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과서를 통해 본 가족담론의 변화: 1-2학년 사회과 교과서 및 통합교과서를 중심으로 = Changes in Family Discussion through Elementary School Textbooks: Focusing on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1st and 2nd Graders and Integrated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751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교수요목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기까지 교육과정의 흐름을 살피고, 초등학교 1-2학년 사회과 교과서 및 통합교과서의 ‘가족단원’ 삽화를 파악한 후, 가족 형태와 가족돌봄노동과 관련한 담론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첫째, 가족 형태에 있어서 ‘표준가족’ 담론의 변화가 확인된다. 이는 정부가 지향하는 가족계획과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라 그 양상이 나타났다. 5인 핵가족/불완전한 6인 확대가족 → 4인 핵가족/6인 확대가족 → 4인 핵가족/6인 확대가족/3인 핵가족 등의 형태로 변화되었다.
      둘째, 가족 형태에 있어서 ‘다양한 가족’ 담론이 수용되고 확장되었다. 2009 개정 교과서에서는 가족 현실과 가족담론을 수용하면서 ‘표준’, ‘정상’에서 벗어난 현실의 다양한 가족 형태를 수록하였다. 2015 개정 교과서 ‘가족단원’ 삽화에서는 ‘다양한 가족’에 대한 확장된 담론의 내용이 삽화로 포함되었다.
      셋째, 남녀성역할에 따른 기능주의적 가족담론에서 양성평등 담론을 수용한 삽화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생계 부양’, ‘가사노동’, ‘양육’을 축으로 조부, 조모, 부, 모, 언니/누나, 형/오빠 등 가족 구성원의 가족돌봄노동에서 이러한 담론 변화가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고는 교수요목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기까지 교육과정의 흐름을 살피고, 초등학교 1-2학년 사회과 교과서 및 통합교과서의 ‘가족단원’ 삽화를 파악한 후, 가족 형태와 가족돌봄노동과...

      본고는 교수요목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기까지 교육과정의 흐름을 살피고, 초등학교 1-2학년 사회과 교과서 및 통합교과서의 ‘가족단원’ 삽화를 파악한 후, 가족 형태와 가족돌봄노동과 관련한 담론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첫째, 가족 형태에 있어서 ‘표준가족’ 담론의 변화가 확인된다. 이는 정부가 지향하는 가족계획과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라 그 양상이 나타났다. 5인 핵가족/불완전한 6인 확대가족 → 4인 핵가족/6인 확대가족 → 4인 핵가족/6인 확대가족/3인 핵가족 등의 형태로 변화되었다.
      둘째, 가족 형태에 있어서 ‘다양한 가족’ 담론이 수용되고 확장되었다. 2009 개정 교과서에서는 가족 현실과 가족담론을 수용하면서 ‘표준’, ‘정상’에서 벗어난 현실의 다양한 가족 형태를 수록하였다. 2015 개정 교과서 ‘가족단원’ 삽화에서는 ‘다양한 가족’에 대한 확장된 담론의 내용이 삽화로 포함되었다.
      셋째, 남녀성역할에 따른 기능주의적 가족담론에서 양성평등 담론을 수용한 삽화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생계 부양’, ‘가사노동’, ‘양육’을 축으로 조부, 조모, 부, 모, 언니/누나, 형/오빠 등 가족 구성원의 가족돌봄노동에서 이러한 담론 변화가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reviewed the contents of the family-related curriculum from the 1946 U.S. Military Government syllabus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y examining illustrations of family-related units for first and secon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e confirmed changes in the expressions of family types and family care labor shown in textbook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re was a change in the ‘standard family’ discourse in terms of family type. This was in response to the family planning policy promoted by the government and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The family shown in textbooks changed from a nuclear family of 5/incomplete extended family of 6 to a nuclear family of 4/extended family of 6, and a nuclear family of 4/extended family of 6/nuclear family of 3.
      Second, in recent textbooks, the discourse of ‘diverse families’ has been accepted and expanded in terms of family types. Starting from the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various forms of real families that deviate from the ‘standard’ or ‘normal’ were expressed in illustrations, reflecting actual reality and changed family discourse.
      Third, with regard to gender roles, it was confirmed that the ‘early functionalist family discourse’ has recently changed into a ‘gender equality discourse’. This change can be found in the expression of illustrations related to the family care work of family members such as grandfather, grandmother, father, mother, older sister, older brother in ‘supporting a living’, ‘housework’, and ‘custodial care’.
      번역하기

      We reviewed the contents of the family-related curriculum from the 1946 U.S. Military Government syllabus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y examining illustrations of family-related units for first and secon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e confirme...

      We reviewed the contents of the family-related curriculum from the 1946 U.S. Military Government syllabus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y examining illustrations of family-related units for first and secon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e confirmed changes in the expressions of family types and family care labor shown in textbook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re was a change in the ‘standard family’ discourse in terms of family type. This was in response to the family planning policy promoted by the government and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The family shown in textbooks changed from a nuclear family of 5/incomplete extended family of 6 to a nuclear family of 4/extended family of 6, and a nuclear family of 4/extended family of 6/nuclear family of 3.
      Second, in recent textbooks, the discourse of ‘diverse families’ has been accepted and expanded in terms of family types. Starting from the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various forms of real families that deviate from the ‘standard’ or ‘normal’ were expressed in illustrations, reflecting actual reality and changed family discourse.
      Third, with regard to gender roles, it was confirmed that the ‘early functionalist family discourse’ has recently changed into a ‘gender equality discourse’. This change can be found in the expression of illustrations related to the family care work of family members such as grandfather, grandmother, father, mother, older sister, older brother in ‘supporting a living’, ‘housework’, and ‘custodial car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