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천 허씨(陽川許氏)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집안의 『파릉세고(巴陵世稿)』는 1537년 명나라 사신의 조선 사행을 계기로 편집된 시선집에서 비롯되었다. 허흡 형제가 편찬한 『양천허씨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양천 허씨(陽川許氏)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집안의 『파릉세고(巴陵世稿)』는 1537년 명나라 사신의 조선 사행을 계기로 편집된 시선집에서 비롯되었다. 허흡 형제가 편찬한 『양천허씨세...
양천 허씨(陽川許氏)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집안의 『파릉세고(巴陵世稿)』는 1537년 명나라 사신의 조선 사행을 계기로 편집된 시선집에서 비롯되었다. 허흡 형제가 편찬한 『양천허씨세고』의 초본과 함께 조선의 시선집이 명나라 문인에게 직접적인 교류를 통해 전해진 가장 이른 경우이다.
『파릉세고』의 초기 형태는 10세 허공부터 18세 허규에 이르기까지의 남은 시문을 포괄하여 편집한 시선집이었다. 시 22수, 부 1편, 표 3편,책 2편, 전 1편, 차 9편, 소 6편, 서(序) 9편, 논 1편, 설 1편, 기 3편. 서(書) 2편, 제문 1편, 비지문자 2편, 잡저 1편, 그밖에 교자손첩(敎子孫帖), 차운시의 원운이나 『고려사 열전』 내용 등이 실려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실려 있던 시문은 세 가지 경향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관직에서 지은 시문이 많이 보이는데, “세업충효(世業忠孝)”에 기반한 공훈을 추구하는 경향이다. 둘째, “세업충효”의 가르침이 절의로 표현되어 나타난 것이다. 셋째, 전체 시문이 자연으로의 지향을 드러낸다. 특히 다른 이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은 시문들은 자연을 표현하고 유람한 시문들이다.
『파릉세고』는 문헌이 많지 않은 시기의 시문을 싣고 있어 문학사의 자료로서 가치를 지닐 뿐 아니라 명나라 문인들과 교류하는 가운데 작성된 가장 이른 시선집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rŭng Sego (巴陵世稿), compiled by the Daejehakgong branch (大提學公派) of the Yangcheon Heo clan (陽川許氏), originated in 1537 as a poetry anthology following an envoy mission to Joseon by a Ming dynasty delegation. It is one of t...
The Parŭng Sego (巴陵世稿), compiled by the Daejehakgong branch (大提學公派) of the Yangcheon Heo clan (陽川許氏), originated in 1537 as a poetry anthology following an envoy mission to Joseon by a Ming dynasty delegation. It is one of the earliest cases in which a Joseon poetry collection, along with an early draft of the Yangcheon Heossi Sego compiled by the Heo Heup brothers, was directly exchanged with Ming scholars. Although Parŭng Sego has since been consolidated into Yangcheon Sego (陽川世稿), it initially began as a separate anthology. The early form of Parŭng Sego was a poetry collection encompassing the surviving works from Heo Gong (許珙) of the 10th generation to Heo Gyu of the 18th generation. It is estimated that the collection originally contained 22 poems and one prose piece. Upon analyzing these works, three trends emerge. First, due to the nature of the Sego, official poems are prevalent during periods of government service, reflecting a tendency to pursue merit based on the principles of “loyalty and filial piety.” Second, the teachings of “loyalty and filial piety” are often expressed through the concept of integrity. Third, the entire collection demonstrates a strong inclination toward nature, with poems that received the highest praise from others being those that express and explore nature.
Parŭng Sego holds significant value not only as a literary resource from a period with few surviving texts but also as the earliest poetry collection compiled during direct exchanges with Ming literati.
한중(韓中) 민속 생활 속의 방역 실천과 전승 가치 연구 -한중 방역 위생 관련 세시 기록과 민속지 자료를 중심으로-
『평택총쇄』 산문을 통해 보는 오횡묵 평택군수의공적 활동과 편지 교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