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UHD 방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상파 UHD 방송을 위한 전송표준에 대한 관심도 자연스레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2009년 9월 제정된 유럽방식인 DVB-T2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311538
2015
Korean
학술저널
17-27(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UHD 방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상파 UHD 방송을 위한 전송표준에 대한 관심도 자연스레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2009년 9월 제정된 유럽방식인 DVB-T2를 ...
최근 UHD 방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상파 UHD 방송을 위한 전송표준에 대한 관심도 자연스레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2009년 9월 제정된 유럽방식인 DVB-T2를 기반으로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비디오 코덱을 적용한 실험방송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미국의 ATSC<SUP>1)</SUP>에서는 2013년부터 HEVC 비디오 코덱을 적용하여 고정수신 UHD 방송과 이동수신 HD 방송의 동시서비스를 고려한 ATSC 3.0 표준화를 현재까지 진행하고 있다. 특히, ATSC 3.0 표준화에서는 국내 가전사와 ETRI가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유럽의 DVB<SUP>2)</SUP>와 중국의 NERC-DTV<SUP>3)</SUP>, 일본의 NHK, Sony 등 전세계의 여러 방송 관련 기관들도 참여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최신 지상파 방송표준인 ATSC 3.0의 표준화 동향과 물리계층 요소기술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차세대 방송 표준(ATSC 3.0) 서비스 시나리오 및 요구사항
차세대 미주 방송 표준(ATSC 3.0)의 서비스 및 전송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