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도화녀와 진지왕의 신이혼으로 탄생한 비형랑의 문신좌정을 진지왕의 왕권 재확인으로 등치시킨 <도화녀 비형랑> 서사체계의 성립배경을 진지왕계 집단의 특수한왕권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862562
권도경 (세명대학교)
2014
Korean
Peachtree myth ; Mokrangdoodle myth ; Jinjiwang’s Royal Authority Myths ; Silla myth ; <Dowhayeo and Bihyoungrang> ; peachtree-guardian deity ; peachtree-exorcism ; peachtree’s eastern branch ; Jinjiwang ; ghost gate ; big peachman ; Dowhayeo ; Bihyoungrang ; Sohokeumchun. Sundosan ; Dodosan ; Saryangbu ; <도화녀 비형랑> ; 도화녀 ; 비형랑 ; 진지왕 ; 도목 신화 ; 목랑 신화 ; 진지왕 왕권신화 ; 신라신화 ; 도목문신 ; 도목벽사 ; 동도지 ; 대도목 ; 도목랑 ; 소호금천 ; 선도산 ; 도도산 ; 도삭산 ; 사량부 ; 왕가수
KCI등재
학술저널
167-207(41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도화녀와 진지왕의 신이혼으로 탄생한 비형랑의 문신좌정을 진지왕의 왕권 재확인으로 등치시킨 <도화녀 비형랑> 서사체계의 성립배경을 진지왕계 집단의 특수한왕권신...
본 연구에서는 도화녀와 진지왕의 신이혼으로 탄생한 비형랑의 문신좌정을 진지왕의 왕권 재확인으로 등치시킨 <도화녀 비형랑> 서사체계의 성립배경을 진지왕계 집단의 특수한왕권신화 인식체계 속에서 규명해 보았다. 도화녀 비형랑>의 진지왕·도화녀의 인귀교혼은진지왕계 집단의 특정한 신화관념과 도화녀를 인격상징으로 하는 도목벽사 관념의 습합을신화적으로 상징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 인귀교혼의 결과 탄생한 비형랑이 여우귀신을 죽여서 문신으로 좌정하는 과정은 진지왕계 집단이 도목문신 관념을 수용하여 왕권신화를 재구성하는 신화구성의 메타 이니시에이션이 된다고 가설을 세울 때 비형랑의 문신좌정이 진지왕의 왕권 재확인으로 등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진지왕계 집단이 지니고 있었던 특수한 시조기원은 소호금천씨다. 진지왕계 집단은 가야 김씨인 모계 혈통의 비정통성을 보완하기 위해 신라 김씨와 가야 김씨를 아우를 수 있는 소호금천씨를 시조기원으로 내세워 기존의 신라 김씨에 의해 확립되어 있던 건국신화 체계를 재편했다. 소호금천씨가 주관한 동방 변경의 신화지리지는 소호금천씨가 직접 주석한 뽕나무산(扶桑山)과 도목문신이 주석한 복숭아나무산(桃都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도산에 있는 대도목(大桃木)의 동쪽 가지(東桃枝) 끝을 도목문신(桃木門神)이 지키고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목문신에 관한 신화가 세모(歲暮)의 도목추나 풍속으로 발전하면서 대문에 도목랑을 세우던 것이 도목문신 그림을 붙이는 것으로 전개되었다는 것이다. 진지왕계 집단이 소호금천씨를 기원으로 한 시조관념을 신라 김씨가 당초 갖고 있던 시조계보와 접맥시키고자 하였다면 이처럼 소호금천씨가 주관하던 중국신화의 동방 변경의 지리지를 신라 경주의 그것 속에 재구성해내야 하는데, 사량부의 각각 서쪽 경계와 동쪽 경계에 위치한 선도산과 왕가수가 여기에 부합한다. 사량부는 애초 급량부 나정 숲에 탄강한 박혁거세가 돌산고허촌 촌장 소벌도리에게 발견되어 양육된 뒤 신라 건국조로 등극한 곳이고, 선도산은 시조모 선도산성모가 주석한 곳으로 신라왕실의 도목벽사 관념의 중심지이고,왕가수는 도목벽사의 중심지인 선도산의 동방(東方)에 위치해 있는 신라 왕실의 목신 제사처가 된다. 이러한 진지왕계 집단의 신화지리 관념에 따르자면 선도산의 동쪽에 해당하는왕가수의 위치는 선도산 도목의 동방에 위치한 동도지의 끝이 된다. 이렇게 본다면 왕가의목신을 제사하던 왕가수는 동도지에 위치해 있던 귀문(鬼門)이 되고, 제의대상인 목랑은 도도산의 문신 형상을 도목에 조각하여 대문에 세워두었던 대도인인 도목랑에 대응되게 되는것이다. 이처럼 소호금천씨 시조 기원을 가진 진지왕계 집단의 왕권신화 체계에서 보자면모계 혈통을 선도산을 주석지로 하는 도목벽사 관념과 접목시켜서 탄생시킨 왕자가 도목문신으로 좌정하게 되면 전통적인 신라 건국신화와 소호금천씨 도목신화가 결합되어 정통성이 확보된 새로운 시조신화 체계가 확립되게 된다.
<도화녀 비형랑>의 진지왕·도화녀의 인귀교혼은 진지왕계 집단의 시조관념과 선도산을 주석지(主席地)로 한 도목벽사 관념의 습합을 신화적으로 상징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인귀교혼의 결과 탄생한 비형랑이 서천의 왕가수 언덕에서 여우귀신을 죽여서 문신으로 좌정하는 과정은 진지 ...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reception background of <Dowhayeo andBihyoungrang>’s narrative system in Jinjiwang group’s special recognitionsystem on royal authority myth. It’s because making a hypothesis thatintermarriage between Jinjiwang and ...
This study investigated reception background of <Dowhayeo andBihyoungrang>’s narrative system in Jinjiwang group’s special recognitionsystem on royal authority myth. It’s because making a hypothesis thatintermarriage between Jinjiwang and Dowhayeo in <Dowhayeo andBihyoungrang> symbolizes acculturation between a certain Jinjiwang group’smythical concept and peachtree-exorcism that makes Dowhayeo personalsymbol and course Bihyoungrang who was born as the result this intermarriagesits as guardian deity is equal with meta initiation of myth composition thatJinjiwang group receiveed concept on peachtree-guardian deity andreconstructed royal authority myth, Bihyoungrang’s being guardian deity isequal with confirm about Jinjiwang’s royal authority.
The person who Jinjiwang group recognized as progenitor isSohokeumchun. Jinjiwang group reorganized Silla myth system that wasestablished by Silla Kims nominating Sohokeumchun as progenitor for makingup for mother blood’s unorthodoxy be born from Gaya. Eastern margin’s mythical geography that Sohokeumchun ruled is consisted of Busangsan whichSohokeumchun sitted directly at and Dodosan which peachtree-guardian deitysitted at. It is peachtree-guardian deity that guards eastern brach’s end of bigpeachtree. As myth about this peachtree-guardian deity progressed toyear-end’s custom exorcism, it is that building peachtree-man followed toattaching picture on peachtree-guardian deity at gate. If Jinjiwang groupattempted to combine concept that Sohokeumchun is progenitor with SillaKims’s progenitor myth, it is necessary that reconstruct eastern margin’smythical geography that Sohokeumchun ruled at Kyungjoo in Silla. Sundosanand Wanggasu which situates each at western and eastern boundary ofSaryangbu accords with this condition. Saryangbu is place whichBakhyuckgusye was made king as Silla’s founder in, Sundosan is not onlyplace which progenitor’s mother was seated in but also center ofpeachtree-exorcism. So, it is that Wanggasu is religious service of Silla royalfamily’s tree god place which situates at eastern end of Sundosan that is centerof peachtree-exorcism. According to this Jinjiwang group’s mythical geographyconcept, it is that Wanggasu’s location corresponding to Sundosan’s easternend is end of peachtree’s eastern branch. Seen in this light, it is that Wanggasuthat did memorial rites to royal familly’s tree god corresponds to ghost’s gatelocated at end of peachtree’s eastern branch, tree-man corresponds to bigpeachtree-man that carved Dodosan’s gate guardian on peachtree and was builtat gate. Like this, if prince who made a birth to combine maternal renegewith peachtree-exorcism that makes Sundosan main tranmission place take aseat as peachtree god, it is tht a new Silla myth affiliated with Jinjiwang whomakes Sohokeumchun a progenitor is established.
There it is that intermarriage between Jinjiwang and Dowhayeo in <Dowhayeo and Bihyoungrang> symbolizes mythical combination Jinjiwanggroup’s progenitor concept and peachtree-exorcism that makes Sundosan maintranmission place, and course which Bihyoungrang who was born as the resultof this intermarriage takes a seat as gate god by killing foxy ghost atWanggasu’s western slop is meta initiation of myth composition that Jinjiwanggroup accepted concept on peachtree-god of Sohokeumchuns’s myth andreconstructed Jinjiwang’s royal authority myth.
참고문헌 (Reference)
1 전관수, "한시어사전" 국학자료원 1-1086, 2007
2 이현태, "특집1논문: 신라 '남궁(南宮)'의 성격- '남궁지인(南宮之印)'명 기와의 출토지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81) : 139-174, 2011
3 최래옥, "춘향전 어떻게 읽을 것인가" 180-202, 1981
4 동방삭, "신이경" 지식을 만드는 지식 1-169, 2011
5 이종욱, "신라상고시대의 육촌과 육부" (49) : 27-56, 1980
6 문경현, "신라건국설화의 연구" 4 : 1-52, 1972
7 김기흥, "신라 왕실 삼성(三姓)의 연원" 한국고대사학회 (64) : 323-361, 2011
8 김윤하, "신라 왕경숲 조성에 있어서 주요 수종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32 (32): 52-62, 2004
9 강종훈, "신궁의 설치를 통해 본 마립간시기의 신" 6 : 185-243, 1994
10 김장환, "술이기(述異記)(지식을만드는지식 소설선집)" 지만지출판사 1-203, 2014
1 전관수, "한시어사전" 국학자료원 1-1086, 2007
2 이현태, "특집1논문: 신라 '남궁(南宮)'의 성격- '남궁지인(南宮之印)'명 기와의 출토지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81) : 139-174, 2011
3 최래옥, "춘향전 어떻게 읽을 것인가" 180-202, 1981
4 동방삭, "신이경" 지식을 만드는 지식 1-169, 2011
5 이종욱, "신라상고시대의 육촌과 육부" (49) : 27-56, 1980
6 문경현, "신라건국설화의 연구" 4 : 1-52, 1972
7 김기흥, "신라 왕실 삼성(三姓)의 연원" 한국고대사학회 (64) : 323-361, 2011
8 김윤하, "신라 왕경숲 조성에 있어서 주요 수종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32 (32): 52-62, 2004
9 강종훈, "신궁의 설치를 통해 본 마립간시기의 신" 6 : 185-243, 1994
10 김장환, "술이기(述異記)(지식을만드는지식 소설선집)" 지만지출판사 1-203, 2014
11 김원룡, "사로육촌과 경주고분" 70 : 1-14, 1976
12 김종대, "도깨비를 둘러싼 민간신앙과 설화" 인디북 96-99, 2004
13 이민수, "공자가어" 을유문화사 1-522, 2003
14 장덕순, "韓國說話文學의 硏究" 서울대학교출판부 1-300, 1970
15 송화섭, "智異山의 老姑壇과 聖母天王" 한국도교문화학회 (27) : 245-277, 2007
16 송화섭, "智異山의 山神, 聖母에서 老姑까지" 남도문화연구소 (20) : 63-90, 2011
17 長田夏樹, "新羅文武王陵碑文初探" 17 (17): 179-190, 1966
18 홍순창, "新羅 三山․五岳에 대하여" 서경문화사 2 : 37-64, 1991
19 엄기영, "『三國遺事』 <桃花女 鼻荊郞>의 신화적 특징과 그 의미" 한국문화연구원 25 : 37-60, 2013
20 강은해, "<도화녀·비형랑> 설화에 나타난 두두리(豆豆里) 신앙의 지역화와 진지왕계 복권신화적 기능" 한국어문학회 (120) : 111-139, 2013
21 권도경, "<도화녀(桃花女) 비형랑(鼻荊郞)>텍스트의 적층구조와 진지왕·도화녀·비형랑 관련 설화의 결합원리" 한민족어문학회 (66) : 187-221, 2014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3 | 0.73 | 0.7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2 | 0.64 | 1.574 | 0.06 |