도의 분단의 결과를 재현하는 아이러니의 장소이다. 다음 으로 공동경비구역은 비무장지대와 관련된 시대의 감정 구조를 남군과 북군의 수행적 행위로 보여주고 드러내는 일종의 극장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 극장 에서는 진실은 철저히 은폐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분단의 문제가 회담을 통해 해결될 것만 같은 판타지를 지속적으로 생산한다. 본 연구는 비무장지대에 대한 다음과 같은 3차 단계로 이루어진 영상문화연구를 시도한다. 제1차 단계에서는 영상문화와 도시이론의 ‘빈 공간 ’과 ‘걷기’ 개념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본 다. 제2차 단계에서는 역사와 기억 및 감정 그리고 ‘영화적 지도그리기’에 대해 선행연구들을 살펴본다. 제3차 단계에서는 빈 공간의 걷기를 통한 영화적 지도그 리기라는 수행적 발화를 통해 <비무장지대>의 영상미학적 성취를 고찰한다. 요 약하면, <비무장지대>는 국내 분단 상황에 대한 원형적 재현을 시도한 작품일 뿐 만 아니라 공간 중심의 다큐멘터리로서 선구적인 영상예술 미학의 성취를 이룩 한 작품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태수, "휴전의 상징, 비무장지대를 배경으로 한 한국영화의 영화적 특징에 관한 연구 -공간의 의미와 사건 재현의 방식, 시선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영화학회 (57) : 361-386, 2013

      2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소도 2004

      3 정영권, "한국 반공영화의 제도화 연구 : 1949∼1968 전쟁영화와의 접합과정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1

      4 이승민,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공간성 연구 – 2000년대 후반 이후의 새로운 경향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15

      5 오세현, "한국 ‘공간-다큐멘터리’의 출현과 그 사례로서 <서울역>(2013)에 대한 인문 지리학적 고찰" 235-236, 2018

      6 김조은, "프랑스 현대 철학의 사건 개념-베르그손, 들뢰즈, 리오타르의 경우-" 철학사상연구소 (70) : 63-94, 2018

      7 남승석, "지옥화(1958)에서 나타난 영화적 지도그리기 : 지형학에서 위상학으로의 변위가 가지는 공간적 함축" 6 (6): 3-70, 2018

      8 변인식, "정전 50년: 불타는 한반도의 탱크와 이데올로기-한국 전쟁영화론" 한국영화평론가협회 (15) : 2003

      9 한상윤, "이용민 감독의 공포영화 연구" 한국극예술학회 (52) : 123-154, 2016

      10 LEE SEUNGMIN, "영화와 공간 : 동시대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미학적 실천" 갈무리 2017

      1 정태수, "휴전의 상징, 비무장지대를 배경으로 한 한국영화의 영화적 특징에 관한 연구 -공간의 의미와 사건 재현의 방식, 시선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영화학회 (57) : 361-386, 2013

      2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소도 2004

      3 정영권, "한국 반공영화의 제도화 연구 : 1949∼1968 전쟁영화와의 접합과정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1

      4 이승민,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공간성 연구 – 2000년대 후반 이후의 새로운 경향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15

      5 오세현, "한국 ‘공간-다큐멘터리’의 출현과 그 사례로서 <서울역>(2013)에 대한 인문 지리학적 고찰" 235-236, 2018

      6 김조은, "프랑스 현대 철학의 사건 개념-베르그손, 들뢰즈, 리오타르의 경우-" 철학사상연구소 (70) : 63-94, 2018

      7 남승석, "지옥화(1958)에서 나타난 영화적 지도그리기 : 지형학에서 위상학으로의 변위가 가지는 공간적 함축" 6 (6): 3-70, 2018

      8 변인식, "정전 50년: 불타는 한반도의 탱크와 이데올로기-한국 전쟁영화론" 한국영화평론가협회 (15) : 2003

      9 한상윤, "이용민 감독의 공포영화 연구" 한국극예술학회 (52) : 123-154, 2016

      10 LEE SEUNGMIN, "영화와 공간 : 동시대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미학적 실천" 갈무리 2017

      11 변인식, "영화미의 반란" 태극출판사 1972

      12 앙드레 바쟁, "영화란 무엇인가" 사문난적 2013

      13 황인성,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의 공간재현 방식과 그 상징적 의미에 대한 일 고찰"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 (20): 81-131, 2012

      14 정광숙, "소설과 영화 『영국인 환자』" 1 (1): 137-161, 2000

      15 남승석, "분단의 영화적 형상화와 무교적 메타포-반 퍼슨의 문화철학을 중심으로-" 한국영화학회 (58) : 111-152, 2013

      16 문성훈, "벤야민, 지젝, 아감벤의 폭력 개념과 세계화시대의 인정 투쟁" 한국하이데거학회 (43) : 107-134, 2016

      17 이다혜, "발터 벤야민의 산보자flâneur 개념 분석" 1 : 105-128, 2009

      18 김종원, "반공영화 30년의 현주소" 북한연구소 248-256, 1975

      19 박종성, "마이클 온다체의 『잉글리시 페이션트』에 나타난 탈영토화와 노마드적 상상력" 21세기영어영문학회 29 (29): 91-112, 2016

      20 남승석, "대안적인 다큐멘터리 스타일: 장르 컨벤션의 활용 - 에롤 모리스(Errol Morris)의 <가늘고 푸른 선>에서의 필름느와르 장르 컨벤션" 한국영화학회 (50) : 237-279, 2011

      21 이도훈, "공간 재생산과 정서상실: 한국 독립다큐멘터리가 동시대의 공간 재생산을 기록하는 방식" 영상예술학회 (24) : 43-75, 2014

      22 유승진, "‘반공’의 감각과 불온의 정치학 - 박정희 체제 하의 ‘반공영화’를 읽는 방법론에 대한 고찰" 대중서사학회 21 (21): 451-487, 2015

      23 앙리 베르그송, "[단행본]물질과 기억" 아카넷 2005

      24 Benjamin, Walter, "The Storyteller Essays" New York Review Books 2019

      25 Castro, Teresa, "The City and the Moving Image: Urban Projections" Palgrave Macmillan 143-155, 2010

      26 Brunsdon, Charlotte, "The City and the Moving Image: Urban Projections" Palgrave Macmillan 91-103, 2010

      27 Benjamin, Walter, "The Arcades Project (1927–940)" Harvard University Press 1999

      28 Bruno, Giuliana, "Site-seeing, Architecture and the Moving Image" 19 (19): 8-24, 1997

      29 Bergson, Henri, "Matière et Mémoire, Quadrige" Puf 2004

      30 Castro, Teresa, "Cinema’s Mapping Impulse Questioning Visual Culture" 46 (46): 9-15, 2009

      31 Nuvolati, Giampaolo, "Between puer and flâeur [Special Issue. The child’s experience of the city]" 12 (12): 149-163, 2017

      32 Benjamin, Walter, "Berlin Childhood around 1900"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33 Bruno, Guiliana, "Atlas of Emotion: Journeys in Art, Architecture and Film" Verso 2002

      34 장우진, "<비무장지대>(1965)의 장르 전환과 정책 -1965~66년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영화학회 (40) : 181-210, 2009

      35 김은영, "<비무장지대>(1965) 연구 -냉전의 이미지와 반전(反戰)수사학-" 한국영화학회 (56) : 73-102, 2013

      36 남승석, "2010년대 한국장르영화에 나타난 감정의 영화적 지도그리기: <건축학개론>(2012)의 집에 대한 (빈)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영화학회 (82) : 85-139, 2019

      37 송재복, "2000년대 한국분단영화에 나타난 접경 공간 재현 연구 : <공동경비구역 JSA>와 <만남의 광장>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9-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Film Studies Association Of Korea (Fisak) -> Korean Cinema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4-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영화연구
      외국어명 : Film Studies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5 1.055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