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학에서 야외 답사는 지리학의 이론적, 추상적 개념을 직접 관찰을 통해 구체화하고 지역의 실제 현상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매우 효과적인 연구 방법이다. 최근 급격한 정보기술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197567
이건학 (서울대학교)
2014
Korean
smart geographic fieldwork ; geospatial technology ; tracklogging ; geotagging ; geobloging ; 스마트 지리 답사 ; 지리공간기술 ; 지오블로깅 ; 트랙로깅 ; 지오태깅
KCI등재
학술저널
257-277(21쪽)
1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리학에서 야외 답사는 지리학의 이론적, 추상적 개념을 직접 관찰을 통해 구체화하고 지역의 실제 현상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매우 효과적인 연구 방법이다. 최근 급격한 정보기술의 ...
지리학에서 야외 답사는 지리학의 이론적, 추상적 개념을 직접 관찰을 통해 구체화하고 지역의 실제 현상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매우 효과적인 연구 방법이다. 최근 급격한 정보기술의 발달과 정보통신 인프라 시설의 확충은 전통적인 답사 방법들에 대한 새로운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일상생활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모바일 기반의 지리공간기술들은 여러 지역들을 이동하면서 각종 지리 조사 활동을 수행해야 하는 지리 답사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과 최신의 지리공간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지리 답사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지리 답사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지리공간기술들이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고, 답사 단계별 활동에 따른 스마트 지리 답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대학 학부생의 실제 답사에 적용하여 그 효과와 한계에 대해 논의한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스마트 답사 가이드라인을 실제 지리학과 학술 답사에 적용한 결과, 스마트 답사에 폭넓게 사용된 트랙로깅, 지오태링, 지오블로깅, 파노라마 사진 등의 지리공간기술들은 다양한 답사 활동들의 목적에 맞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었고, 답사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geographic fieldwork is an effective research method to make concrete theoretic and abstract concepts of geography and to facilitate a better understanding of geographic phenomena in regions. More recent advance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expa...
A geographic fieldwork is an effective research method to make concrete theoretic and abstract concepts of geography and to facilitate a better understanding of geographic phenomena in regions. More recent advance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expanded telecommunication infrastructures suggest the possibility of new development for the traditional fieldwork method. In particular, geospatial technologies in a mobile environment are likely to be utilized for the geographic fieldwork that requires various field activities by moving around several geographic sit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ddress the possibility of the smart geographic fieldwork by utilizing smartphones and geospatial technologies. To do this, we examine several geospatial technologies available to the geographic fieldwork and suggest the guideline for the smart geographic fieldwork according to the general fieldwork process. Further, we discuss the pros and cons of the smart fieldwork by applying it to the actual college-level fieldwork. The results of empirical application showed that the geospatial technologies such as tracklogging, geotagging, geoblogging, and panorama pictures are helpful to achieve various objectives of research activities and to increase fieldwork participant’s satisfac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상균, "효과적인 지역지리 학습을 위한 야외답사의 설계 : 광양만권 지역을 사례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 김건우, "플래시 파노라마를 활용한 웹-기반 가상야외지질답사 개발 및 활용 방안 탐색: 제주도 화산 지형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 32 (32): 212-224, 2011
3 노건일, "지오태깅된 컨텐츠를 활용한 장소 모델 구축 방안" 45-46, 2012
4 조세림, "지오태깅된 마이크로블로그를 활용한 이벤트 탐지" 101-102, 2012
5 최홍규, "지역지리 내용 구성과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1
6 류주현, "지리교육과 교육과정에서 효과적인 야외조사 교수-학습방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2 (12): 343-353, 2004
7 유원희, "지리과 환경수업의 설계 및 수행평가적용에 관한 연구: 중랑천 야외조사 활동을 통하여" 8 (8): 51-62, 2000
8 임은진, "지리과 야외 학습 모델 개발 및 적용" 한국사진지리학회 21 (21): 39-51, 2011
9 안재섭, "지리-역사 장소 답사를 중심으로 한 학습내용 구성 및 평가 방법 - 서울 북촌 한옥마을 답사를 사례로 -" 한국사진지리학회 23 (23): 61-73, 2013
10 양희경, "중등학생을 위한 하천 지형 탐사 프로그램 개발-양재천을 사례로" 10 (10): 221-238, 2003
1 조상균, "효과적인 지역지리 학습을 위한 야외답사의 설계 : 광양만권 지역을 사례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 김건우, "플래시 파노라마를 활용한 웹-기반 가상야외지질답사 개발 및 활용 방안 탐색: 제주도 화산 지형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 32 (32): 212-224, 2011
3 노건일, "지오태깅된 컨텐츠를 활용한 장소 모델 구축 방안" 45-46, 2012
4 조세림, "지오태깅된 마이크로블로그를 활용한 이벤트 탐지" 101-102, 2012
5 최홍규, "지역지리 내용 구성과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1
6 류주현, "지리교육과 교육과정에서 효과적인 야외조사 교수-학습방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2 (12): 343-353, 2004
7 유원희, "지리과 환경수업의 설계 및 수행평가적용에 관한 연구: 중랑천 야외조사 활동을 통하여" 8 (8): 51-62, 2000
8 임은진, "지리과 야외 학습 모델 개발 및 적용" 한국사진지리학회 21 (21): 39-51, 2011
9 안재섭, "지리-역사 장소 답사를 중심으로 한 학습내용 구성 및 평가 방법 - 서울 북촌 한옥마을 답사를 사례로 -" 한국사진지리학회 23 (23): 61-73, 2013
10 양희경, "중등학생을 위한 하천 지형 탐사 프로그램 개발-양재천을 사례로" 10 (10): 221-238, 2003
11 오선민, "중등학교 지리답사 연구 - 목적, 유형, 계획과 제약요소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 (22): 111-130, 2014
12 강영옥, "웹2.0 환경변화가 지리학 연구에 미치는 영향 고찰" 대한지리학회 43 (43): 375-391, 2008
13 이경한, "열린 지리수업의 이론과 실제" 형설출판사 1999
14 박철웅, "실제지형연구를 통한 야회학습요소의 추출과 지도방안" 한국지형학회 11 (11): 47-68, 2004
15 에르덴치멕, "구글어스를 이용한 사용자 참여형 지적기준점 웹서비스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67-70, 2011
16 Welch, R.V., "Teaching research methodology to geography undergraduates: Rationale and practice in a human geography programme" 27 (27): 255-277, 2003
17 Gold, J. R., "Teaching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Blackwell 1991
18 Welsh, K., "Spotlight on…Smartphones and fieldwork" 97 (97): 47-51, 2012
19 Kilmaszewski-Patternson, A., "Smartphones in the field: Preliminary study comparing GPS capabilities between a smartphone and dedicated GPS Device" 33 : 270-279, 2010
20 DENSO WAVE, "QR Code Official 웹페이지"
21 Jones, W.D., "Outline for fieldwork in geography" 47 (47): 520-525, 1915
22 Theng, Y-L., "Mobile G-Portal supporting collaborative shar ing and learning in geography fieldwork: An empirical study" 467-471, 2007
23 Crampton, J. W., "Mapping: A Critical Introduction to Cartography and GIS" Wiley-Blackwell 2010
24 Welsh K., "Geotagging photographs in student fieldwork" 36 (36): 469-480, 2012
25 Luo, J., "Geotagging in multimedia and computer vision-a survey" 51 (51): 187-211, 2011
26 Bland, K., "Geography Teacher’s Handbooks" The Geographical Association 1996
27 O’Connor, A., "Geo-temporal tracking and analysis of tourist movement" 69 (69): 135-150, 2005
28 Kent, A., "Fieldwork in geography teaching :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pproaches" 21 (21): 323-332, 1997
29 Stoltman, J.P., "Fieldwork in Geography: Reflections, Perspectives and Actions" Springer 37-52, 2000
30 Yosida, D., "Development of track log and point of interest management system using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2 (2): 123-135, 2010
31 Friedland, G., "Cybercasing the joint: On the privacy implications of Geo-Tagging" 2010
32 Field, K., "Cartoblography : Experiments in using and organising the spat ial cont ext of Mi c ro-blogging" 14 : 5-23, 2010
33 Dando, W.A., "A two-seek field course with deferred papers: A possible solution to the problem of undergraduate field work" 70 (70): 289-295, 1971
유형별 도시형 생활주택 거주환경요소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수도권(성남, 수원) 지역을 중심으로 -
중·소하천 유역 홍수해 방재의 제도적 체계 구축을 위한 사례 연구
지속가능한 사회혁신기반 지역경쟁력 개념정립과 지역발전을 위한 과제 - 지리적 분석을 위한 시론적 사례연구 -
한국형 지역재생 개념수립을 위한 인문학적 접근방안 모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3-0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지리학연구 -> 국토지리학회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3-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지리교육학회 -> 국토지리학회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9 | 1.19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9 | 1.02 | 1.53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