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형 지역재생 개념수립을 위한 인문학적 접근방안 모색 = Humanistic strategy for establishment of the Korean concept of regional regen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75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gional regeneration paradigm change from culture city to creative city in Korea. And most of local government carry forward various regional regeneration policy that aim to creative city. The policy should consider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s paradigm changed, though, follow the same approach to the creative city as before. Existing approach has been expose the limits for regional regeneration in Korean and specific region by did not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trying to suggest the Korean concept of regional regeneration by focus the value of human centered and possibility of humanities.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should apply on the policy as component of humanistic regional resource.
      When these three humanistic components be in harmony, the creative city components - ‘Creative milieu’, ‘Sustainability’ and ‘Governance’ going to be built in organic way. Virtuous circulation of past-present-future could be made, by extension. Therefore, realizing the humanistic components of region and developing the potential of that is important for not only make creative city but improve regional competitiveness.
      번역하기

      Regional regeneration paradigm change from culture city to creative city in Korea. And most of local government carry forward various regional regeneration policy that aim to creative city. The policy should consider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s pa...

      Regional regeneration paradigm change from culture city to creative city in Korea. And most of local government carry forward various regional regeneration policy that aim to creative city. The policy should consider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s paradigm changed, though, follow the same approach to the creative city as before. Existing approach has been expose the limits for regional regeneration in Korean and specific region by did not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trying to suggest the Korean concept of regional regeneration by focus the value of human centered and possibility of humanities.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should apply on the policy as component of humanistic regional resource.
      When these three humanistic components be in harmony, the creative city components - ‘Creative milieu’, ‘Sustainability’ and ‘Governance’ going to be built in organic way. Virtuous circulation of past-present-future could be made, by extension. Therefore, realizing the humanistic components of region and developing the potential of that is important for not only make creative city but improve regional competitive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지역발전의 패러다임은 문화도시에 이어 창조도시로의 전환을 맞이하고 있으며, 각각의 지자체들은 창조도시를 지향하는 다양한 지역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역에 대한 인식 전환과 함께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기존 창조도시에 대한 접근을 답습하고 있어 한국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재생에 있어서 인간 중심의 가치를 주목하고, 실질적인 인문학적 가능성을 통해 한국형 지역재생의 개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역의 인문학적 자원을 이루는 기본 구성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인문학의 기초로서 문(文)·사(史)·철(哲)의 개념을 도입하고, 이러한 각각의 요소들을 활용하여 지역이 가지고 있는 인문학적 자산으로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문학(文)은 지역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이야기로, 역사(史)는 지역이 오랫동안 축적해 온 실제의 역사로, 철학(哲)은 지역이 공유해 온 철학 혹은 가치체계로 해석할 수 있으며, 동시에 창조적 도시의 기본요인을 이루는 구성요소는 창조적 환경(Creative milieu),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거버넌스(Governance)로 이루어진다. 이들은 지역의 인문학적 자원이 안정적으로 조화를 이루면서 유기적으로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대요소에 해당한다. 더불어 각각의 층위에 따라 점진적으로 조화를 이루며, 과거-현재-미래의 선순환 구조, 시간적 구조를 이룰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지역이 가지고 있는 인문학적 요소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각각의 요소들을 발굴하고 그들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개발하여 지역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원동력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우리나라 지역발전의 패러다임은 문화도시에 이어 창조도시로의 전환을 맞이하고 있으며, 각각의 지자체들은 창조도시를 지향하는 다양한 지역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역에 대한 인...

      우리나라 지역발전의 패러다임은 문화도시에 이어 창조도시로의 전환을 맞이하고 있으며, 각각의 지자체들은 창조도시를 지향하는 다양한 지역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역에 대한 인식 전환과 함께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기존 창조도시에 대한 접근을 답습하고 있어 한국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재생에 있어서 인간 중심의 가치를 주목하고, 실질적인 인문학적 가능성을 통해 한국형 지역재생의 개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역의 인문학적 자원을 이루는 기본 구성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인문학의 기초로서 문(文)·사(史)·철(哲)의 개념을 도입하고, 이러한 각각의 요소들을 활용하여 지역이 가지고 있는 인문학적 자산으로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문학(文)은 지역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이야기로, 역사(史)는 지역이 오랫동안 축적해 온 실제의 역사로, 철학(哲)은 지역이 공유해 온 철학 혹은 가치체계로 해석할 수 있으며, 동시에 창조적 도시의 기본요인을 이루는 구성요소는 창조적 환경(Creative milieu),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거버넌스(Governance)로 이루어진다. 이들은 지역의 인문학적 자원이 안정적으로 조화를 이루면서 유기적으로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대요소에 해당한다. 더불어 각각의 층위에 따라 점진적으로 조화를 이루며, 과거-현재-미래의 선순환 구조, 시간적 구조를 이룰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지역이 가지고 있는 인문학적 요소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각각의 요소들을 발굴하고 그들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개발하여 지역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원동력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여옥경, "한·미 도시재생의 사업유형별 전략비교 연구" 국토지리학회 43 (43): 187-202, 2009

      2 이상봉, "창조성과 도시" 소명 2013

      3 김태경, "창조도시이론과 미래도시 발전방향에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10

      4 정원창, "창조도시를 디자인하라" 나노미디어 2013

      5 임상오, "창조도시" 해남 2005

      6 유재운, "창조경제의 공간적 의의와 도시재생" 380 : 38-43, 2013

      7 이소영, "지역쇠퇴분석 및 재생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8 이민화, "지속가능한 지역재생정책의 추진방향-일본 지역재생정책 검토를 통하여" 27-44, 2010

      9 김혜민,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창조적 도시재생정책에 관한 연구" 안전행정부 2011

      10 박진경, "지방자치단체의 창조성 분포특성과 증대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1

      1 여옥경, "한·미 도시재생의 사업유형별 전략비교 연구" 국토지리학회 43 (43): 187-202, 2009

      2 이상봉, "창조성과 도시" 소명 2013

      3 김태경, "창조도시이론과 미래도시 발전방향에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10

      4 정원창, "창조도시를 디자인하라" 나노미디어 2013

      5 임상오, "창조도시" 해남 2005

      6 유재운, "창조경제의 공간적 의의와 도시재생" 380 : 38-43, 2013

      7 이소영, "지역쇠퇴분석 및 재생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8 이민화, "지속가능한 지역재생정책의 추진방향-일본 지역재생정책 검토를 통하여" 27-44, 2010

      9 김혜민,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창조적 도시재생정책에 관한 연구" 안전행정부 2011

      10 박진경, "지방자치단체의 창조성 분포특성과 증대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1

      11 전병태,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 가입 지원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12 김기봉,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와 창의도시 역할"

      13 조명래, "왜 인간도시인가. 사람과 도시의 관계에 대한 검토" 18-22, 2012

      14 추미경, "문화를 통한 지역재생 정책추진 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12

      15 라도삼, "문화를 통한 도시혁신사례와 전략연구" 2013

      16 김인선, "도시재생을 위한 컬처노믹스적 접근에 관한 연구 - 문래동 특성화지역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6 (26): 285-296, 2010

      17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2조 1항 1호"

      18 강동진, "도시재생 관점에서의 도시유산 개념 정의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253-267, 2013

      19 이원호, "도시와 창조계급 : 창조 경제 시대의 도시 발전 전략" 푸른길 2008

      20 송은하, "도시에 관한 인문학적 접근의 논리와 실제 : '인문도시' 평가모형 개발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21 김상빈, "도시 관광을 통한 도시재생 전략: 동독 도시를 사례로" 국토지리학회 39 (39): 371-385, 2005

      22 허진하, "뉴욕 하이라인의 지역재생 사례를 통한 공공디자인 방향 모색"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4 (14): 187-196, 2011

      23 정성훈, "‘창조도시’와 ‘문화도시’에 대한 인문적 비판"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3 (23): 385-408,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리학연구 -> 국토지리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리교육학회 -> 국토지리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5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