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라인수업에 대한 통번역대학원 학습자 인식 - 교수자 인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940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ports on the results of a survey of graduate-level T&I trainees on their perceptions of and preferences for online T&I classes. In order to fine-tune the comparison and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wo phases, one after the midterm and the other after the final, and divided the responses into eight categories based on the respondents’ prior experiences with offline classes, the type of courses taken (translation/interpreting), and the length of the experience with the pertinent online classes. The study found that overall, the second-year students, who have prior experiences with offline T&I classes and are thus able to compare the online classes against the offline ones, were more positive toward the online mode than the first-year students, who have no prior experiences with offline classes. It also found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 trainers and trainees in their perceptions of the online experiences as well as their preferences for the mode of teaching/learning. The paper concludes by discussing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or future training and research.
      번역하기

      This paper reports on the results of a survey of graduate-level T&I trainees on their perceptions of and preferences for online T&I classes. In order to fine-tune the comparison and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wo phases, one after the midte...

      This paper reports on the results of a survey of graduate-level T&I trainees on their perceptions of and preferences for online T&I classes. In order to fine-tune the comparison and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wo phases, one after the midterm and the other after the final, and divided the responses into eight categories based on the respondents’ prior experiences with offline classes, the type of courses taken (translation/interpreting), and the length of the experience with the pertinent online classes. The study found that overall, the second-year students, who have prior experiences with offline T&I classes and are thus able to compare the online classes against the offline ones, were more positive toward the online mode than the first-year students, who have no prior experiences with offline classes. It also found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 trainers and trainees in their perceptions of the online experiences as well as their preferences for the mode of teaching/learning. The paper concludes by discussing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for future training and resea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2.1. 온라인수업의 개념 및 유형
      • 2.2. 온라인 통번역수업 선행연구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2.1. 온라인수업의 개념 및 유형
      • 2.2. 온라인 통번역수업 선행연구
      • 3. 연구방법
      • 4. 분석결과
      • 4.1. 온라인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 4.2. 온라인수업 매체 만족도
      • 4.3. 온라인수업 선호도
      • 5. 결론
      • 참고문헌
      • 부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은실, "프로젝트 번역 학습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설계" 한국통번역교육학회 14 (14): 53-72, 2016

      2 이지은, "통역교육의 보조도구로서의 SNS 활용 사례 연구 - 카카오그룹을 활용한 스마트 러닝" 한국통번역교육학회 13 (13): 1-27, 2015

      3 홍설영, "온라인 통역 자습 시스템의 구성요소 탐색 - 학습자 요구분석 중심의 한 예비조사" 한국통역번역학회 17 (17): 303-338, 2015

      4 송연석, "온라인 통번역교육에 대한 교수자 인식 —통번역대학원 사례 연구" 한국번역학회 21 (21): 63-86, 2020

      5 박혜경, "온라인 수업에 대한 통번역대학원생들의 인식 및 선호도 사례연구" 통번역연구소 24 (24): 43-66, 2020

      6 이지은, "온라인 및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통번역 교수자들의 인식 조사 연구" 한국번역학회 17 (17): 81-106, 2016

      7 이해영, "실시간 화상 강의로 진행된 팀티칭 통역 수업에 대한 인식과 통역 능력"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2 (22): 256-274, 2019

      8 김문수, "비대면이 아니라 디지털 대면이다"

      9 최원호, "비대면 온라인 수업 사례 고찰: 동영상 녹화 및 실시간화상 수업 중심으로" 1 (1): 1-28, 2020

      10 이지은,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통역 교수법 사례연구" 한국번역학회 16 (16): 117-144, 2015

      1 최은실, "프로젝트 번역 학습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설계" 한국통번역교육학회 14 (14): 53-72, 2016

      2 이지은, "통역교육의 보조도구로서의 SNS 활용 사례 연구 - 카카오그룹을 활용한 스마트 러닝" 한국통번역교육학회 13 (13): 1-27, 2015

      3 홍설영, "온라인 통역 자습 시스템의 구성요소 탐색 - 학습자 요구분석 중심의 한 예비조사" 한국통역번역학회 17 (17): 303-338, 2015

      4 송연석, "온라인 통번역교육에 대한 교수자 인식 —통번역대학원 사례 연구" 한국번역학회 21 (21): 63-86, 2020

      5 박혜경, "온라인 수업에 대한 통번역대학원생들의 인식 및 선호도 사례연구" 통번역연구소 24 (24): 43-66, 2020

      6 이지은, "온라인 및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통번역 교수자들의 인식 조사 연구" 한국번역학회 17 (17): 81-106, 2016

      7 이해영, "실시간 화상 강의로 진행된 팀티칭 통역 수업에 대한 인식과 통역 능력"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2 (22): 256-274, 2019

      8 김문수, "비대면이 아니라 디지털 대면이다"

      9 최원호, "비대면 온라인 수업 사례 고찰: 동영상 녹화 및 실시간화상 수업 중심으로" 1 (1): 1-28, 2020

      10 이지은,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통역 교수법 사례연구" 한국번역학회 16 (16): 117-144, 2015

      11 이주리애, "동시통역 수업의 보조도구로서의 애플리케이션 설계 -과제 제출 및 피드백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일어교육학회 (42) : 99-116, 2018

      12 Lee, J., "Why not go online?: A case study of blended mode business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certificate program" 12 (12): 444-466, 2018

      13 Braun, S., "Populating a 3D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for interpreting students with bilingual dialogues to support situated learning in an institutional context" 8 (8): 469-485, 2014

      14 양성혜, "MOODLE을 이용한 한서통번역 수업의 블렌디드 러닝 설계" 한국스페인어문학회 (62) : 9-36, 2012

      15 Moser-Mercer, B., "Leveraging virtual learning environments for training interpreter trainers" 50 (50): 2005

      16 Bondi, S., "Learning through personal connections: Cogenerative dialogues in synchronous virtual spaces" 21 (21): 301-312, 2016

      17 Tymczyńska, M, "Integrating in-class and online learning activities in a healthcare interpreting course using Moodle" 12 : 148-164, 2009

      18 Weiser, O., "How do medium naturalness, teaching-learning interactions and students’personality traits affect participation in synchronous E-learning?" 37 : 50-51, 2018

      19 Kim, D., "Flipped interpreting classroom: Flipping approaches, student perceptions and design considerations" 11 (11): 38-55, 2017

      20 Chen, P., "Exploring students' discussion in face to face and online synchronous learning. Emerging issues in smart learning" Springer 2015

      21 Ibrahim-Gonzalez, N, "E-learning in interpreting didactics : Students’ attitudes and learning patterns, and instructor’s challenges" 16 : 224-241, 2011

      22 Blasco, M., "E-learning for interpreting" 53 (53): 292-302, 2007

      23 진실희, "Constraints and the Applicability of ICT in the Self-Training of Conference Interpreting Students : Focused on Constraints related to the Spatial, Temporal, Authentic and Reflective Aspects of Learning" 통번역연구소 17 (17): 195-222,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통역번역연구소 -> 통번역연구소
      영문명 : Interpretation & Translation Institute ->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통역번역연구소 -> 통번역연구소
      영문명 : Interpretation & Translation Institute ->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Institute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9-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interpretation & translation institute. ->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 0.94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