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졸취업자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Effect on the Happiness of college graduate worker: Focusing on occupat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004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졸취업자를 대상으로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2017)를 활용하여 대졸취업자 6,826명을 대상으로 하였...

      본 연구는 대졸취업자를 대상으로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2017)를 활용하여 대졸취업자 6,8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17년 GOMS는 2016년 8월 및 2017년 2월 대졸자를 대상으로 2018년 9월에 조사한 자료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가치관이 행복에 미치는 결과이다. 발전과 전망, 인정 등은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인정, 수행직무내용 등은 긍정정서에 정(+)의 영향을 주었고 부정정서에 부(-)의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소득과 환경은 긍정정서에 부(-)의 영향을 주었고 부정정서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직무만족이 행복에 미치는 결과이다. 인간관계, 적성과 흥미의 일치성, 개인의 발전성, 교육, 보수 등은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인간관계, 적성과 흥미의 일치성, 개인의 발전성, 교육, 자율성, 근무시간, 보수 등은 긍정정서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또한 적성과 흥미의 일치성, 개인의 발전성, 근무시간, 보수, 복리후생제도 등은 부정정서에 부(-)의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직장평판은 긍정정서에 부(-)의 영향을 주었고 부정정서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이로써 대졸취업자의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이를 바탕으로 대학교에서는 직업가치관 정립을 위한 교육의 실시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직장에서는 직무만족향상을 위한 훈련과 제도정비가 필요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occupat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on happiness for college graduate worker. Using The Graduates Mobility Survey(GOMS) 2017 Year and subjects of this surveys were 6,826 people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Th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occupat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on happiness for college graduate worker. Using The Graduates Mobility Survey(GOMS) 2017 Year and subjects of this surveys were 6,826 people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s the result of occupational values on happiness. Development and prospect and recognition showed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and job details showed positive effects on positive emotions but negative effects on negative emotions. But job details showed negative effects on positive emotions and positive effects on negative emotions. Second is the result of job satisfaction on happiness. Human relationship, a concordance of aptitude and interest, individual development, education and wage showed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And human relationship, a concordance of aptitude and interest, individual development, education, autonomy, hours of duty and wage showed positive effects on positive emotions. And a concordance of aptitude and interest, individual development, hours of duty, wage and benefit system showed negative effects on negative emotions. But company reputation showed negative effects on positive emotions and positive effects on negative emotions. Therefore, occupat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are an important factor in happiness of college graduate worker. Universities should introduce education of occupational values and company should introduce training programs of job satisfa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병진, "홀랜드식 검사에 의한 직업유형 일치정도와 직무만족 및 직무성취와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8

      2 남해어부, "행복한 국가순위: 2017 OECD 행복지수 보고서, 한국은 몇위?"

      3 이상복, "행복을 부르는 긍정심리학" 공동체 2013

      4 김선정, "행복에 관한 메타 분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 오세일, "행복과 영성에 관한 사회학적 고찰: 한국 청년 세대 연구를 향한 시론"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6 (6): 463-490, 2015

      6 매경, "한국 세계행복지수 156개국 중 54위...핀란드 또 1위"

      7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019

      8 백영균,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직업가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0

      9 김동심, "청년취업자의 직무만족도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수면시간, 자기인식, 사회신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49 (49): 53-70, 2018

      10 강종수,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수준이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447-455, 2018

      1 김병진, "홀랜드식 검사에 의한 직업유형 일치정도와 직무만족 및 직무성취와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8

      2 남해어부, "행복한 국가순위: 2017 OECD 행복지수 보고서, 한국은 몇위?"

      3 이상복, "행복을 부르는 긍정심리학" 공동체 2013

      4 김선정, "행복에 관한 메타 분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 오세일, "행복과 영성에 관한 사회학적 고찰: 한국 청년 세대 연구를 향한 시론"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6 (6): 463-490, 2015

      6 매경, "한국 세계행복지수 156개국 중 54위...핀란드 또 1위"

      7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019

      8 백영균,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직업가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0

      9 김동심, "청년취업자의 직무만족도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수면시간, 자기인식, 사회신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49 (49): 53-70, 2018

      10 강종수,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수준이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447-455, 2018

      11 이수진, "중등교사의 행복지수, 성격강점, 직무만족도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2 김민희, "중년기 남성의 직무만족, 부부만족, 여가만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8

      13 송준호, "조직구성원의 성격 특성이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행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기업경영학회 20 (20): 45-65, 2013

      14 안강현, "전문대학 학생들의 직업가치관 유형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15 권석만, "인간의 긍정적 성품" 학지사 2016

      16 권석만,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서울] 2014

      17 최효석, "유아체육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행복감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18 이경애, "유아교사의 행복과 직무관련변인의 관계분석 :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역할수행능력,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0

      19 백선혜, "유아교사의 행복감,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20 김시연,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직에 대한 열정,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분석"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1 임수진, "영유아 교사의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조직몰입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301-318, 2013

      22 박정란, "여성 새터민의 직업가치와 진로의사결정과정 연구 : 북한에서 남한에 이르기까지의 맥락적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3 한국심리학회, "심리학 용어사전" 한국심리학회 2014

      24 강성진, "실업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졸자를 중심으로" 118-145, 2010

      25 소병한, "신입사원의 진로준비행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업가치의 매개효과와 기업교육훈련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기업교육학회 19 (19): 155-185, 2017

      26 설효민, "신입사원의 성격 강점과 조직 몰입의 관계에서 행복과 직무 만족의 매개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6

      27 동아비즈 N, "스펙 쌓느라 한숨 쌓는 20대, 행복도 가장 낮아"

      28 김춘경, "상담학 사전" 학지사 2016

      29 Muchinsky, P. M., "산업 및 조직 심리학" 학지사 2010

      30 문승연, "사회복지사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자치행정학회 25 (25): 305-327, 2011

      31 이경자,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보육민감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7

      32 한국문학평론가협회, "문학비평용어사전" 국학자료원 2006

      33 김정한, "대학생의 진로설계 및 취업준비에 관한 연구" 22 : 39-104, 1994

      34 장췬, "대학생의 직업가치,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의 중․한 비교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8

      35 이혜영, "대졸자의 직업가치와 첫 일자리 직업적응에서 기업특성이 미치는 영향" 한국취업진로학회 7 (7): 125-149, 2017

      36 부기철, "대졸자의 직업가치, 진로준비행동, 직무만족과의 관계" 한국경영컨설팅학회 18 (18): 123-134, 2018

      37 이만기, "대졸자의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대한경영정보학회 29 (29): 245-266, 2010

      38 김현, "대기업 회사원이 지각한 행복과 불행의 토착심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9 전선두, "농업인의 성격 요인과 행복의 관계 : 일 가치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6

      40 권치영,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일의 의미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협성대학교 대학원 2018

      41 손영우, "네이버 지식백과" 2020

      42 황진미, "기혼여성 평생학습실천의 행복지수에 대한 영향력" 동의대학교 2015

      43 Baumgardner, S. R., "긍정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13

      44 Seligman M. E. P., "긍정심리학" 물푸레 2011

      45 김영일, "구약성경에 나타난 ‘행복’에 대한 고찰 : 시편 1편과 112편을 중심으로"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46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 용어사전" 하우동설 1995

      47 최옥난, "간호조직문화가 간호업무성과와 행복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9

      48 Kallererg, J. O., "Work values and job reward : A theory of job satisfaction" 42 (42): 124-143, 1977

      49 Spranger, E., "Types of men. The psychology and ethics of personality" Harper 1928

      50 Fredicson, B. L., "The role of positive emotion in positive psychology :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 56 (56): 218-226, 2001

      51 Seligman M. E. P., "Positive social science" 1 (1): 181-, 1999

      52 Judge, T. A., "Effects of work values on job choice decisions" 77 (77): 261-271, 1992

      53 Rain, J. S., "A current look at the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Review and future considerations" 44 (44): 287-307, 1991

      54 김영직, "4년제 대졸 청년들의 직업가치 선호 유형별 진로경향 및 근로여건 분석: 잠재적 집단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한국국정관리학회 25 (25): 25-63, 2015

      55 여성가족부 청소년정책과, "2019년 청소년 통계 보도자료"

      56 신종각, "2016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기초분석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2017

      57 유현옥, "2-3년제 대졸 청년의 직업가치 유형과 첫 일자리 만족도 및 이직의 관계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5 (35): 127-147,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