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법관의 법형성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통제 = The Constitutional Court’s Review on Judge-Made La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835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구 조세감면규제법의 전부개정에 따라 폐지된 부칙조항을 과세의 근거로 할 수 있는지에 대해, 헌법재판소는 그러한 과세는 조세법률주의에 위반한다고 보아 ‘부칙조항이 실효되지 않은 ...

      구 조세감면규제법의 전부개정에 따라 폐지된 부칙조항을 과세의 근거로 할 수 있는지에 대해, 헌법재판소는 그러한 과세는 조세법률주의에 위반한다고 보아 ‘부칙조항이 실효되지 않은 것으로 해석하는 것은 헌법에 위반된다’는 주문을 선고하였다. 이 결정은 한정위헌결정의 형식을 취하였지만, 그 결정의 내용은 법원의 유추적용, 즉 법형성에 대한 위헌결정이었다. 그동안 법률해석에 대한 위헌결정으로서의 한정위헌결정에 대한 논의는 많이 있었지만, 법관의 법형성에 대한 헌법적 통제에 관한 논의는 부족했다. 법관의 법형성은 사법작용의 한 부분으로서 헌법이 법원에 부여한 사법권에 의해 정당화될 수 있고, 법원의 헌법구속성에 의해서도 정당화될 수 있다. 그러나 재판작용을 통해 법규범을 창설한다는 점에서 입법권을 침해할 우려가 있으며, 법관이 법률에 대한 구속을 회피하는 수단으로 기능할 가능성도 있다. 법형성은 권력분립원리, 법치주의 원리와 같은 헌법적 한계 안에서만 행사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죄형법정주의와 조세법률주의와 같이 헌법의 명시적인 금지에 의해 제한된다. 법관의 법형성은 규범통제의 기능도 가질 수 있는데, 17세기 영국 보통법원의 보넘 판결(Dr. Bonham’s Case)을 둘러싼 논의는 이 점을 잘 보여준다. 법형성이 규범통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은 법형성이 입법부의 권한 뿐 아니라 헌법재판소의 권한과도 충돌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위헌이 의심되는 법률을 헌법재판소에 제청하지 않고 법형성이라는 이름으로 법원 스스로의 판단에 따라 적용을 배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헌법의 우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법관의 법형성에 대해서도 헌법적 통제가 필요하고, 헌법해석의 통일성을 관철하기 위해서는 법관의 법형성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통제가 필요하다. 법관의 법형성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통제방식은 재판소원이어야 하지만, 재판소원이 허용되지 않고 있는 현재로서는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의 절차를 통해 위헌법률심사의 방식으로 통제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통제방식은 법형성을 법률해석과 구별하지 않는 법원의 실무에 대응한 것이기도 하다. 헌법재판소가 법원의 법형성에 대해 통제할 수 있는 근거는 헌법재판소가 법원보다 우위에 있기 때문이 아니라 헌법이 사법권보다 우위에 있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judge-made law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itutional law. While judge-made law belongs to the judicial power which is vested on the judiciary by the Constitution, there is a risk of infringing on the legislative power in that it...

      This article examines judge-made law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itutional law. While judge-made law belongs to the judicial power which is vested on the judiciary by the Constitution, there is a risk of infringing on the legislative power in that it creates a legal norm by judges,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judges may evade the binding effect of statutes. Judge-made law is allowed within the limits of the constitution, such as separation of powers and the rule of law, and above all, it is bound by explicit prohibitions such as the principle of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and “no taxation without statutory law”. It is the Dr. Bonham s Case, which was decided on early seventeenth century by the British Court of Common Pleas, that shows that judge-made law sometimes functions as a judicial review. In the case, the Court of Common Pleas ruled that the common law will control act of parliament and adjudge it to be void when it being against common right and reason. This means judge-made law may conflict with the power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s well as the powers of the legislative branch. The supremacy of the Constitution requires the unity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which can be achieved through the Constitutional Court’s review on the constitutionality of judge-made law as well as statutory interpretation of the ordinary courts. Though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against judicial judgment is an appropriate procedure for examining the constitutionality of judge-made law, It has not been allowed under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Therefore,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no choice but to review the judge-made law through the procedure for constitutional review of statutory laws. This is also in response to the practice of the ordinary courts that do not distinguish between the statutory interpretation and judge-made law. It is not for the superiority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ver the ordinary courts, but for the Constitution over the judicial power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can control the judge-made law and interpretation of laws by the ordinary cour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문제의 제기 Ⅱ. 법형성의 헌법적 근거와 한계 Ⅲ. 법형성의 규범통제 기능 Ⅳ. 법형성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통제 Ⅴ. 결론
      • Ⅰ. 문제의 제기 Ⅱ. 법형성의 헌법적 근거와 한계 Ⅲ. 법형성의 규범통제 기능 Ⅳ. 법형성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통제 Ⅴ.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진완, "헌법해석과 법률해석과의 관계의 문제로서 법관의 법형성" 법학연구원 (71) : 1-60, 2020

      2 박진완, "헌법해석과 법률해석과의 관계 - 법질서 통일성의 측면에서 헌법해석과 법률해석의 분리불가능성" 법학연구원 (45) : 1-38, 2014

      3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8

      4 정혜영, "헌법재판과 법관의 법형성" 법학연구소 6 (6): 39-83, 2012

      5 김하열, "헌법소송법" 박영사 2021

      6 성낙인, "헌법소송론" 법문사 2021

      7 전상현, "헌법불합치결정의 의미와 근거 및 주문합의방식에 대한 재검토" 한국헌법학회 20 (20): 435-465, 2014

      8 김현철, "한정위헌청구와 재판통제" 부설법학연구소 39 : 97-123, 2013

      9 전광석, "한국헌법론" 집현재 2017

      10 김영환, "한국에서의 법학방법론의 문제점 - 법발견과 법형성: 확장해석과 유추, 축소해석과 목적론적 축소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법철학회 18 (18): 133-166, 2015

      1 박진완, "헌법해석과 법률해석과의 관계의 문제로서 법관의 법형성" 법학연구원 (71) : 1-60, 2020

      2 박진완, "헌법해석과 법률해석과의 관계 - 법질서 통일성의 측면에서 헌법해석과 법률해석의 분리불가능성" 법학연구원 (45) : 1-38, 2014

      3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8

      4 정혜영, "헌법재판과 법관의 법형성" 법학연구소 6 (6): 39-83, 2012

      5 김하열, "헌법소송법" 박영사 2021

      6 성낙인, "헌법소송론" 법문사 2021

      7 전상현, "헌법불합치결정의 의미와 근거 및 주문합의방식에 대한 재검토" 한국헌법학회 20 (20): 435-465, 2014

      8 김현철, "한정위헌청구와 재판통제" 부설법학연구소 39 : 97-123, 2013

      9 전광석, "한국헌법론" 집현재 2017

      10 김영환, "한국에서의 법학방법론의 문제점 - 법발견과 법형성: 확장해석과 유추, 축소해석과 목적론적 축소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법철학회 18 (18): 133-166, 2015

      11 이철송, "폐지된 세법규정이 해석을 통해 효력을 유지할 수 있는가?" 한국세법학회 18 (18): 673-703, 2012

      12 박종희, "판례의 법형성적 기능과 한계 - 서울행정법원 2012.11.01. 선고 2011구합20239, 2011구합26770 판결(병합)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법학연구원 (70) : 191-239, 2013

      13 서보국, "조세법상 법관의 법발견과 법형성" 법학연구소 26 (26): 11-37, 2015

      14 방승주, "조세법률주의와 헌법재판 -헌법재판소의 2009헌바123ㆍ126(병합) 구 조세감면규제법 부칙 제23조에 대한 위헌소원결정과 관련한 헌법적 쟁점들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29 (29): 199-222, 2012

      15 이창희, "조세법 연구 방법론" 법학연구소 46 (46): 1-35, 2005

      16 정주백, "전부 개정되기 전의 법률 조항 적용을 둘러싼 헌재와 대법원의 갈등 - 헌재 2012. 5. 31. 2009헌바123 사건에 대한 평석 -" 법학연구소 25 (25): 11-56, 2014

      17 김하열, "재판에 대한 헌법소원의 필요성과 범위: 재판소원의 부분적 도입을 위한 시론" 한국헌법학회 16 (16): 165-206, 2010

      18 이동진, "재산권 보장 조항(헌법 제23조 제1항)과 민법" 한국비교사법학회 24 (24): 1173-1210, 2017

      19 피터스타인, "유럽 역사에서 본 로마법" 읻다 2021

      20 김시철, "위헌법률심판절차에서 사법작용의 당부를 심사할 수 있는지(下) - 헌법재판소 2012. 5. 31. 선고 2009헌바123등 전원재판부 결정에 대하여 -" 사법발전재단 1 (1): 245-336, 2012

      21 김시철, "위헌법률심판절차에서 사법작용의 당부를 심사할 수 있는지(上) - 헌법재판소 2012. 5. 31. 선고 2009헌바123 등 전원재판부 결정에 대하여 -" 사법발전재단 1 (1): 161-231, 2012

      22 전상현, "위헌법률심사의 본질과 한정위헌" 한국헌법학회 19 (19): 291-322, 2013

      23 김병곤, "영국헌정주의의 기원과 코먼로" 한국유럽학회 25 (25): 277-296, 2007

      24 이창희, "세법강의" 박영사 2021

      25 조지형, "사법심사의 역사적 기원 Marbury v. Madison 사건 이전을 중심으로-" 한국서양사학회 (53) : 125-155, 1997

      26 김영환, "법학방법론의 이론적 체계와 실천적 의의―소위 GS 칼텍스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법철학회 17 (17): 5-40, 2014

      27 칼 엥기쉬, "법학방법론" 세창출판사 2011

      28 김영환, "법철학의 근본문제" 홍문사 2012

      29 김대휘, "법철학과 법이론 입문" 성안당 2021

      30 구스타프 라드부르흐, "법철학" 박영사 2021

      31 김하열, "법률해석과 헌법재판:법원의 규범통제와 헌법재판소의 법률해석" 한국법학원 108 : 5-53, 2008

      32 남복현, "법률해석과 관련한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갈등, 그 원인과 해법 - 대법 2013. 3. 28. 선고 2012재두299판결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45) : 97-150, 2014

      33 이계일, "법관의 법형성의 체계구성에 관한 탐구" 법과사회이론학회 (56) : 297-350, 2017

      34 임미원, "법관의 법형성에 관한 일고찰 ― <구 조세감면규제법> 한정위헌 결정과 관련하여 ―" 한국공법학회 41 (41): 165-196, 2012

      35 구해동, "법관의 법형성기준으로서 효율과 공평" 한국세법학회 19 (19): 7-56, 2013

      36 박진완, "법관의 법형성 독일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공법학회 29 (29): 201-218, 2000

      37 칼 라렌츠, "방법론적인 문제로서 법관의 법형성" 법학연구소 25 (25): 199-218, 2008

      38 최병조, "로마법률가들의 정의관"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31 (31): 167-181, 1990

      39 이황희, "근대 입헌주의의 고전적 기원들 - 근본법 사상과 규범통제제도를 중심으로 -" 한국헌법학회 21 (21): 447-489, 2015

      40 권영설, "고차법사상과 사법심사의 제도화" 한국공법학회 25 (25): 39-57, 1997

      41 이창희, "稅法의 憲法的 기초에 관한 試論" 한국세법학회 6 : 79-121, 2000

      42 Edward S. Corwin, "The ‘Higher Law’ Background of American Constitutional Law" 42 (42): 149-185, 1928

      43 Alexander Bickel, "The Least Dangerous Branch" Yale University Press 1986

      44 Jeremy Waldron, "The Core of the Case against Judicial Review" 115 (115): 1346-1407, 2006

      45 Mauro Cappelletti, "Judicial Review of Legislation: European Antecedents and Adaptations" 79 (79): 1207-1224, 1966

      46 Mauro Cappelletti, "JUDICIAL REVIEW in the CONTEMPORARY WORLD" BOBBS-MERRILL COMPANY 1971

      47 Alexander Hamilton, "German Constitutional Law"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48 Edward S. Corwin, "Establishment of Judicial Review" 9 (9): 102-125, 1910

      49 Samuel E. Thorne, "Dr. Bonham’s Case" 54 (54): 543-552, 1938

      50 Raoul Berger, "Doctor Bonham's Case: Statutory Construction or Constitutional Theory?" 117 (117): 521-545, 1969

      51 Dieter Grimm, "Die Urteilsverfassungsbeschwerde und das Verhältnis von Verfassungsgericht und Fachgerichten in Deutschland" 법학연구소 55 (55): 339-359, 2014

      52 John Henry Merryman, "Civil Law Tradi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5

      53 R. H. Helmholz, "Bonham’s Case, Judicial Review, and the Law of Nature" 1 (1): 325-354, 2009

      54 Theodore F. T. Plucknett, "Bonham’s Case and Judicial Review" 40 (40): 30-70, 192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9 0.87 0.967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