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장애아동 부모를 위한 징검다리 긍정적 양육 프로그램(Stepping Stones Triple P-Positive Parenting Program, 이하 SSTP) 국외 연구동향 = A Study on Research Trends of Stepping Stones Triple P-Positive Parenting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76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in the effectiveness of SSTP, a representative evidence-based behavioral practice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rom 2003 to 2017 and to identify behavioral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Korea. A total of 10 researches published in foreign countr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divided into detail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udy.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tudies about SSTP had most frequently appeared in 2014, and the participants for the studies were recruited according to the type of child disability. SSTP, developed as the early intervention, has been found to be effective especially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Many studies were more likely to provide the families with the standard SSTP and also provide the parents with the additional sessions focused on a specific topic depending on the individual needs of the parents. SSTP has appeared to be effective in making positive changes in children's behavior, parents' behavior and emotions, as well as positive changes in relationships including parent-child interactions and marital relationships. Finally,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in the effectiveness of SSTP, a representative evidence-based behavioral practice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rom 2003 to 2017 and to identify behavioral interventions f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in the effectiveness of SSTP, a representative evidence-based behavioral practice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rom 2003 to 2017 and to identify behavioral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Korea. A total of 10 researches published in foreign countr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divided into detail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udy.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tudies about SSTP had most frequently appeared in 2014, and the participants for the studies were recruited according to the type of child disability. SSTP, developed as the early intervention, has been found to be effective especially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Many studies were more likely to provide the families with the standard SSTP and also provide the parents with the additional sessions focused on a specific topic depending on the individual needs of the parents. SSTP has appeared to be effective in making positive changes in children's behavior, parents' behavior and emotions, as well as positive changes in relationships including parent-child interactions and marital relationships. Finally,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17년까지 장애아동의 부모들을 위한 대표적인 증거기반의 행동중재인 SSTP의 효과를 살펴본 연구의 동향을 알아보고, 국내에 필요한 장애아동 문제행동 중재 방향을 제안하고자 실시되었다. 문헌 선정 기준에 따라 국외 SSTP 관련 문헌 10편을 선정하여 연구의 전반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각 연구의 세부적인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변인 및 종속변인을 세부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문헌 분석 결과 SSTP 효과 연구는 2014년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자녀의 다양한 장애 유형에 따라 참여 부모들을 모집하였다. 장애아동의 조기중재 목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의 특성상 어린 장애아동들에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인은 부모들의 개별 요구에 따라 기본 SSTP에 특정 주제에 관련한 추가 회기를 제공하거나 중재를 간소화시킨 연구들이 많았다. 종속변인은 아동의 행동 변화와 부모의 양육 행동 및 정서 관련 변화를 살펴본 연구들이 많았으며, 부모-자녀 상호작용, 부부 관계 등 다양한 관계의 변화를 살펴본 연구들도 있었다. 국외 증거기반의 행동중재를 기반으로 국내 상황에 맞는 장애아동 부모들을 위한 행동적 양육 중재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17년까지 장애아동의 부모들을 위한 대표적인 증거기반의 행동중재인 SSTP의 효과를 살펴본 연구의 동향을 알아보고, 국내에 필요한 장애아동 문제행동 중재 방향을 제...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17년까지 장애아동의 부모들을 위한 대표적인 증거기반의 행동중재인 SSTP의 효과를 살펴본 연구의 동향을 알아보고, 국내에 필요한 장애아동 문제행동 중재 방향을 제안하고자 실시되었다. 문헌 선정 기준에 따라 국외 SSTP 관련 문헌 10편을 선정하여 연구의 전반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각 연구의 세부적인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변인 및 종속변인을 세부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문헌 분석 결과 SSTP 효과 연구는 2014년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자녀의 다양한 장애 유형에 따라 참여 부모들을 모집하였다. 장애아동의 조기중재 목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의 특성상 어린 장애아동들에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인은 부모들의 개별 요구에 따라 기본 SSTP에 특정 주제에 관련한 추가 회기를 제공하거나 중재를 간소화시킨 연구들이 많았다. 종속변인은 아동의 행동 변화와 부모의 양육 행동 및 정서 관련 변화를 살펴본 연구들이 많았으며, 부모-자녀 상호작용, 부부 관계 등 다양한 관계의 변화를 살펴본 연구들도 있었다. 국외 증거기반의 행동중재를 기반으로 국내 상황에 맞는 장애아동 부모들을 위한 행동적 양육 중재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회연, "행동주의적 가족중재 프로그램의 국내 적용 가능성 탐색: 시각장애아동의 가족을 중심으로"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2 (32): 117-135, 2016

      2 권회연, "행동적 가족중재 프로그램의 적용 이점 및 향후 방향" 7 : 27-48, 2016

      3 박지연, "장애청소년을 양육하는 어머니의 훈육 관련 경험과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장애청소년의 부모를 위한 행동지원 지침서 개발의 기초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4 (34): 257-281, 2018

      4 전혜인, "부모결연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및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5 강혜원, "부모 역량강화를 위한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장애유아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부모-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1-25, 2011

      6 김지원, "문제해결전략중심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정서․ 행동장애 위험유아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인식, 양육 효능감, 양육 스트레스,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7 Leung, C.,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Triple P with Chinese parents who have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34 (34): 976-984, 2013

      8 leefman, M., "The effectiveness of Stepping Stones Triple P parenting support in parents of children with borderline to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nd psychosocial problems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12 (12): 191-, 2014

      9 Tellegen, C. L., "Stepping Stones Triple P-positive parenting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34 : 1556-1571, 2013

      10 Sofronoff, K., "Stepping Stones Triple P seminars for parents of a child with a disability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32 (32): 2253-2262, 2011

      1 권회연, "행동주의적 가족중재 프로그램의 국내 적용 가능성 탐색: 시각장애아동의 가족을 중심으로"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2 (32): 117-135, 2016

      2 권회연, "행동적 가족중재 프로그램의 적용 이점 및 향후 방향" 7 : 27-48, 2016

      3 박지연, "장애청소년을 양육하는 어머니의 훈육 관련 경험과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장애청소년의 부모를 위한 행동지원 지침서 개발의 기초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4 (34): 257-281, 2018

      4 전혜인, "부모결연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및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5 강혜원, "부모 역량강화를 위한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장애유아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부모-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1-25, 2011

      6 김지원, "문제해결전략중심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정서․ 행동장애 위험유아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인식, 양육 효능감, 양육 스트레스,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7 Leung, C.,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Triple P with Chinese parents who have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34 (34): 976-984, 2013

      8 leefman, M., "The effectiveness of Stepping Stones Triple P parenting support in parents of children with borderline to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nd psychosocial problems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12 (12): 191-, 2014

      9 Tellegen, C. L., "Stepping Stones Triple P-positive parenting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34 : 1556-1571, 2013

      10 Sofronoff, K., "Stepping Stones Triple P seminars for parents of a child with a disability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32 (32): 2253-2262, 2011

      11 Sanders, M. R., "Stepping Stones Triple P : The theoretical basis and development of an evidence-based positive parenting program for families with a child who has a disability" 29 (29): 265-283, 2004

      12 Whittingham, K., "Stepping Stones Triple P : An RCT of a parenting program with parents of a child diagnosed with an autism spectrum disorder" 37 (37): 469-480, 2009

      13 Feldman, M. A., "Self‐directed learning of child‐care skills by par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17 (17): 17-31, 2004

      14 Plant, K. M., "Reducing problem behavior during care-giving in families of preschool-age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28 (28): 362-385, 2007

      15 Shapiro, C. J., "Prevention of behavior problems in a selected population : Stepping Stones Triple P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35 (35): 2958-2975, 2014

      16 Mazzucchelli, T. G., "Preventing behavioural and emotional problems in children who have a developmental disability : A public health approach" 32 (32): 2148-2156, 2011

      17 Webster-Stratton, C., "Predictors of treatment outcome in parent training for families with conduct problem children" 21 (21): 319-337, 1990

      18 Neece, C., "Predicting maternal parenting stress in middle childhood : The roles of child intellectual status, behaviour problems and social skills" 52 (52): 1114-1128, 2008

      19 Baker, B. L., "Pre-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elay: Behaviour problems and parenting stress over time" 47 (47): 2003

      20 Hassall, R.,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 The effects of parental cognitions in relation to child characteristics and family support" 49 (49): 405-418, 2005

      21 Van Voorhis, R. W., "Impact of Stepping Stones Triple P on parents with a child diagnos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mplications for school psychologists" 9 (9): 2015

      22 LeRoy, A. S., "Identifying Evidence-Based Practices for behavior: Analysis of studies reviewed by the What Works Clearinghouse" 90 (90): 125-128, 2017

      23 Park, H. S. L., "Evidence-based practices for addressing classroom behavior problems" 17 (17): 33-47, 2014

      24 De Graaf, I., "Effectiveness of the Triple P Positive Parenting Program on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 A meta-analysis" 32 (32): 714-735, 2008

      25 Whittingham, K., "Do parental attributions affect treatment outcome in a parenting program? An exploration of the effects of parental attributions in an RCT of Stepping Stones Triple P for the ASD population" 3 : 129-144, 2009

      26 Whittingham, K., "Behavioural Family Intervention with parents of children with ASD : What do they find useful in the parenting program Stepping Stones Triple P?" 3 (3): 702-713, 2009

      27 Roberts, C., "Behavioral family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behavioral problems" 35 (35): 180-193, 2006

      28 Roux, 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group Stepping Stones Triple P : A mixed‐disability trial" 52 (52): 411-424, 2013

      29 Tellegen, C. 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valuating a brief parenting program with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82 (82): 1193-1200,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발달장애학회지 -> 발달장애연구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0.98 1.17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