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프랑스의 동거정부안에서 대통령과 수상의 권한배분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933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프랑스의 이원정부제는 대통령제와 의원내각제의 혼합물이다. 그래서 야당이 의회의 총선거에서 승리할 경우 대통령과 의회가 정면으로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통령은 몇 가지 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해결하는 수밖에 없게되었다. 첫째는 의회의 다수파에 대한 대통령의 굴복이고, 둘째는 대통령이 의회해산권을 통해 대항하는 길이며, 마지막으로 생각할 수 있는 길이 좌․우파의 정치적 협력에 근거한 ‘동거정부(cohabitation)’ 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동거정 부형태 안에서 대통령과 수상의 권한배분의 문제를 다루었다.
      헌법 제19조가 열거하고 있는 대통령의 고유권한(pouvoirs propres), 혹은 개인적 권한 (compétances personnels)으로 중요한 것은 수상의 임명권(제8조 제1항), 국민투표부의권(제11조), 의회해산권(제12조), 비상대권(제16조), 의회에의 교서권(제18조) 등으로서 행정권의 차원이 아니라 통치권에 해당하는 것이라 볼 것이다.
      한편 헌법 제21조의 규정은 수상에게 명령제정권(pouvoir réglementaire)과 법률의 집행을 보장할 의무를 부여하였다. 동규정의 적용으로부터 수상은 의회에 의해서 의결된 법률의 집행을 보장하기 위하여 불가피한 명령(décret)을 제정할 뿐만 아니라, 헌법 제37조의 적용에 있어 제34조가 규정하지 않은 내용에 관하여 명령을 제정할 수 있다. 또한 헌법은 여러 경우에 수상이 의견을 제시할 것을 예정하고 있다. 헌법 제16조의 적용에 의해 비상대권이 발동되려면 수상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대통령이 국민의회의 해산을 선언할 때에도 마찬가지라고 할 것이다. 정부의 수반으로서 수상은 그 위헌의 핵심이 되는 법률안과 국제협정을 헌법위원회에 제소할 수 있다. 상원에 대해서 일반적인 정책선언의 승인을 요구할 수 있는 권한도 수상에게 속한다. 또한 그는 양원 사이에 불화가 존재하는 경우에 동수로 구성된 양원합동위원회의 소집을 요구할 수 있으며, 특별회기의 소집을 대통령에게 요구할 수 있다.
      번역하기

      프랑스의 이원정부제는 대통령제와 의원내각제의 혼합물이다. 그래서 야당이 의회의 총선거에서 승리할 경우 대통령과 의회가 정면으로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통령은 몇 ...

      프랑스의 이원정부제는 대통령제와 의원내각제의 혼합물이다. 그래서 야당이 의회의 총선거에서 승리할 경우 대통령과 의회가 정면으로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통령은 몇 가지 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해결하는 수밖에 없게되었다. 첫째는 의회의 다수파에 대한 대통령의 굴복이고, 둘째는 대통령이 의회해산권을 통해 대항하는 길이며, 마지막으로 생각할 수 있는 길이 좌․우파의 정치적 협력에 근거한 ‘동거정부(cohabitation)’ 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동거정 부형태 안에서 대통령과 수상의 권한배분의 문제를 다루었다.
      헌법 제19조가 열거하고 있는 대통령의 고유권한(pouvoirs propres), 혹은 개인적 권한 (compétances personnels)으로 중요한 것은 수상의 임명권(제8조 제1항), 국민투표부의권(제11조), 의회해산권(제12조), 비상대권(제16조), 의회에의 교서권(제18조) 등으로서 행정권의 차원이 아니라 통치권에 해당하는 것이라 볼 것이다.
      한편 헌법 제21조의 규정은 수상에게 명령제정권(pouvoir réglementaire)과 법률의 집행을 보장할 의무를 부여하였다. 동규정의 적용으로부터 수상은 의회에 의해서 의결된 법률의 집행을 보장하기 위하여 불가피한 명령(décret)을 제정할 뿐만 아니라, 헌법 제37조의 적용에 있어 제34조가 규정하지 않은 내용에 관하여 명령을 제정할 수 있다. 또한 헌법은 여러 경우에 수상이 의견을 제시할 것을 예정하고 있다. 헌법 제16조의 적용에 의해 비상대권이 발동되려면 수상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대통령이 국민의회의 해산을 선언할 때에도 마찬가지라고 할 것이다. 정부의 수반으로서 수상은 그 위헌의 핵심이 되는 법률안과 국제협정을 헌법위원회에 제소할 수 있다. 상원에 대해서 일반적인 정책선언의 승인을 요구할 수 있는 권한도 수상에게 속한다. 또한 그는 양원 사이에 불화가 존재하는 경우에 동수로 구성된 양원합동위원회의 소집을 요구할 수 있으며, 특별회기의 소집을 대통령에게 요구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 plus grand caractère du régime politique de la Ve République est la structure dualiste de l'exécutif.
      Le Président de la République a les pouvoirs propres importants comme le droit de message, le droit de dissolution, le droit du recours au référendum, etc. Bien que le Premier ministre et les ministres aient les pouvoirs propres, l'influence de ces pouvoirs est faible en comparaison de celui des pouvoirs présidentiels.
      Le pouvoire partagés, don't l'exercice nécessite le contreseing du chef du gouvernement et des ministres concernés par l'application, demandent la collaboration entre le Président de République et le gouvernement.
      La 'cohabitation' suggère une autre possibilité du régime politique de la Ve République.
      Le régime politique de la Ve République peut être estimé réussi au moins pour raison de la durée, malgré beaucoup d'objections. En conséquence, il est douteux que l'évolution du révisionnism aboutisse à la réforme du régime politique.
      번역하기

      Le plus grand caractère du régime politique de la Ve République est la structure dualiste de l'exécutif. Le Président de la République a les pouvoirs propres importants comme le droit de message, le droit de...

      Le plus grand caractère du régime politique de la Ve République est la structure dualiste de l'exécutif.
      Le Président de la République a les pouvoirs propres importants comme le droit de message, le droit de dissolution, le droit du recours au référendum, etc. Bien que le Premier ministre et les ministres aient les pouvoirs propres, l'influence de ces pouvoirs est faible en comparaison de celui des pouvoirs présidentiels.
      Le pouvoire partagés, don't l'exercice nécessite le contreseing du chef du gouvernement et des ministres concernés par l'application, demandent la collaboration entre le Président de République et le gouvernement.
      La 'cohabitation' suggère une autre possibilité du régime politique de la Ve République.
      Le régime politique de la Ve République peut être estimé réussi au moins pour raison de la durée, malgré beaucoup d'objections. En conséquence, il est douteux que l'évolution du révisionnism aboutisse à la réforme du régime politiqu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 론
      • Ⅱ. 대통령과 수상의 선출과 정부구성에서의 관계
      • Ⅲ. 동거정부하에서 대통령과 수상의 실질적 권한
      • Ⅳ. 결 론
      • <국문초록>
      • Ⅰ. 서 론
      • Ⅱ. 대통령과 수상의 선출과 정부구성에서의 관계
      • Ⅲ. 동거정부하에서 대통령과 수상의 실질적 권한
      • Ⅳ. 결 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낙인, "한국헌법과 이원정부제" 5 (5): 1999

      2 성낙인, "프랑스헌법학" 법문사 1995

      3 성낙인, "프랑스이원정부제(반대통령제)의 현실과 전망" 한국헌법학회 4 (4): 1988

      4 전학선, "프랑스의 정부형태"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2 (12): 35-54, 2006

      5 조병윤, "프랑스의 정부형태" 1990

      6 정재황, "프랑스에서의 동거정부에 대한 헌법적 일고찰" 한국공법학회 27 (27): 1999

      7 정종길, "프랑스에서 동거정부에 관한 연구"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5 (15): 521-536, 2009

      8 정재황, "프랑스 혼합정부제의 원리와 실제에 대한 고찰" 한국공법학회 27 (27): 1999

      9 정재황, "프랑스 대통령에 관한 2008년 헌법개정" 법학연구소 21 (21): 481-508, 2009

      10 조병윤, "이원집정제와 실질적․능동적 국민주권" 1989

      1 성낙인, "한국헌법과 이원정부제" 5 (5): 1999

      2 성낙인, "프랑스헌법학" 법문사 1995

      3 성낙인, "프랑스이원정부제(반대통령제)의 현실과 전망" 한국헌법학회 4 (4): 1988

      4 전학선, "프랑스의 정부형태"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2 (12): 35-54, 2006

      5 조병윤, "프랑스의 정부형태" 1990

      6 정재황, "프랑스에서의 동거정부에 대한 헌법적 일고찰" 한국공법학회 27 (27): 1999

      7 정종길, "프랑스에서 동거정부에 관한 연구"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5 (15): 521-536, 2009

      8 정재황, "프랑스 혼합정부제의 원리와 실제에 대한 고찰" 한국공법학회 27 (27): 1999

      9 정재황, "프랑스 대통령에 관한 2008년 헌법개정" 법학연구소 21 (21): 481-508, 2009

      10 조병윤, "이원집정제와 실질적․능동적 국민주권" 1989

      11 조병윤, "국회 헌법연구자문위원회 보고서의 이원정부제에 관한 검토-이원정부제와 실질적 국민주권, 헌법개정의 쟁점에 대한 검토-정부형태와 정부조직의 구조개편을 중심으로"

      12 P. Ardant, "Institutions politiques et droit constitutionnel" L.G.D.J 2009

      13 P.Pactet, "Institutions politiques et Droit constitutionnel" Masson 2009

      14 D.Brellat, "Droit constitutionnel institutions politiques" Gualino 2009

      15 D.Chagnollaud, "Droit constitutionnel contemporain, Tome 3" Dalloz 2009

      16 B.Chantebout, "Droit constitutionnel" Dalloz 2009

      17 F. Hamon, "Droit constitutionnel" L.G.D.J 2009

      18 P. Pactet, "Droit Constitutionnel" Dalloz 2008

      19 정재황, "2008년 프랑스 헌법개정에 관한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제헌법학회한국학회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영문명 : Korean Branch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stitutioanl Law ->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stitutional Law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World Constitutional Law Review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 1.6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11 1.46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