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기개발연구원, "효율적인 하천 유지관리 방안" 2005
2 김규호, "홍수와 생태 환경이 조화된 치수정책" 건설기술 정보 1-8, 2003
3 "혼조 방재관"
4 "포항시 재난안전대책본부"
5 "포항뉴스"
6 김광섭, "통합홍수 관리의 필요성과 개념" 2010 (2010): 6-11, 2010
7 김남원, "태풍 루사(RUSA)의 강우특성과 홍수피해 특성" 대한토목학회 1203-1207, 2002
8 "캘리포니아 특별 훈련원"
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0 행정안전부, "주요선진국의 재난 및 안전관리체계 비교연구" 2008
1 경기개발연구원, "효율적인 하천 유지관리 방안" 2005
2 김규호, "홍수와 생태 환경이 조화된 치수정책" 건설기술 정보 1-8, 2003
3 "혼조 방재관"
4 "포항시 재난안전대책본부"
5 "포항뉴스"
6 김광섭, "통합홍수 관리의 필요성과 개념" 2010 (2010): 6-11, 2010
7 김남원, "태풍 루사(RUSA)의 강우특성과 홍수피해 특성" 대한토목학회 1203-1207, 2002
8 "캘리포니아 특별 훈련원"
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0 행정안전부, "주요선진국의 재난 및 안전관리체계 비교연구" 2008
11 소방방재청, "재해연보"
12 이자원, "재해대응 국제협력의 관점에서 본 베트남 자연재해의 지리적 특성과 재난관리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 45 (45): 265-278, 2011
13 소방방재청, "재난대응계획 수립 및 상호협력체계 구축방안 연구" 46-, 2012
14 김천시, 재난대책 안전본부, "재난대비 표준행동매뉴얼"
15 "자치법규정보시스템"
16 이자원, "자연재해 증가 지역의 국제협력 지원 방안을 위한 방글라데시 사례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340-351, 2013
17 "일본 하천정보센터"
18 김유정, "영국의 기후변화 대응체계와 적용사례 연구 - 런던과 사우스이스트 지역을 중심으로 -" 서울연구원 11 (11): 111-130, 2010
19 윤순진, "영국과 독일의 기후변화정책" 한국환경사회학회 11 (11): 43-95, 2007
20 "영국 환경청"
21 "소방방재청"
22 "미국의 재난관리 체계"
23 심우배, "미국의 방재조직 및 재난관리"
24 "미국 FEMA의 재난관리시스템 및 평가"
25 "뉴저지 비상관리과"
26 "낙동강 홍수통제소"
27 "김천시, 재난안전대책본부"
28 이자원, "기후변화 예측 하에 전개될 재난에 대한 적응기법 모델링을 위한 선진국 사례 연구" 국토지리학회 44 (44): 213-227, 2010
29 "국토해양부 한강홍수통제소"
30 "국토교통부"
31 "국가재난정보센터"
32 "국가법령정보센터"
33 국립방재교육연구원, "교육훈련계획"
34 이승호, "강원도 산지지역의 자연재해 분포 특성" 대한지리학회 43 (43): 843-857, 2008
35 "강릉시청"
36 "강릉시 재난관리과 홈페이지"
37 강원도, "강릉남대천 하천정비기본계획" 1992
38 "UNDP annual report"
39 Lehmann S., "Transforming the city for sustainability : the principles of green urbanism" 6 (6): 104-113, 2011
40 WMO, "Integrat ed Flood Management Concept Paper"
41 "IPCC 5th Report"
42 Lovell H., "Converging agendas? energy and climate change policies in the UK" 27 : 90-109, 2009
43 강릉시, "2011 자연재해 표준행동매뉴얼"
44 소방방재청, "2011 자연재해 표준행동매뉴얼"
45 박상덕, "2002년 8월 태풍 RUSA에 의한 강릉 지방 수해 현장조사" 대한토목학회 1195-1198,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