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패널 VAR 모형을 이용한 지역주택투자와 지역경제성장 간의 인과관계 분석 =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Housing Investment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Using Panel VAR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749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건설투자와 지역경제성장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1995년부터 2015년까지 16개 광역시·도의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지역별 이질성을 고려한 패널분석을 실시한다. 특히 지역건설투자와 지역경제성장 간에 인과관계가 존재한다면 건설투자를 구성하는 주택투자, 비주택투자, 토목투자 중 어떤 투자가 경제성장과 인과관계가 있는지 네 변수를 포함한 패널 VAR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먼저 시스템 GMM 추정량을 기반으로 패널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건설투자는 지역경제성장에 선행하며 원인변수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역건설투자 중 지역주택투자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요인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경기활성화를 위한 주택투자 정책의 중요성에 시사점을 둘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충격이 시스템 내에서 각 변수 증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충격반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역건설투자, 특히 지역주택투자에 대한 충격은 단기적으로 지역경제성장을 양(+)의 영향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건설투자와 지역경제성장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1995년부터 2015년까지 16개 광역시·도의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지역별 이질성을 고려한 패널분석을 실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건설투자와 지역경제성장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1995년부터 2015년까지 16개 광역시·도의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지역별 이질성을 고려한 패널분석을 실시한다. 특히 지역건설투자와 지역경제성장 간에 인과관계가 존재한다면 건설투자를 구성하는 주택투자, 비주택투자, 토목투자 중 어떤 투자가 경제성장과 인과관계가 있는지 네 변수를 포함한 패널 VAR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먼저 시스템 GMM 추정량을 기반으로 패널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건설투자는 지역경제성장에 선행하며 원인변수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역건설투자 중 지역주택투자가 경제성장에 긍정적 요인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경기활성화를 위한 주택투자 정책의 중요성에 시사점을 둘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충격이 시스템 내에서 각 변수 증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충격반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역건설투자, 특히 지역주택투자에 대한 충격은 단기적으로 지역경제성장을 양(+)의 영향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uses panel data of 16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of Korea from 1995 to 2015 and analyzes panel VAR model considering regional heterogeneity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construction (or, housing, non-housing, and civil engineering) investment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First, panel granger causality test is performed based on system GMM estimator. As a result, regional construction investment in Korea is preceded by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acted as a causal variable. Especially, it is confirmed that housing investment among construction invest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economic growth. This implies the importance of the housing investment policy to stimulate the regional economy.
      In addition, impulse response function i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shocks of each variable to other variables in the system. It is shown that the regional construction investment, especially regional housing invest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regional economic growth in the short term.
      번역하기

      This study uses panel data of 16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of Korea from 1995 to 2015 and analyzes panel VAR model considering regional heterogeneity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construction (or, housing, non-housing, a...

      This study uses panel data of 16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of Korea from 1995 to 2015 and analyzes panel VAR model considering regional heterogeneity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construction (or, housing, non-housing, and civil engineering) investment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First, panel granger causality test is performed based on system GMM estimator. As a result, regional construction investment in Korea is preceded by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acted as a causal variable. Especially, it is confirmed that housing investment among construction invest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economic growth. This implies the importance of the housing investment policy to stimulate the regional economy.
      In addition, impulse response function i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shocks of each variable to other variables in the system. It is shown that the regional construction investment, especially regional housing invest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regional economic growth in the short ter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인식, "패널 데이터 분석" 지필미디어 2013

      2 한국은행, "최근 건설투자 수준의 적정성 평가" BOK 2016

      3 김계숙, "집적경제가 지역-산업 고용성장에 미친 영향 : System GMM 추정방법의 활용"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227-246, 2010

      4 이규태, "주택투자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08

      5 김명수, "주거용 및 비주거용 투자와 경제변동" 한국지역학회 21 (21): 21-36, 2005

      6 민인식, "시계열 데이터 분석" 지필미디어 2014

      7 서승환, "부동산의 거시경제적 역할"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3 : 447-486, 1996

      8 한국감정원, "부동산시장 분석보고서" 2018

      9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국내 건설투자의 중장기 변화 추이 전망" 2014

      10 김상기, "거시경제변화와 건설경기 변동의 관계성 분석" 대한건축학회 26 (26): 263-270, 2010

      1 민인식, "패널 데이터 분석" 지필미디어 2013

      2 한국은행, "최근 건설투자 수준의 적정성 평가" BOK 2016

      3 김계숙, "집적경제가 지역-산업 고용성장에 미친 영향 : System GMM 추정방법의 활용"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227-246, 2010

      4 이규태, "주택투자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08

      5 김명수, "주거용 및 비주거용 투자와 경제변동" 한국지역학회 21 (21): 21-36, 2005

      6 민인식, "시계열 데이터 분석" 지필미디어 2014

      7 서승환, "부동산의 거시경제적 역할"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3 : 447-486, 1996

      8 한국감정원, "부동산시장 분석보고서" 2018

      9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국내 건설투자의 중장기 변화 추이 전망" 2014

      10 김상기, "거시경제변화와 건설경기 변동의 관계성 분석" 대한건축학회 26 (26): 263-270, 2010

      11 Levin, A., "Unit Root Tests in Panel Data: Asymptotic and Finite-Sample Properties" 108 : 1-24, 2002

      12 Chen, J.,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investment and economic growth in China : A panel analysis using quarterly provincial data" Uppsalauniversity 2008

      13 Hongyu, L., "The interaction between housing investment and economic growth in China" 5 : 40-60, 2002

      14 Burns, L. S., "The Housing of Nations : Analysis and Policy in a comparative Framework" The MacMillan Press 1977

      15 Ruddock, L, "The Construction Sector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Bon Curve'" 24 (24): 717-723, 2006

      16 Im, K. S., "Testing for Unit Roots in Heterogeneous Panels" 115 : 53-74, 2003

      17 Arellano, M.․, "Some tests of specification for panel data: Monte Carlo evidence and an application to employment equations" 58 : 277-297, 1991

      18 Coulson, N.E., "Residential Investment, Nonresidential Investment and GDP" 28 (28): 233-247, 2000

      19 Kuznets, S., "Quantitative Aspects of the economic Growth of Nations, Part Ⅳ, Long-Term Trends in Capital Formation Propositions" 9 (9): 1-124, 1961

      20 Blundell, R.․, "Initial conditions and moment restrictions in dynamic panel-data model" 87 : 115-143, 1998

      21 Harris, R. D. F., "Inference for Unit Roots in Dynamic Panels where the Time Dimension is Fixed" 91 : 201-226, 1999

      22 Kim, K. H., "Housing and the Korean economy" 13 : 321-341, 2004

      23 Green, R. K., "Follow the Leader: How Changes in Residential and Non-residential Investment Predict Changes in GDP" 25 (25): 253-270, 1997

      24 Matteo, R., "Financial Crises, Macroeconomic Shocks, and the Government Balance sheet: A Panel Analysis" IMF 2018

      25 Carassus, J., "Construction Sector System Approach: An International Framework" CIB 2004

      26 AR Amidu,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housing investment and economic growth: An empirical study" 9 (9): 272-286, 2016

      27 Filiz O.,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on investment policy and economic growth in Turkey" 79 (79): 362-370, 2012

      28 Arellano․M., "Another look at the instrumental variable estimation of error-components models" 68 : 29-51, 1995

      29 Solow, R., "A Contribution to the Theory of Economic Growth" 70 (70): 65-94, 195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3-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 REGIONAL ECONOMIC ASSOCI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9 0.47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