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남편의 폭력이 아내의 정신병리에 미치는 영향  :  자아 탄력성, 대처양식, 사회적 지지를 중재변인으로 = The effects of violence of husband on psychopathology of wif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046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남편의 폭력이 아내의 정신병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내의 자아 탄력성, 대처양식, 사회적 지지가 매개변인 혹은 중재변인으로 고려되었다. 연구대상은 남편에게 폭력을 당하지 않는 아내 45명과 남편에게 폭력을 당하는 아내 159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편에게 폭력을 당하는 아내는 폭력을 당하지 않는 아내에 비해 자아 탄력성이 낮고 사회적 지지를 덜 받았다. 그리고 적극적인 대처와 소극적인 대처를 많이 하였다.
      2. 남편에게 폭력을 당하는 아내는 폭력을 당하지 않는 아내에 비해 PTSD 증상과 우울, 무기력이 심했다.
      3. 남편에게 폭력을 당하는 아내의 PTSD 증상은 폭력 3~7년 사이에 가장 심하였고 우울은 폭력 기간의 초기 4년까지 심해지다가 그 이후에는 고착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무기력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누적되는 경향이 있었다.
      4. 적극적 대처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폭력정도, PTSD 증상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5. 자아 탄력성은 남편의 폭력에 중재변인 보다는 매개변인으로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남편의 폭력이 장기적으로 아내를 우울, 무기력하게 만드는 외상적인 사건으로 개념화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가정폭력에 대한 적극적인 사회적 구호체제의 확립과 조기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아울러 아내의 자아탄력성이 개입프로그램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개념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남편의 폭력이 아내의 정신병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내의 자아 탄력성, 대처양식, 사회적 지지가 매개변인 혹은 중재변인으로 고려되었다. 연구대상은 남편에...

      본 연구는 남편의 폭력이 아내의 정신병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내의 자아 탄력성, 대처양식, 사회적 지지가 매개변인 혹은 중재변인으로 고려되었다. 연구대상은 남편에게 폭력을 당하지 않는 아내 45명과 남편에게 폭력을 당하는 아내 159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편에게 폭력을 당하는 아내는 폭력을 당하지 않는 아내에 비해 자아 탄력성이 낮고 사회적 지지를 덜 받았다. 그리고 적극적인 대처와 소극적인 대처를 많이 하였다.
      2. 남편에게 폭력을 당하는 아내는 폭력을 당하지 않는 아내에 비해 PTSD 증상과 우울, 무기력이 심했다.
      3. 남편에게 폭력을 당하는 아내의 PTSD 증상은 폭력 3~7년 사이에 가장 심하였고 우울은 폭력 기간의 초기 4년까지 심해지다가 그 이후에는 고착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무기력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누적되는 경향이 있었다.
      4. 적극적 대처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폭력정도, PTSD 증상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5. 자아 탄력성은 남편의 폭력에 중재변인 보다는 매개변인으로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남편의 폭력이 장기적으로 아내를 우울, 무기력하게 만드는 외상적인 사건으로 개념화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가정폭력에 대한 적극적인 사회적 구호체제의 확립과 조기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아울러 아내의 자아탄력성이 개입프로그램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개념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olence of husband on psychopathology of wife. Ego-resiliency, coping styles of wife, and social support were considered as mediating or moderating variables. Subjects were 45 non-battered wives and 159 battered w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
      1. In case of battered wives,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were low. And they showed more active and passive coping.
      2. Battered wives showed severe symptoms of PTSD, depression and helplessness.
      3. For battered wives the symptoms of PTSD were severe in 3-7 years of violence. Depression seemed to be most severe in first 4 years and didn't make such changes after that. Helplessness became stronger.
      4. Inconsistent with early studies, active coping skills correlate positively with intensity of violence and PTSD.
      5. Ego-resiliency is most appropriate as a media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violence of husbands can be considered as a traumatic event witch makes wives to be depressive and helpless for long time. Social support network and early interventions for battered wives are requested. Also the results suggest ego-resiliency of battered wives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the intervention program. Lastly, implication and limitation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olence of husband on psychopathology of wife. Ego-resiliency, coping styles of wife, and social support were considered as mediating or moderating variables. Subjects were 45 non-battered w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olence of husband on psychopathology of wife. Ego-resiliency, coping styles of wife, and social support were considered as mediating or moderating variables. Subjects were 45 non-battered wives and 159 battered w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
      1. In case of battered wives,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were low. And they showed more active and passive coping.
      2. Battered wives showed severe symptoms of PTSD, depression and helplessness.
      3. For battered wives the symptoms of PTSD were severe in 3-7 years of violence. Depression seemed to be most severe in first 4 years and didn't make such changes after that. Helplessness became stronger.
      4. Inconsistent with early studies, active coping skills correlate positively with intensity of violence and PTSD.
      5. Ego-resiliency is most appropriate as a media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violence of husbands can be considered as a traumatic event witch makes wives to be depressive and helpless for long time. Social support network and early interventions for battered wives are requested. Also the results suggest ego-resiliency of battered wives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the intervention program. Lastly, implication and limitation we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 2. 폭력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들
      • 1) 자아 탄력성
      • 2) 대처양식
      • 3) 사회적 지지
      • 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 2. 폭력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들
      • 1) 자아 탄력성
      • 2) 대처양식
      • 3) 사회적 지지
      • 3. 폭력을 당하는 아내들의 정신병리에 대한 연구
      • 4. 연구 방법
      • 1) 연구대상
      • 2) 측정 도구
      • 5. 결과
      • 1) 남편의 폭력 유무에 따른 측정변인들간의 차이 검증
      • 2) 남편에게 폭력 당하는 아내의 PTSD 증상, 우울, 무기력 정도
      • 3) 폭력 기간과 폭력 정도, 자아 탄력성, 대처 양식, 사회적 지지, PTSD, 우울, 무기력간의 관계
      • 4) 폭력정도가 아내의 정신병리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검증
      • 6.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