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호남권역 노동생산성 격차의 국지적 공간분포 및 원인 분석 = Local Spatial Distribution and Causal Analysis of Labor Productivity Gap in Honam Reg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749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cal spatial distribution and causes of the labor productivity gaps of cities and counties in Honam reg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mployed a shift-share method and a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odel used by Esteban (2000). In summar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labor productivity gaps is confirmed by the high-high (HH) cluster pattern around Yeosu and Gwangyang. However, in the cities and counties, the majority of local cluster patterns did not appear. As a result of the geographical weighted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roductivity gap was the main cause of the regional labor productivity gaps. Finally, in order to reduce the labor productivity gap in each city or county, we derived the first priority promotion policy through the average of industrial structure factor and productivity differentials based on the autonomous differential regression coefficients derived from th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analysi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cal spatial distribution and causes of the labor productivity gaps of cities and counties in Honam reg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mployed a shift-share method and a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cal spatial distribution and causes of the labor productivity gaps of cities and counties in Honam reg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mployed a shift-share method and a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odel used by Esteban (2000). In summar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labor productivity gaps is confirmed by the high-high (HH) cluster pattern around Yeosu and Gwangyang. However, in the cities and counties, the majority of local cluster patterns did not appear. As a result of the geographical weighted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roductivity gap was the main cause of the regional labor productivity gaps. Finally, in order to reduce the labor productivity gap in each city or county, we derived the first priority promotion policy through the average of industrial structure factor and productivity differentials based on the autonomous differential regression coefficients derived from th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analysi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호남권역의 자치구별 노동생산성 격차의 국지적 공간분포 및 원인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Esteban(2000)이 사용한 변이할당(shift-share)방법과 지리적 가중회귀(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odel)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노동생산성 격차의 공간적 분포는 여수와 광양 주위가 High-High(HH)의 군집 패턴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그 외 지역은 국지적 군집 패턴이 대다수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리적 가중회귀 분석결과, 지역별 노동생산성 격차는 생산성 차이가 주요한 원인이라고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각 지역별 노동생산성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 지리적 가중회귀 분석에서 도출된 자치구별 회귀계수를 기준으로 산업구조 요인과 생산성차이 요인의 평균값을 통해 영역별 우선추진정책을 도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호남권역의 자치구별 노동생산성 격차의 국지적 공간분포 및 원인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Esteban(2000)이 사용한 변이할당(shift-share)방법과 지리적 가...

      본 연구는 호남권역의 자치구별 노동생산성 격차의 국지적 공간분포 및 원인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Esteban(2000)이 사용한 변이할당(shift-share)방법과 지리적 가중회귀(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odel)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노동생산성 격차의 공간적 분포는 여수와 광양 주위가 High-High(HH)의 군집 패턴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그 외 지역은 국지적 군집 패턴이 대다수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리적 가중회귀 분석결과, 지역별 노동생산성 격차는 생산성 차이가 주요한 원인이라고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각 지역별 노동생산성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 지리적 가중회귀 분석에서 도출된 자치구별 회귀계수를 기준으로 산업구조 요인과 생산성차이 요인의 평균값을 통해 영역별 우선추진정책을 도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창근, "제조업 사업체 간 임금 및 생산성격차 추세와 그 관계에 대한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40 (40): 1-31, 2017

      2 현대경제연구원, "우리나라의 지역 간 경제력 격차 현황과 시사점" 2014

      3 최명섭, "서울시 주택가격 추정모형의 예측력 비교" 서울연구원 17 (17): 75-89, 2016

      4 김홍배, "도시 및 지역경제 분석론" 기문당 2016

      5 김태기, "노동생산성 변화의 원인과 결과: 한국, 미국, 일본, 독일의 비교"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6 (26): 59-83, 2016

      6 한국생산성본부, "노동생산성 국제비교" 2017

      7 이근희, "기업동학, 자원재분배 및 노동생산성 결정요인:「기업활동조사(2006-2012)」에 기초한 패널분석"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21 (21): 43-114, 2015

      8 이성우, "공간계량모형응용" 박영사 2006

      9 이창효, "공간계량모형을 활용한 수도권 읍면동의 산업별집적의 영향요인 분석" 경기개발연구원 18 (18): 1-33, 2016

      10 이희연, "고급통계분석론-이론과 실습" 법문사 2006

      1 이창근, "제조업 사업체 간 임금 및 생산성격차 추세와 그 관계에 대한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40 (40): 1-31, 2017

      2 현대경제연구원, "우리나라의 지역 간 경제력 격차 현황과 시사점" 2014

      3 최명섭, "서울시 주택가격 추정모형의 예측력 비교" 서울연구원 17 (17): 75-89, 2016

      4 김홍배, "도시 및 지역경제 분석론" 기문당 2016

      5 김태기, "노동생산성 변화의 원인과 결과: 한국, 미국, 일본, 독일의 비교"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6 (26): 59-83, 2016

      6 한국생산성본부, "노동생산성 국제비교" 2017

      7 이근희, "기업동학, 자원재분배 및 노동생산성 결정요인:「기업활동조사(2006-2012)」에 기초한 패널분석"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21 (21): 43-114, 2015

      8 이성우, "공간계량모형응용" 박영사 2006

      9 이창효, "공간계량모형을 활용한 수도권 읍면동의 산업별집적의 영향요인 분석" 경기개발연구원 18 (18): 1-33, 2016

      10 이희연, "고급통계분석론-이론과 실습" 법문사 2006

      11 Julie Le Gallo, "The Evolution of Regional Productivity Disparities in the European Union from 1975 to 2002: A combination of Shift-Share and Spatial Econometrics" 45 : 123-139, 2011

      12 Roberto Ezcurra, "Regional inequality in the European Union: Does industry mix matter?" 39 : 679-697, 2005

      13 Esteban J., "Regional convergence in European and the industry mix: a shift-share analysis" 30 : 353-364, 2000

      14 A. Stewart Fotheringham,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The Analysis of Spatially Varying Relationships" John Wiely & Sons 2002

      15 Valter DiGiacinto, "Explaining labour productivity differentials across Italian regions: the role of socio-economic structure and factor endowments" 85 : 299-320,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3-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 REGIONAL ECONOMIC ASSOCI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9 0.47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