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본 연구는 캐시 송의 사진 신부(Picture Bride, 1983), 명미 김의 깃발 아래에서(Under Flag, 1991), 수지 곽 김의 분단국가의 비망록(Notes from the Divided Country, 20...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94973
2008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본 연구는 캐시 송의 사진 신부(Picture Bride, 1983), 명미 김의 깃발 아래에서(Under Flag, 1991), 수지 곽 김의 분단국가의 비망록(Notes from the Divided Country, 20...
1)본 연구는 캐시 송의 사진 신부(Picture Bride, 1983), 명미 김의 깃발 아래에서(Under Flag, 1991), 수지 곽 김의 분단국가의 비망록(Notes from the Divided Country, 2003)을 통해 한국계 미국 여성시인의 첫 시집으로서 각 저술이 갖는 독특한 위상을 고찰한다. 그들은 아시아계 미국 여성시인으로서 문화, 정체성, 가족, 민족성, 지역, 언어 등에 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고, 그들의 첫 시집은 각각 Yale Series of Younger Poets Award, Gertrude Stein Award, Walt Whitman Award를 받을 만큼 평단의 관심을 끌었다. 이질성, 동화, 갈등, 중간지점 등에 대한 그들의 섬세한 의식 즉 소수민족의 시학이 최근 미국시 영역에 변화를 가져온 것이다.
2)본 연구는 이들이 공유하는 시각뿐 아니라, 보다 흥미로운 그들의 차이에 대해서도 논의하고자 한다. 가족 배경, 이민 시기, 출생 지역, 세대 등의 차이에서 비롯한 언어, 문화, 민족적 경계에 대한 그들의 인식의 차이가 분명 존재하기 때문이다.
캐시 송은 “아시아계 미국문학”이라는 민족중심적인 분류의 한계를 경계하면서도, 일인칭 여성 화자의 목소리를 통해 가족의 역사, 동화(assimilation)의 문제, 자신의 경험, 세대 간의 거리와 유대 등을 이야기한다. 한국에서 출생하여 미국에서 성장한 명미 김은 기아, 폭력, 상실된 자존심, 이주 등의 기억을 서사시적 이야기 형식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그 이야기는 정례의 문법, 구문, 서술의 통일성을 과감하게 파괴하는 방식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난해하고 실험적인 시를 통해 명미 김은 개인의 자전적 역사와 민족의 역사의 명징성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것이다. 수지 곽 김은 식민주의, 한국 전쟁, 이주, 인종차별주의, 사랑과 같은 명확하게 답하기 어려운 문제와 대결한다. 하지만 이러한 주제가 수지 곽 김에 이르러서는 소수민족의 정서를 넘어서 한 개인의 심리에 차원에서 다루어지는 듯하다. 그녀는 분단된 국가, 분열된 자아에게 과연 고국이란 어떤 것일지 묻는다. 요컨대 수지 곽 김은 분열된 자아라는 좀 더 보편적인 주제로써 독자를 주술적 혹은 심리적 영역으로 초대한다.
3)또한 유사한 주제에 대한 상이한 접근 방법, 서술 양식 등에 주목한다.
4)이러한 차이가 갖는 문학적, 문화 정치적 의미를 고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