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건강-의료 관련 전공자를 위한 해부학 가상강의 컨텐츠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arning Human Anatomy Content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 Health Allied Sc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589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건강-의료 분야의 학과 신설 및 전공자가 급격하게 늘어남에 따라 해부학 교육의 질적 향상 및 학습자의 학습효과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강의방식의 도입이 필요하다. 따라...

      최근 건강-의료 분야의 학과 신설 및 전공자가 급격하게 늘어남에 따라 해부학 교육의 질적 향상 및 학습자의 학습효과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강의방식의 도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부학 과목이 전공필수로 포함되어 있는 강원대학교 2개 학과(간호학과, 스포츠과학부)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해부학 강의를 위하여 강원대학교 e-러닝 센터와 함께 가상강의 컨텐츠를 개발 과정에 있어 담당교수의 역할을 분석하고, 정규교육과정에서 적용한 후, 학생들의 설문 조사와 가상강의실 운영 성과를 평가하였다.
      해부학 가상강의 컨텐츠와 운영에 대하여 학생들의 만족도와 활용가능성, 난이도, 운영의 적절성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가상강의실 게시판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학습활동을 보였다. 그러나 학생들이 개선점으로 지적한 컨텐츠의 질적 향상 및 관련 자료의 보강은 시급히 개선해야 할 부분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의료 분야의 전공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요구하고 있는 강의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해부학 전공 교수진의 교육 부담을 경감하고 해부학교육에 있어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는 가상강의에 대한 연구로서, 향후 해부학 강의에 있어 충분한 활용가치가 있는 효과적인 교수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implement a progressive e-learning teaching method in the teaching of human anatomy. For analysis of the effect of new teaching methods, we made a survey of user satisfaction, content difficulty, and course management.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implement a progressive e-learning teaching method in the teaching of human anatomy. For analysis of the effect of new teaching methods, we made a survey of user satisfaction, content difficulty, and course management.
      The e-learning content was developed by the authors and implemented to class, practice, and tests, for 16 week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ophomores of nursing science (NS, n=42) and sports science (SS, n=26), a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ese two groups of students filled out a questionnaire related to effectiveness of e-learning content and tool in learning human anatomy. The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content, difficulty level, and management of the e-learning course. Through the board of virtual classroom, all of the students played positive manners in communication and activity. Students pointed out ‘reinforcement of multimedia data’, ‘improvement of technical service’ and ‘addition of broad information’ as the most notable improvements of content. Therefore, we conclude that an e-learning course for undergraduate nursing science and sports science students can provide an effective learning mod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참고문헌
      • 서론
      • 대상 및 방법
      • 결과
      • 고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