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가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패션에 대한 인식도 변화하고 있다. 또한 시대적 유행을 쫓으려는 추세가 가속화되면서 웨딩드레스에 대한 신부들의 요구와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한류의 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69573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07-118(1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경제가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패션에 대한 인식도 변화하고 있다. 또한 시대적 유행을 쫓으려는 추세가 가속화되면서 웨딩드레스에 대한 신부들의 요구와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한류의 영...
경제가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패션에 대한 인식도 변화하고 있다. 또한 시대적 유행을 쫓으려는 추세가 가속화되면서 웨딩드레스에 대한 신부들의 요구와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한류의 영향으로 웨딩드레스 산업이 중국으로 진출하였고, 한국 웨딩드레스는 중국에서 중국인들이 결혼할 때 선택하는 주류로 자리 잡았다. 중국 시장은 20년 간 한류를 경험하면서 중국 사람들의 웨딩드레스의 미적 선택 추세도 점차 달라지고 있다. 본 논문은 한중 양국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양국의 웨딩드레스 요소 선택에 대한 선호도 연구를 진행하여 양국의 산업 발전 추세를 파악하고, 웨딩드레스 업체들의 보다 나은 소비자 심미와 시장 수요에 맞는 제품 설계를 촉진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부산시와 광저우시(广州)의 20~40대 소비자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인 설문 조사법을 이용하였다. 웨딩드레스 구성요소 중 7가지 요소(넥 모양, 슬리브 모양, 소재, 스타일, 기법, 양식, 장식)를 선택하여 수집한 300개의 설문지를 SPSS 23.0을 사용하여 데이터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웨딩드레스의 요소 선택에 대해서 양 국가 소비자들은 유사성을 보였는데, 모두 일자 넥, 레이스 소재, A라인 양식, 공주처럼 러블리한 스타일의 선택 비율이 가장 높았다. 둘째, 슬리브 모양, 기법, 장식요소의 경우 두 도시인의 선택 차이가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셋째, 한 · 중 양국의 대표성을 가진 도시를 선택에 대한 설문조사와 후기 데이터 분석을 통해 현재 양국의 웨딩드레스 선택 선호도, 연령 · 학력 · 수입 인구에 따른 선호도 차이를 알아볼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people’s clothing concepts are constantly changing, the pace of pursuing fashion is accelerating, and the newcomers’ pursuit and expectations for wedding dresses are getting higher and higher. Due to the influe...
With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people’s clothing concepts are constantly changing, the pace of pursuing fashion is accelerating, and the newcomers’ pursuit and expectations for wedding dresses are getting higher and higher. Due to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the wedding dress industry has entered the Chinese market, and Korean wedding dresses have become the mainstream choice for Chinese couples to get married. After 20 years of the Korean Wave in the Chinese market, the aesthetic choices of wedding dresses are gradually chang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duct a data analysis on the questionnaires of South Korea and China, conduct a research on the preference of the selection of wedding elements in the two countries, understand the industrial development trends of the two countries, and promote the design of wedding dress companies that are more in line with consumer aesthetics and market needs product. This paper focuses on consumers aged 20-40 in Busan and Guangzhou. The measurement method is a questionnaire survey using convenience sampling. Seven elements (collar type, sleeve type, fabric, style, craftsmanship, style, and decoration) were selected from the wedding dress components. The 300 questionnaires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Consumers in the two cities are similar in their choice of wedding elements, with the largest number of people choosing one-line collar, lace fabric, A-shaped style, and sweet dreamy style. 2. In terms of sleeve shape, craftsmanship, and decorative elements, the choices of the two cities are quite different. 3.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n selecting a city with representativeness of both Korea and China and analysis of post data, we will examine the current preferences for choosing a wedding dress, and the differences in preferences according to age, education, and imported popul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장리연, "한국과 중국의 가변적 웨딩드레스 디자인 개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7 (17): 457-470, 2016
2 김칠순, "지역변인(서울과 도쿄)에 따른 20∼30대 여성의 웨딩드레스 디자인디테일 선호도, 원츠, 선택기준 분석-스포사벨라 글로벌 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4 (24): 157-169, 2018
3 오현아, "중국 웨딩 산업의 맞춤형 정보 제공을 위한 중국 웨딩⋅뷰티 이미지 분석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2 (22): 357-369, 2016
4 이선민, "중국 소비자 선호도 분석을 바탕으로 한 웨딩촬영용 의상 디자인 개발" 한국의류학회 36 (36): 714-726, 2012
5 김칠순, "중국 상해 및 상해 인근도시에 거주하는 20-30대 여성의 웨딩행동 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 14 (14): 251-260, 2012
6 "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안전부 2021
7 이은정, "웨딩드레스 디자인의 감성이미지에 대한 지역간 비교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 11 (11): 14-23, 2009
8 김선이, "웨딩 산업에 대한 한·일 소비자 만족도 및 충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9 신은정, "여대생들의 웨딩드레스 이미지 선호도와 자아이미지" 52 (52): 2002
10 정민아, "소비자 선호도 조사를 통한 웨딩드레스 디자인 제안"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3 (13): 29-39, 2011
1 장리연, "한국과 중국의 가변적 웨딩드레스 디자인 개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7 (17): 457-470, 2016
2 김칠순, "지역변인(서울과 도쿄)에 따른 20∼30대 여성의 웨딩드레스 디자인디테일 선호도, 원츠, 선택기준 분석-스포사벨라 글로벌 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4 (24): 157-169, 2018
3 오현아, "중국 웨딩 산업의 맞춤형 정보 제공을 위한 중국 웨딩⋅뷰티 이미지 분석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2 (22): 357-369, 2016
4 이선민, "중국 소비자 선호도 분석을 바탕으로 한 웨딩촬영용 의상 디자인 개발" 한국의류학회 36 (36): 714-726, 2012
5 김칠순, "중국 상해 및 상해 인근도시에 거주하는 20-30대 여성의 웨딩행동 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 14 (14): 251-260, 2012
6 "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안전부 2021
7 이은정, "웨딩드레스 디자인의 감성이미지에 대한 지역간 비교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 11 (11): 14-23, 2009
8 김선이, "웨딩 산업에 대한 한·일 소비자 만족도 및 충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9 신은정, "여대생들의 웨딩드레스 이미지 선호도와 자아이미지" 52 (52): 2002
10 정민아, "소비자 선호도 조사를 통한 웨딩드레스 디자인 제안"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3 (13): 29-39, 2011
11 周鹤, "我国经济发达地区婚纱市场现状初探" 26 (26): 2011
12 任艳如, "婚纱消费者购买偏好及影响因素分析" 57 (57): 2020
13 刘晓刚, "基于服装品牌的设计元素理论研究" 东华大学 1996
14 孙艳波, "基于感性工学的婚纱肩颈款式评价研究" 61 (61): 2020
15 "https://zh.wikipedia.org"
16 "https://www.instagram.com"
전통문화 적용 캐릭터 디자인 분석 연구 -중국 신국풍 캐릭터를 중심으로-
생산관리시스템(MES)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UI/UX 디자인 연구 -중소기업 자동차 금형기업의 작업배정 기능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5 | 0.732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