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항만의 주요고객인 선사를 대상으로, 국외선사와 국내선사로 세분화하여 속성의 중요도와 항만 선호도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컨조인트 분석 결과 국내선사와 국외선사 간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71229
2003
-
500
학술저널
295-300(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항만의 주요고객인 선사를 대상으로, 국외선사와 국내선사로 세분화하여 속성의 중요도와 항만 선호도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컨조인트 분석 결과 국내선사와 국외선사 간에...
본 연구에서는 항만의 주요고객인 선사를 대상으로, 국외선사와 국내선사로 세분화하여 속성의 중요도와 항만 선호도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컨조인트 분석 결과 국내선사와 국외선사 간에 항만선호도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러한 차이는 기항지와 환적항에서 동시에 나타났다. 국외선사들은 상하이항을 부산항보다 환적항의 선호도를 높이 평가했지만, 국내선사들은 부산항을 상하이항보다 환적항의 선호도를 높게 평가했다. 또한, 기항지 선호도 비교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외 선사에 따라 항만 선호도가 다르기 때문에 집단별로 구분하여 평가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타항만에 비해 경쟁우위에 있는 부산항의 선호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타켓 마케팅이 필요하며, 주요 타켓은 항만의 주요 고객인 선사임을 인지하여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estimated a port preference and attribute importance an objects for shippers as main customer of port. In the Conjoint analysis result, it is difference between domestic shippers and foreign shippers. The difference of port preferenc...
In this paper, we estimated a port preference and attribute importance an objects for shippers as main customer of port. In the Conjoint analysis result, it is difference between domestic shippers and foreign shippers. The difference of port preference have a similar tendency both of import/export port and transshipment port. Foreign shippers estimated that they prefer Shanghai Port rather then Busan Port in transshipment port, but domestic shippers prefer to Busan Port, and to preference of import/export port is a same result. This result means it is necessary to estimate segmentary because a port preferenc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domestic/foreign shippers. To maintain the preference of Busan Port, it is necessary must have to target marketing.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